•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information

검색결과 3,462건 처리시간 0.032초

싱크홀 탐지를 위한 상대중력측량과 중력모델링 기법의 활용 (Application of Relative Gravity Surveying and Modeling to Sinkhole Detection)

  • 김진수;이영철;이정모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7-274
    • /
    • 2017
  • 본 연구는 지표면 아래 존재할 수 있는 싱크홀 탐지를 위해 포텐셜 필드법 중 중력학적 방법을 적용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싱크홀을 대신하여 지표면 아래 1.8 m 깊이에 수조($1.8{\times}0.8{\times}0.8m$)를 매설하였다. 매설된 위치를 중심으로 $12{\times}12m$ 구역에서 1 m 간격으로 Scintrex사의 CG-5 상대중력계(정밀도 0.001 mGal)를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하였다. 싱크홀 모형에 대한 이론상 중력효과를 계산하기 위해 3차원 중력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중력 측정에 의해 직접 산정된 싱크홀 모형에 대한 중력효과 0.036 mGal은 3차원 중력모델링에 의한 결과 0.024 mGal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수조 크기와 비슷한 규모의 싱크홀은 상대중력측량에 의해 탐지될 수 있으며, 보다 조밀한 간격으로 중력탐사를 수행한다면 보다 작은 규모의 싱크홀 탐지에도 중력탐사가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내륙 거점 물류단지 기능중첩 및 연계체계 불합리성에 관한 연구: 영남권 복합물류 터미널을 사례로 (A Study on the Function Overlap and Irrational Hierarchy System of Logistics Complexes of Inland Base: Focusing on the Case of the Integrated Freight Terminal in the Yeongnam Area)

  • 정진욱;박운호;조창현;박동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4-317
    • /
    • 2016
  • 교통, 정보통신 등 기술의 발전은 물자의 흐름을 가속시켜왔으며, 지역적 범위의 물류가 국가적 범위의 물류로 확장됨에 따라 국가 물류정책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물류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물류시설의 공급부족, 물류시설의 비효율적 운영, 유통구조의 복잡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점물류시설을 건설하여 효율화를 도모하였으나 저조한 운영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점물류시설에 대하여 활성화 방안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설 물류업체와의 기능중첩에 초점을 맞춘 원인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남내륙화물기지의 기능상실에 따른 인근 물류시설과의 기능중첩과 연계체계의 불합리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국내 화물수송의 대부분인 육로운송에서 기능 중첩에 따른 거점물류단지 미 이용에 대한 원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가단위 물류 인프라 정책의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A Criminal Legal Study in the Protecting the Right of Surgical Patients -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

  • 유재근
    • 의료법학
    • /
    • 제16권2호
    • /
    • pp.3-26
    • /
    • 2015
  • 수술행위는 신체에 대한 침습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의료인은 수술주체와 수술행위의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가 그 수술을 받을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야 하고, 이는 헌법 제10조에서 규정한 개인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에 의하여 보호되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해당한다. 미국에서는 '대리수술'의 경우 폭행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수술의사에 대한 상해죄 등을 인정한 사례가 없고, 수술행위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적대적인 손상행위가 아니므로 상해죄로 처벌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환자의 '가정적 승낙'을 폭넓게 인정하는 판례의 입장에 따르면 의사의 전단적 의료행위에 대하여 업무상과실치사상죄로 처벌하기도 어려우므로, 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의사의 설명의무를 의료법 등에 명문화하고, 대리수술 등 전단적 의료행위에 대하여 별도의 처벌규정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 PDF

Neuropeptide Regulation of Signaling and Behavior in the BNST

  • Kash, Thomas L.;Pleil, Kristen E.;Marcinkiewcz, Catherine A.;Lowery-Gionta, Emily G.;Crowley, Nicole;Mazzone, Christopher;Sugam, Jonathan;Hardaway, J. Andrew;McElligott, Zoe A.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호
    • /
    • pp.1-13
    • /
    • 2015
  • Recent technical developments have transformed how neuroscientists can probe brain function. What was once thought to be difficult and perhaps impossible, stimulating a single set of long range inputs among many, is now relatively straight-forward using optogenetic approaches. This has provided an avalanche of data demonstrating causal roles for circuits in a variety of behaviors. However, despite the critical role that neuropeptide signaling plays in the regulation of behavior and physiology of the brain, there have been remarkably few studies demonstrating how peptide release is causally linked to behaviors. This is likely due to both the different time scale by which peptides act on and the modulatory nature of their actions. For example, while glutamate release can eff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synapses in milliseconds, peptide release is potentially slower [See the excellent review by Van Den Pol on the time scales and mechanisms of release (van den Pol, 2012)] and it can only tune the existing signals via modulation. And while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exploring mechanisms of release, it is still not as clearly known what is required for efficient peptide release. Furthermore, this analysis could be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multiple peptides released, some of which may act in contrast.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re are a number of groups making progress in this area. The goal of this review is to explore the role of peptide signaling in one specific structure,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that has proven to be a fertile ground for peptide action.

라이다 칩을 이용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자동좌표등록 (LiDAR Chip for Automated Geo-referenc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 이창노;오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4_1호
    • /
    • pp.319-326
    • /
    • 2014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등을 활용한 좌표등록 및 보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기준점 획득의 경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자동화된 좌표 등록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보정하고자 하는 위성 영상을 정확한 좌표를 가진 참조 데이터에 영상 매칭을 수행하는 기법이 많이 소개 되었는데, 참조 데이터 중 라이다 데이터의 경우 공간 해상도 및 정확도가 높고 무엇보다 3차원 데이터이기 때문에 기복 변위 등을 내포하고 있지 않는 등의 장점을 보인다. 최근 라이다 데이터와 고해상도 위성영상간의 매칭을 위한 기법이 연구, 발표되었으나, 라이다 데이터의 특성상 대용량이기 때문에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부의 공간만을 라이다 칩으로 추출 및 저장하여 위성영상의 좌표 등록에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라이다 포인트 데이터를 반사강도 정사영상 및 수치표고모델의 두 가지 형태로 변환하고 에지 추출을 통해 의미 있는 양의 에지 정보만을 포함하는 지역을 영상형태의 라이다 칩으로 추출, 저장하였으며, 용량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라이다 칩을 아리랑2호 및 아리랑3호 영상의 자동 좌표등록에 활용 해본 결과 평균 한 픽셀가량의 정확도 또한 확보할 수 있었다.

눈다랭이 어획량의 데이터 베이스 처리 (Handling of Data Base on the Catch of Bigeye Tuna Thunnus Obesus ( LOWE ))

  • 이주희;이춘우;김주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25-231
    • /
    • 1991
  • 본 연구는 눈다랭이류 위주의 조업을 위한 어장선정의 자료를 제시하고자 태평양, 대서양 및 인도양의 다랭이 연승어업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발행한 13년간의 한국 원양 다랭이 연승어업 어획통계자료 및 어장도이며, 데이터베이스는 16비트 개인용컴퓨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기동한 후 메뉴화면의 요청에 따라 대양과 데이터형을 선택하면, 먼저 대양의 지도가 칼라모니터에 그려지고, 경위도 5$^{\circ}$구획의 각 해구에 투입낚시수, 조획율 및 눈다랭이 조획비율 등이 표시되므로 어장선정을 위한 판단자료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다. 2) 조획율 예측은 어느 지정된 해역의 월별변동의 자료로부터 최소자승법에 의해 지정된 월의 예측조획율을 구하고, 연도별변동의 자료로부터 지정된 년의 예측조획율을 구해서 이들 둘을 산술평균해서 구하였다. 실제와 예측치를 비교해 본 결과 예측결과가 실제에 비교적 근접되어 나타나서 본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눈다랭이의 어획비율, 어가 및 어체중량에서 볼 때 앞으로 눈다랭이 위주로의 심층조업이 연승어업의 경영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를 이용한 3차원 지형도 생성 및 정확도 분석 (3dimension Topography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Using GIS)

  • 임영빈;박창숙;이철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9-196
    • /
    • 2005
  • 최근 지도제작 기법의 발달과 기 제작된 종이 및 수치지도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2차원 형태의 지형도보다 지형을 보다 사실감 있게 표현하는 3차원 지형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 는 기존의 국가기본도 중 축척 1:25,000 종이지형도와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들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도를 생성하였으며, 3차원 지형도의 정확도분석 결과 1:25,000 국가기본도 허용오차 범위에 포함되어 그 활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3차원 지형도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좌표 변환된 국가기본도의 이미지와 동일도엽의 수치지도상의 각종 지물지모들간의 평면 위치오차 및 수직 위치오차를 레이어별로 분석하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영상자료의 좌표변환시 이용되는 변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보정방법에 따라서도 위치오차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좌표 변환된 영상자료의 평면정확도는 지상거리 ${\pm}4.1m$로 1:25,000의 수치지도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기 제작된 다양한 축척의 국가기본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3차원 지형도를 제작할 수 있으며, 향후 기존 지형도 및 수치지도를 이용한 입체지형도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된다.

색상 측정 기기를 이용한 복합레진 적층 수복과 단일 수복의 색상 비교 분석 (Colorimetric comparison of single layered dental composite with double layered dental composite)

  • 송영상;김자현;이빈나;장지현;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2호
    • /
    • pp.84-8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color caused by different thickness in enamel layer of composite resins when applied with single and layering placement technique, and evaluated if the results agreed with the shade guide from the manufacturers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color matching process of the manufacturers. Materials and Methods: For single composite resin samples, 6 mm diameter and 4 mm thickness cylindrical samples were fabricated using Ceram-X mono (DENTSPLY DeTrey)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er. Same process was done for layering composite resin samples, making 3 dentinal shade samples, 4 mm thickness, for each shade using Ceram-X duo (DENTSPLY DeTrey) and enamel shade resins were layered in 2 mm thickness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These samples were ground to 0.2 mm thickness each time,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to 1 mm thickness of enamel shade resin. Results: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single and layering composite resin was 1.37 minimum and 10.53 maximum when layering thicknesses were between 1 mm and 2 mm and 6 out of 10 same shade groups suggested by manufacturer showed remarkable color difference at any thickness (${\Delta}E^*$ > 3.3). Conclusion: When using Ceram-X mono and duo f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for choosing the shade is not appropriate,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for Ceram-X duo is needed on the variation and expression of the shad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enamel.

Application of X-band polarimetric radar observation for flood forecasting in Japan

  • Kim, Sun-Min;Yorozu, Kazuaki;Tachikawa, Yasuto;Shiiba, Michihar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15
    • /
    • 2011
  • The radar observation system in Japan is operated by two governmental groups: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IT) of Japan. The JMA radar observation network is comprised of 20 C-band radars (with a wavelength of 5.6 cm), which cover most of the Japan Islands and observe rainfall intensity and distribution. And the MLIT's radar observation system is composed of 26 C-band radars throughout Japan. The observed radar echo from each radar unit is first modified, and then sent to the National Bureau of Synthesis Process within the MLIT. Through several steps for homogenizing observation accuracy, including distance and elevation correction, synthesized rainfall intensity maps for the entire nation of Japan are generated every 5 minutes. The MLIT has recently launched a new radar observation network system designed for flash flood observation and forecasting in small river basins within urban areas. It is called the X-band multi parameter radar network, and is distinguished by its dual polarimetric wave pulses of short length (3cm). Attenuation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hort wave length of radar echo are strengthened by polarimetric wavelengths and very dense radar networks. Currently, the network is established within four areas. Each area is observed using 3-4 X-band radars with very fine resolution in spatial (250 m) and temporal (1 minute intervals). This study provides a series of utilization procedures for the new input data into a real-time forecasting system. First of all, the accuracy of the X-band radar observation was determin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e rainfall intensities as observed by ground gauge stations. It was also compared with conventional C-band radar observation. The rainfall information from the new radar network was then provided to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o simulate river discharges. The simulated river discharges were evaluated again using the observed river discharge to estim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observation network in the context of operations regarding flood forecasting. It was able to determine that the newly equipped X-band polarimetric radar network shows somewhat improved observation accuracy compared to conventional C-band radar observation. However, it ha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rainfall, and the accuracy is not always superior to that of the C-band radar. The accuracy evaluation of the X-band radar observation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only limited rainfall events, and more cases should be examined for develop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behavior of the X-band radar and for improving observation accuracy.

  • PDF

해색 센서 SeaWiFS 관측을 이용한 황사 판독 (Identifying Yellow Sand from the Ocean Color Sensor SeaWIFS Measurements)

  • 손병주;황석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6-375
    • /
    • 1998
  • 해색 센서인 SeaWIFS의 자료를 이용하여 황사의 광학적 성질과 황사가 해색 원격탐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황사가 해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황사현상이 나타났던 1998년 4월 18일과 맑은 날인 4월 25일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NASA 표준 대기 보정 알고리즘은 황사의 영역을 복사휘도가 너무 크거나 또는 구름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황사 지역에 대한 해색 정보를 생산하지 않고 있다. 4월 18일 동아시아 해양에 도착한 황사는 에어로졸의 광학적 두께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균질한 두 부류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0.8 부근에 최대의값을 갖는 강한 황사와 0.4 부근의 값을 갖는 약한 황사가 존재하였다. 즉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0.8 부근에 최대의 값을 갖는 강항 황사와 0.4 부근의 값을 갖는 약한 황사가 존재하였으며, 이 값들은 지상의 관측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지상 일기도의 분석과 경로 역추적을 통해 얻은 황사의 이동은 약한 황사 영역이 먼지 폭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원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황사와 관련된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큰 영역은 dir 0.2 정도의 광학적 두께를 갖는 배경 에어로졸과 매우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은 대기 보정 변수의 도입과 더불어 황사의 영역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대기 보정 변수와 광학적 두께의 분산 그래프에 나타나는 특징을 황사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