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ying Yellow Sand from the Ocean Color Sensor SeaWIFS Measurements

해색 센서 SeaWiFS 관측을 이용한 황사 판독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and and their influences on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has been studied using ocean color sensor SeaWiFS measurements. Two cases of April 18 and April 25, 1998, representing yellow sand and background aerosol, are selected for emphasizing the impact of high aerosol concentration on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It was shown that NASA's standard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treats yellow sand area as either too high radiance or cloud area, in which ocean color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Optical thickness of yellow sand arrived over the East Asian sea waters in April 18 indicates that there are two groups loaded with relatively homogeneous yellow sand, i.e.: heavy yellow sand area with optical thickness peak around 0.8 and mild area with about 0.4, which are consistent with ground observations. The movement of the yellow sand area obtained from surface weather maps and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manifest the notion that the weak yellow sand area was originated from the outer region of the dust storm. It is also noted that high optical thickness associated with the yellow sand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at we may observe from background aerosol, which is about 0.2. These characteristics allow us to determine the yellow sand area with an aid of atmospheric correction parameter. Results indicate that the yellow sand area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features revealed in scattergrams of atmospheric correction parameter and optical thickness.

해색 센서인 SeaWIFS의 자료를 이용하여 황사의 광학적 성질과 황사가 해색 원격탐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황사가 해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황사현상이 나타났던 1998년 4월 18일과 맑은 날인 4월 25일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NASA 표준 대기 보정 알고리즘은 황사의 영역을 복사휘도가 너무 크거나 또는 구름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황사 지역에 대한 해색 정보를 생산하지 않고 있다. 4월 18일 동아시아 해양에 도착한 황사는 에어로졸의 광학적 두께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균질한 두 부류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0.8 부근에 최대의값을 갖는 강한 황사와 0.4 부근의 값을 갖는 약한 황사가 존재하였다. 즉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0.8 부근에 최대의 값을 갖는 강항 황사와 0.4 부근의 값을 갖는 약한 황사가 존재하였으며, 이 값들은 지상의 관측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지상 일기도의 분석과 경로 역추적을 통해 얻은 황사의 이동은 약한 황사 영역이 먼지 폭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원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황사와 관련된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가 큰 영역은 dir 0.2 정도의 광학적 두께를 갖는 배경 에어로졸과 매우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은 대기 보정 변수의 도입과 더불어 황사의 영역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대기 보정 변수와 광학적 두께의 분산 그래프에 나타나는 특징을 황사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NASA Technical Memorandum 104566(Version 2.) v.15 The simulated SeaWiFS data set Gregg, W. W.;F.S. Patt;R.H. Woodward
  2.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Evaluation of OCTS atmospheric correction and possible improvement Fukushima, H.;T. Noguchi;H, Tabata;M. Toratani
  3. App. Opt. v.33 Retrieval of water-leaving radiance and aerosol optical thickness over the oceans with SeaWiFS : A preliminaty algorithm Gordon, H.R.;M. Wang
  4. Aerosol-cloud-climate interactions Hobbs, P. V.;P. V. Hobbs(ed.)
  5. J. Meteor. Soc. Janpan v.67 Aerosol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llow Sand events observed in May, 1982 at Nagasaki. Part II. Model Nakajima, T.;M. Tanaka;M. Yamano;M. Shiobara;K. Arao;Y. Nakanishi
  6.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 Sand form Ground-Based Solar Radiation Measurements near the Yellow Sea Sohn, B.J.;D.S. Shin;S.S. Lee
  7. J. Geophys. Res. v.88 Transport of mineral aerosol from Asia over the North Pacific ocean Uematsu, M.;R. Duce;J.M. Prospero;L. Chen;J.T. Merrill;R. L. McD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