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house whitefl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초

경기도 광주 여름재배 시설토마토의 가루이 매개 바이러스 TYLCV, ToCV 발생현황 (Patterns of the Occurrence of TYLCV and ToCV with Whitefly on Summer-Cultivated Tomato in Greenhouse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 권용남;차병진;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8권1호
    • /
    • pp.39-45
    • /
    • 2022
  • 경기 광주시 완숙토마토 시설재배단지에서 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 2종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와 tomato chlorosis virus (ToCV)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2020년 여름재배 작형에서 TYLCV와 ToCV의 감염률은 수확기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단독 감염률은 각각 30.9%, 5.0%였고, 복합감염률은 52.2%로 TYLCV 단독감염과 2종 바이러스 복합감염이 83.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종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가루이의 발생분포 및 보독률을 조사한 결과, 작물 재배기간 내내 담배가루이가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고, 조사한 담배가루이는 모두 Mediterranean (MED)으로 확인되었다. 담배가루이 MED는 TYLCV를 단독으로 보독하거나 ToCV와 복합 보독하는 경우가 48.5%로 많았으며, ToCV의 보독률은 29.1%로 온실가루이(7.2%)에 비해 높았다. 담배가루이 MED의 2종 바이러스 보독률이 토마토 정식 전부터 47.2%로 높았고, 이후 계속 증가하여 수확기에는 73.8%로 가장 높았다. 수확기 토마토 재배포장별 2종 바이러스의 감염률에 따라 수확량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TYLCV와 ToCV의 복합감염률 증가가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복합감염률이 10% 증가함에 따라 405.4 kg/10a 수량감소를 보였다.

참외 시설 재배 시 고온에서의 환기 처리에 의한 상대습도 상승과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응애 방제 및 개화 억제 (Ventilation at Supra-Optimal Temperature Leading High Relative Humidity Controls Powdery Mildew, Silverleaf Whitefly, Mite and Inhibits the Flowering of Korean Melon in a Greenhouse Cultivation)

  • 서태철;김진현;김승유;조명환;최만권;류희룡;신현호;이충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51
    • /
    • 2022
  • 본 연구는 참외 재배 지에서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및 두점박이응애가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 45, 40, 35℃(대조구)의 온도에서 측창으로 환기 처리 시, 온실 내 온·습도의 변화, 병충해 발생과 잎말림, 그리고 개화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3월 3일 '히든파워' 대목에 접붙여진 '알찬꿀' 참외를 40cm 간격으로 격리상에 심었고, 위에 언급한 병해충이 모든 처리구에서 발생한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처리하였다. 온실의 온도는 맑은 날에는 설정 온도 지점까지 증가되었고, 45℃ 환기 처리에서 고온 고습이 약 9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주간 최고 기온과 최저 상대습도 차이는 45℃ 환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환기 처리 11일 후에는 흰가루병과 두점박이응애 피해가 45℃ 환기 처리에서 거의 회복되었지만 40℃와 35℃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처리 14일 후, 담배가루이와 두점박이 응애 밀도는 4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흰가루병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잎말림은 고온에서 유발되었으나 45℃에서도 심하지 않았다. 처리 26일 후, 새로 나온 줄기의 15 마디의 개화수를 조사한 결과, 45℃에서 암꽃이 전혀 나오지 않았고 수꽃은 1.2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고온기에 45℃의 고온에서 2-3주간 환기 처리는 온실 내부의 고온 고습을 유도하여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두점박이응애를 통제하고, 개화를 억제하여 참외의 영양 생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Push-pull 전략을 이용한 시설 토마토 담배가루이 방제효과 (Push-pull Strategy for Control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n a Tomato Greenhouse)

  • 이영수;이희아;이현주;최종윤;이상우;홍순성;장명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09-218
    • /
    • 2019
  • 본 연구는 시설토마토 재배지에서 push-pull 전략을 이용해 담배가루이와 천적곤충의 행동을 제어함으로써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는 노란색에 유인율이 가장 높았으며, 520 nm의 광원에는 유인반응을 복합광원인 450 + 660 nm의 광원에는 회피반응을 보였다. 천적곤충인 담배장님노린재(Cyrtopeltis tenu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는 모두 520 nm의 광원에 가장 높은 유인반응을 보였다. 휘발성 물질로는 ocimene과 carvacrol에 대해 기피반응을, methyl isonicotinate에는 유인반응을 보였다. 토마토 온실에 메밀을 투입하였을 경우 천적곤충인 담배장님노린재의 밀도는 무처리 대비 15일간 약 16배로 높게 유지되었다. Push-pull 세부전략들을 종합 처리한 결과, 처리 50일 경과 후 담배가루이의 트랩당 밀도는 무처리 대비 3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시기별 방제효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가운데 최고 68.7%였다.

온실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LED 트랩 방제효과 (Efficiency of LED Trap on Controlling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Adults in Greenhouse)

  • 전주현;이상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43-245
    • /
    • 2014
  • 온실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LED 트랩의 시설재배지내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white LED (450-625 nm) 및 yellow LED (590 nm) 트랩과 광원이 장착되지 않은 트랩을 이용하여 유인활성을 비교하였다. 광원별 일일 포획 밀도 변화는 yellow LED 트랩에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hite LED 트랩 또한 유사한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로 사용된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트랩의 경우 광원이 설치된 트랩보다 적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white LED 및 yellow LED 트랩이 시설재배지내에서의 친환경적 해충방제법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Begomoviruses and Their Emerging Threats in South Korea: A Review

  • Khan, Mohammad Sajid;Ji, Sang-He;Chun, Se-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23-136
    • /
    • 2012
  • Diseases caused by begomoviruses (family Geminiviridae, genus Begomovirus) constitute a serious constraint to tropical and sub-tropical agro-ecosystems worldwide. In recent years, they have also introduced in temperate regions of the world where they have great impact and are posing a serious threat to a variety of greenhouse crops. Begomoviral diseases can in extreme cases reduce yields to zero leading to catastrophic losses in agriculture. They are still evolving and pose a serious threat to sustainable agriculture across the world, particularly in tropics and sub-tropics. Till recently, there have been no records on the occurrence of begomoviral disease in South Korea, however, the etiology of other plant viral diseases are known since last century. The first begomovirus infected sample was collected from sweet potato plant in 2003 and since then there has been gradual increase in the begomoviral epidemics specially in tomato and sweet potato crops. So far, 48 begomovirus sequences originating from various plant species have been submitted in public sequence data base from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The rapid emergence of begomoviral epidemics might be with some of the factors like evolution of new variants of the viruses, appearance of efficient vectors, changing cropping systems, introduction of susceptible plant varieties, increase in global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intercontinental transportation networks, and changes in global climatic conditions. Another concern might be the emergence of a begomovirus complex and satellite DNA molecules.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athosystems is needed for the designing of effective managements.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wards the integration of the resistant genes for the development of transgenic plants specially tomato and sweet potato as they have been found to be widely infected in South Korea. There should be efficient surveillance for emergence or incursions of other begomoviruses and biotypes of whitefly. This review discuss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gomoviruses, transmission by their vector B. tabaci with an especial emphasis on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begomoviruses in South Korea, and control measures that must be addressed in order to develop more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시설내 온실가루이와 온실가루이좀벌의 발생 및 주내분석 (Occurrence and Within -Plant Distribution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and Encarsia formosa (Gahan) in Greenhouse)

  • 박종대;김도익;박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21
    • /
    • 1998
  • 온실가루이의 발생량은 성충과 약충 모두 토마토보다 오이에서 많았다. 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는 오이에 접종후 3일째부터 유인되기 시작하여 3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온실가루이좀벌은 접종 15일째부터 성충이 유인되었다. 온실가루이 성충은 오이잎의 최상위 부분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약충은 초기에는 상위부분에서, 40일째 이후에는 하위부분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온실가루이좀벌 성충은 중상위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부위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온실가루이좀벌에 의한 온실가루이 mummy는 오이의 중하위부분에서 발생이 많았다. 온실가루이의 방제를 위하여 온실가루이좀벌을 방사하는 시기는 황색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 성충이 1주일 동안 5마리 정도 잡히기 시작할 때 온실가루 이좀벌mummy를 오이 5주당 50마리(1tag)씩 방사한 경우 방사후 40일정도에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토마토 온실에서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노란색 및 백색 트랩의 방제효과 (Efficiency of Yellow and White light Traps on Controlling Tobacco Whitefly in tomato Greenhouse)

  • 이중섭;이재한;박경섭;여경환;김진현;권준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2-437
    • /
    • 2017
  • 토마토 작물에 발생하는 B. tabaci에 대한 예찰을 위해 시설재배지뿐만 아니라 노지 재배에서도 노란색 점착카드트랩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예찰트랩의 색상과 굴절되는 빛의 강도 및 환경 변화에 따라 B. tabaci 유인력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온실에 발생하는 B. tabaci 성충에 대한 light 트랩의 시설 재배지내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white light (450-625nm) 및 yellow light (590nm) 트랩과 광원이 장착되지 않은 트랩을 이용하여 유인 활성을 비교하였다. 본 시험결과 광원별 B. tabaci 포획밀도는 yellow light 트랩(525 nm)에서 $168{\pm}7.6$(마리/트랩)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hite light 트랩에서는 $106{\pm}4.6$(마리/트랩)으로 다소 낮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로 사용된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트랩의 경우 광원이 설치된 트랩보다 적은 $60{\pm}4.8$(마리/트랩)의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yellow light trap과 white light 트랩에서 높은 B. tabaci 성충의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yellow light 및 white light 트랩이 토마토 시설 재배지에서의 B. tabaci 성충에 대한 친환경적 해충 방제법의 일환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에서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Bemisia tabaci (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o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in Greenhouse)

  • 박석희;이중환;우진하;최성용;박소득;박홍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6-201
    • /
    • 2014
  • 본 연구는 참외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참외 접목묘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2010년 6월 8일에 정식하였고, 담배가루이 성충을 7월 14일에 1, 5, 10, 20마리/10엽 밀도로 각각 접종하였다. 접종 60일 후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는 20마리 접종 처리구의 경우 초기 접종밀도보다 24.9배 증가하였다. 담배가루이에 의한 잎과 과실의 피해는 접종 후 20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접종 60일째에 피해엽율과 피해과율은 각각 28.5%와 31.5%였다. 담배가루이 접종밀도와 피해과율과의 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Y = 0.961X + 0.0562($R^2$= 0.976)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식에 따라 계산된 참외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5.1마리/엽, 요방제 수준은 경제적 피해수준의 80%인 4.1마리/엽이었다.

북한 씨감자 생산에서의 병해충 발생(2001-2005) (Potato Pests Observed in Seed Potatoes, North Korea during 2001 to 2005)

  • 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12권1호
    • /
    • pp.1-4
    • /
    • 2006
  • 2001년 이후 2005년까지 북측의 씨감자 생산은 남북 협력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어 일부는 이미 3급종자(G3)까지 공급되어 증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씨감자 생산 체계의 상위단계인 조직 배양과 양액씨감자(G0) 생산에서는 성공적이었으며, 다음 단계인 1급(G1)$\sim$4급종자(G4)를 어떻게 무병, 격리 조건에서 감염율을 적게 유지, 증식,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벌써 상위단게 씨감자 생산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특히 남북한의 지속적인 협력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Insecticidal Activity of Paecilomyces fumosoroseus SFP-198 as a Multi-Targeting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The Greenhouse Whitefly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 Kim, Jae-Su;Roh, Jong-Yul;Choi, Jae-Young;Shin, Sang-Chul;Jeon, Mun-Jang;Je, Ye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7권2호
    • /
    • pp.181-187
    • /
    • 2008
  • An entomopathogenic fungus, Paecilomyces fumosoroceus SFP-198 was isolated in Kyungbuk province, Korea and screened out for the control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nymphs. It showed 72.5% efficacy against second instars of T. vaporariorum nymphs at 6 days after treatment in the laboratory. To select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mass production and the formulation, SFP-198 culture products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T. vaporariorum nymphs. Among them, conidia and blastospores showed much high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supernatants. Furthermore, SFP-198 conidia were more heat-resistant than blastospores, and also powder form of conidia was more stable than their suspension form. SFP-198 conidia showed high pathogenicity on not only T. vaporariorum but also Tetranychus urticae in the glasshouse. This result suggested that SFP-198 conidia can be used as a multi-targeting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sucking agri- cultural pests, such as whiteflies and m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