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leafhopp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주요 수도품종의 부진자류 저항성에 관하여 (Studies on Resistance of Rice to the Leaf and Planthoppers)

  • 김규진
    • 기술사
    • /
    • 제10권3호
    • /
    • pp.8-16
    • /
    • 1977
  • The pbjective of this study to clarify the varietal resistance to green leaf-and planthopper and the evaluate the nature of the resistance to the insects in connection with the Antibiosi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action of the varieties to insects with 46 rice varieties including recommended varieties of korea, At seedling stage they were in fested with second of third inster nymp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ice vari eties tested showed highly susceptible reaction to Brown planthopper except Mudgo, KR 108-143- and HR529-41-3-2 as resistance, and Akamoch, Satominori, IR 24 and IR 8 asmoderately suscptible. 2. In the test of varietal resistance to white backed planthopper Mudgo, KR 108-243-1, KR 109-154-2 and HR 529-45-3-2 were resistance, and Suweon 82, Tongil, IR 8 palkeum, Iri 309, Hokwa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3. Most of the varieties tested were observed highly resistance to green leafhopper, but Tongil, Suweon 82, IR 24, Milsu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4. the new bred lines HR 108-243-1 are multiple resistance of Brown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and white babked planthopper, and some others showed moderatly susceptible as. IR 8: Brown planthopper, white backed planthopper. IR 24: Brown poanthopper, green leafhopper. Tongil: suweon #82, Chukoku #31, whist backed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 PDF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L.) 구기내의 미각감각기 (The Gustatory Sense Organs in the Mouthparts of the Adult Green Leafhopper (Cicadella viridis L.))

  • 이비파;한성식;이문홍;최귀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1-208
    • /
    • 1990
  • 말매미충(Cicadella viridis L.)의 구기에 있는 미각감각기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전구강에 위치한 상인두의 D-sensilla는 10개이며, 상인두 함입부의 양쪽변에서 P-sensilla 8 개가, 하인두의 식도 중간부위에서 H -sensilla가 2개 관찰되었다. D- 및 P-sensilla는 형태적 으로 2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D- 및 P-sensilla로부터 유래된 신경다발 1쌍씩은 상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H -sensilla로부터의 신경다발 1쌍은 하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관찰되었다.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난기생봉의 종류 및 기생율에 관한 조사연구 (Egg Parasitism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by Gonatocerus sp. and Paracentrobia andoi in Southern Rice Cultural Areas)

  • 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2
    • /
    • 1980
  • 본답후기인 8중-9상순에 걸쳐 끝동매미충 난에 기생하는 기생봉의 종류와 이들의 기생율을 남부 4개 지역에서 재래품종과 통일계통 품종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에 기생하는 실적으로 Gonatocerus sp. 2종과 Paracentrobia andoi 그리고 Anagrus sp. 1종 등 모두 4종의 난기생봉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2. 기생율 조사 결과 Gonatocerus sp.의 평균 난괴기생율과 난립기생율은 각각 $58.8\%$$41.0\%$였고 Paracentrobia andoi의 경우에는 각각 $6.2\%$$5.3\%$로서 Gonatocerus sp.가 Paracentrobia andoi의 기생율 보다 훨씬 높안 우점종을 이루어 있었으며 이들 두 종이 같은 난괴에 혼재하는 율은 $5.4\%$였다.

  • PDF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수도 신품종 밀양 21 및 23호의 저항성 (Resistance of the New Varieties Milyang $\#21\;and\;\#23$ to Plant-and Leaf-hoppers)

  • 최승윤;이정운;이형래;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7-151
    • /
    • 1976
  •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cdot$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cdot$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cdot$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끝동매미충 난기생봉 (Paracentrobia andoi)에 관한 연구(I) (Studies an the Egg Parasite, Paracentrobia andoi Ishii (Hymenoptera : Trichogrammatidae)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ticeps Uhler (1))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1
    • /
    • 1984
  •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21\%$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0\%$, 남해, 김해 및 진주는 $9.6\~29.2\%$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16.5\%$$36.7\%$였다.

  • PDF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1)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최승윤;송유한;박중수;손병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3
    • /
    • 1973
  • 끝동매미충에 대한 국내장여품종, 계통 및 IRRI선발품종의 저항성정도, 그들 품종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산난선호성, 식이선호성, Antibiosis 및 몇개 지역의 끝동 매미충에 대한 벼의 저항성차이 유무를 알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국내장여품종은 모다 감수성(S) 반응을 보였고 IR 667에서 얻어진 품종과 계통은 중간성(M) 반응을 보였다. 2. IRRI 선발품종중 Bir-tsan-3, MTU-15, DK-1, DV-139, H105, ASD-7, MGL-2, PTB-18, Muthumanikam 및 Vellanlangalayan은 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IR20과 Mudgo는 중도저항성을 보였으며 IR8, IR22, Pankari-203, Su-Yai-20 및 T(N)1은 감수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3. Nephotettix cincticeps와 N. impicticeps간에 현저히 다른 반응을 나타낸 품종은 H105, IR8, Mudgo, Pankari-203 및 Su-Yai-20이었다. 4. 산난선호성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비교적 많은 산난수를 보인 품종은 Suweon 215, Shirogane, Su-Yai-20 및 Milsung 등이었고 비교적 적은 품종은 Palkweng, Kimmaze, Mudgo 및 Akibare 등이었다. 5. 식이선호성도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비교적 부착충수가 많은 품종은 Shirogane, $Shin{\#}2$, Paltal 및 Nongbaek등이었고 비교적 적은 부착충수를 보인 품종은 Su-Yai-20, TKM-6, Mudgo 및 Murunga 137 등이었다. 6. 유묘의 저항성과 산난선호성, 식이선호성들 간에 유의한 상관은 없었으나 유묘의 저항성과 식이선호성은 비교적 깊은 관계가 있는 것 같았다. 7. 공시품종에 대한 부화약충의 생존충율에 있어서 PTB-18은 3일만에, Muthumanikam은 7일만에, Vellanlangalayan과 H105는 8일만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으며 그 외에도 저항성품종에서 낮은 생존충률을 보였다. 8. 수원, 이리, 밀양 및 진주 4개 지역의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반응에 차이가 없어 끝동매미충의 생태형은 찾아 볼 수 없었다.

  • PDF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저항성 및 그 기작에 관한 연구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1975
  • 1974년도 IRRI(국제미작연구소)에서 새로 입수된 48개 종품 및 게통을 공시하여 한국산 끝동매미충에 대한 저항성품종 및 게통을 선발하고 나아가 몇가지 저항성기작을 검토하기 위해 본 시험을 실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끝동매미충에 대한 유묘검정에서 48개 품종 또는 계통중 저항성반응(R)을 보인 것은 Balamawee, IR-26, IR-1529-525-2-2, IR-1539-1042-6, IR2061-214-2-3-5, IR2061-214-2-3-6, Jhingasail, Murungakayan 및 Vunam등 9개 품종 또는 계통이었고 중도저항성반응(MR)을 보인 것들로서는 Chianung-Shen-Yu-11, C62-1-230, C62-1-373, Dikwee, D204-1, Murungakayan-3, Palasithari-601, Peta-2802, RP6-516-34-1-8(TKM $6\times IR8$), RP6-590-10-1-11(TKM6$\times$IR8), RP9-4(IR8$\times$W1251)등 11개 품종 또는 계통이었다. 2. 저항성 및 중도저항성반응을 보인 것들을 공시하여 약충접종에 의한 저충성검정시험결과 저항성반응을 보인 것은 모두 $100\%$의 사충율을 보였으나 몇몇 품종 또는 계통에서 사충율이 좀 저하하였고 저조한 우화율을 나타내었다. 저항성반응을 보인 벼에서 2영기 약충이 살아 남을 수 있는 일수는 3-10일에 불과하였다. 즉, 유묘의 반응에서 저항성으로 나타난 벼들은 고도의 저충성이 있음을 보였다. 3. 저항성반응을 품종 또는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을뿐더러 유묘의 저항성반응과도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저항성기작은 저항성 뼈는 고도의 항충성(Antibiosis)을 지니고 낮은 식이선호성(Non-feeding preference)을 나타내지만 감수성 벼는 반대로 항충성을 지니고 있지 않은데다가 높은 식이선호성을 나타내는데 있다고 보아진다.

  • PDF

벼와 벼과 잡초에 따른 끝동매미충 유충의 발육 및 성충의 수명과 산란의 차이 (Differences in Nymphal Development,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thotettix cincticeps Uhler Fed on Rice Cultivar and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Ohwi at Various Temperatures)

  • 최주수;박영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1-125
    • /
    • 2001
  • Some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itcs of the green rice leafhopper(GLH) , Nepthotettix cincticeps Uhler in terms of nymphal development, emergence ratio. preovipositional period, growth index,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fed on rice cultivar, Chucheongbyeo with no resistance gene and water foxtail, Al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Ohwi at 20 and $25^{\circ}C$ with a 16L;8D photoperiod. Development period of nymph on rice cultivar and water foxtail at $25^{\circ}C$ was shorter than that at 2$0^{\circ}C$ by twofold. The nymphal period of female was about one day longer than that of male. The mean emergence ratio of female and male on rice cultivar and water foxtail was 40.0, 76.7, 38.3, 73.3% at 20 and $25^{\circ}C$, respectively. Preovipositional period on rice cultivar and water foxtail at $25^{\circ}C$ was shorter that at 2$0^{\circ}C$ by twofold. Growth index on rice cultivar adn water foxtail at $25^{\circ}C$was higher than that at 2$0^{\circ}C$ by fourfold. Under the 20 and $25^{\circ}C$ condition,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as longer on water foxtail than on rice cultivar, but the fecundity of GLH was higher on rice cultivar than on water foxtail. In conculsion, water foxtail seems to be adequate for spring host of GLH.

  • PDF

사육온도 및 광조시간이 끝동매미충의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Fecundity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191
    • /
    • 1978
  • 본 실험은 끝동매미충의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발육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여 실내 대양사육에 적합한 온도와 일장의 범위를 밝히고 나아가 온도와 발육속도와의 함수관계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교적 고온조건인 $33^{\circ}C$$35^{\circ}C$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a 우화율이 높았으나 변온처리($28^{\circ}C$$319{\circ}C$ 각 12시간)에서는 발육이 지연되었다. 2. 성충의 산란력은 고온$(35^{\circ}C)$)에서 약충기를 거친 성충은 산란수가 매우 적었으나 $29^{\circ}C$에서 우화한 성충은 고온$(33^{\circ}C)$에서 많은 산란을 하였다. 3. $29^{\circ}C$에서의 일장은 약충의 발육 및 우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4. 약충의 발육속도는 $29^{\circ}C$까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빨라졌으나 고온$(33-35^{\circ}C)$에서는 증가율이 둔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5. 이상의 결과로 적합한 사육조건은 약충기에 $27-29^{\circ}C$, 성충기에 $33^{\circ}C$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진주지방(晉州地方)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개체군(個體群)의 연중발생경과(年中發生經過) (Development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Population in the Fields at Jinju)

  • 엄기백;이문홍;최궨문;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03-208
    • /
    • 1986
  • 끝동매미충의 월동후부터 본답말기 까지의 밀도를 조사(調査)하여 발육경과(發育經過), 우화시기(羽化時期), 암성충의 성숙율등(成熟率等)을 조사(調査)하였다. 1. 끝동매미충은 주로 4령충으로 휴반잡초(雜草)에서 월동(越冬)하며 발육(發育)이 시작되면서 휴한답(독새풀)으로 이동(移動)하였다. 2. 월동성충(越冬成蟲)의 50%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4월(月) 8일(日) '78년(年)이 3월(月) 30일(日)이었다. 3. 월동성충(越冬成蟲)의 산란(産卵)은 4월(月) 하순(下旬)부터 5(月) 상순(上旬) 사이에 가장 많이 되었다. 4. 제1세대(第1世代) 성충(成蟲) 50% 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6월(月) 11일(日) '78년(年)이 6월(月) 10일(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본답(本畓)에서는 2세대(世代)를 경과(經過)하였으며 연도간(年度間) 큰차(差)없이 안정(安定)되어 있었다. 6. 머리파리류(類)에 의한 기생율(寄生率)은 7월중순(月中旬)부터 8월중순(月中旬)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