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semester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6초

디자인 씽킹 기반의 자유학기제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Free Semester Program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 김경민;박현숙;김명희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77-179
    • /
    • 2018
  • 교육부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입시 위주의 교육과 경쟁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서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유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다. 디자인 씽킹은 공감과 관찰을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생각하여 실제 현실적으로 만들어보는 단계를 거치면서 융합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씽킹 기반의 3D 모델링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체험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취지에 적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Multilevel analysis approach to analyzing the effects of team diversity on team members' individual creativity and creative activities such as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 Chae, Seong Wook;Lee, Kun Ch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77-88
    • /
    • 2015
  •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 diversity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members' creative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e have garnered 40 team data from 249 respondent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team learning activities during semester in a private university. They were asked by instructor to show their creativity, and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ctivities. The 40 teams were made up of team diversity factors such as study hour and leisure activity. We used a multilevel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m diversity factors on team member's creativity, and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eam diversity factors like study hour and leisure activ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Practical implications represent that teams need to be organized considering the team diversity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eam member's creativity, and their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ctivities.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A Statistical Survey of the Freshmen's Math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Subdivision Areas of KSAT)

  • 김영희;허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3-535
    • /
    • 2006
  • We surveyed statistically the freshmen's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mathematics courses in Kwangwoon University, which were opened at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06. In doing so, we classified the freshmen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rea 'ga' or 'na' and the Natural Science or Social Science Area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which they have chosen. We found that the freshmen who have chosen the Mathematical Area 'na' and the Social Science Area have the serious problem in studying the freshmen's math courses.

  • PDF

A Study on Education Utilizing Metavers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a Convergence Subject

  • Jeon, Ju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4호
    • /
    • pp.129-134
    • /
    • 2021
  • Since the first semester of 2020,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mostly provided untact online classes and limitedly provided 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in operating courses. The convergence subjects provided in undergraduate courses attach importance to contents-centered, design-based, hands-on education, and field experience. In the situation where online education was not revitalized, instructors in charge of convergence subjects had difficulty in developing online class material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was not high. Especially, a problem was raised that students taking the convergence subjects that included practice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instructors. We would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distance learning in domestic universities, which came suddenly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 and make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in the coming era of Metaverse by emphasiz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an analysis of distance learning of a convergence subject.

온라인 커뮤니티 보조의 팀 학습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공유된 정신모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Line Community Assisted Team Learning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on the Scores of Shared Mental Model Subscales)

  • 전명남;박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41-552
    • /
    • 2012
  •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커뮤니티 보조의 팀 학습(Online-Community Assisted Team Learning: OCATL)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공유된 정신모형(Shared Mental Model: SMM)'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내는데 있다. 각기 다른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학기 동안 두 개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우선, 연구1에서는 OCATL을 실시하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33명(남학생 80명, 여학생 53명)의 참가 대학생들의 OCATL 참여 전 후 학점에서의 평점평균(GP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OCATL 활동에는 '오리엔테이션', '협동학습 세미나', '온라인 학습커뮤니티 보조의 학기별 16시간 이상의 팀 학습', '최종보고서 제출'의 과정이 포함되었다. OCATL 활동 전후의 학점에서의 점수변화를 t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연구2에서는 OCATL을 실험집단(10팀)에 제공하고 통제집단(15팀)에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보조를 제외한 팀학습을 하도록 하여 활동이 종료된 후에 SMM에서의 척도 점수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총 학생수는 74명이었다. SMM 측정은 Johnson(2011)이 개발한 SMM 척도의 단축문항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팀 학습 이후 측정한 SMM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변인분산분석(MANOVA) 결과,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환경을 지원된 팀학습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SMM의 하위 구성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집단을 독립변인으로 한 단변랑 분산분석(ANOVA) 결과, '일반과제와 팀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역동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팀만족도' 점수에서 실험처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일반화학 학습의 맥락에서 동기적 신념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관한 개념생태의 범주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Concerning Motivational Beliefs and Socio-Cultural Values in the Context of General Chemistry Leanring)

  • 이선경;박현주;김우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6-28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학 학습의 맥락을 형성하는 대학생의 개념생태를 알아 보고자하였다.연구는 1999년도 1학기에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1학년 학생들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성적 방법으로 수행 되었다. 연구 자료는 3차에 걸친 면담, 수업 직접관찰, 여러 번의 퀴즈와 중간${\cdot}$기말 시험, 그리고 학생들이 작성한 수필 형식의 글과 수업관찰 일지에서 수집 되었다. 연구자는 3 성분 분석 방법에 따라 자료를 연구 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개념 생태는 크게 인식론적 관점,동기적 신념,사회-문화적 가치의 세 범주로 나뉘어졌다. 이들 개념생태의 세 범주 중에서도 특히, 동기적 신념과 사회 선회적 가치의 범주가 일반화학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를 전형적인 사례 연구로 제시하고 화학학습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 PDF

온라인 교양 수업에 대한 대학 교원의 인식 (A Study on Instructors' Perspective of Online General Education Classes - Focusing on the Case of C University)

  • 한진희;윤지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37-54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불가피하게 진행된 온라인 교양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교수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교양 수업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대학의 교양대학에서 2021학년도 1학기 말에 실시한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54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교양 수업의 전체적인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만한 변인들에 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는 온라인 교양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전체 만족도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변인에서는 각각 2.80, 2.87의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외 요인들에 대해서는 전체 만족도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에 사용된 플랫폼에 관한 만족도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했다. 따라서 교수자의 온라인 교양 수업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플랫폼에 교수자는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교수자를 위한 사전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과 한정된 변수만을 측정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Course Completion and Ways to Raise Selection Rates of General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이일;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7-2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2학년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과 고교학점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이 수강한 과학과 선택과목의 연도별, 학교유형별, 지역별 현황을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9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초점집단으로 구성하여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11월 기준으로 12개 시·도 교육청의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자 수는 물리학I 163,710명, 화학I 216,754명, 생명과학I 290,736, 지구과학I 200,861명이며, 학생 1인당 수강 과목의 수는 2.4개로 확인되었다. 학교유형별로는 자율고의 수강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의 비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일반선택과목의 학기당 이수단위는 3단위(61.5%)와 2단위(28.7%)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수단위별 수강 비율은 교육청 간에 편차가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방안으로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3단위 분량으로 선택과목을 재구성, 지식보다는 역량 중심의 내용 구성, 교사의 수업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교과 중심 연수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화 기반 교양교과 수업 활동 탐색 - 영화 「언터처블: 1%의 우정」 중심으로 (Recognition of General arts classes based on movie - Focused on the movie "Untouchables: 1% friendship")

  • 김성원;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3-7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영화를 기반으로 한 교양교과 수업에 실제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영화를 기반으로 교양교과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화 6편 중 '언터처블: 1%의 우정' 중심으로 수업 활동을 분석하여 전개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 2016년 1학기에 개설된 교양과목 '영화로 만나는 창의적 융합' 강좌에 수강한 대학생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수업방식에서 탈피한 창의성 수업으로 영화를 감상하고 퀴즈를 온라인을 통해 선행학습한 이후 과제, 발표, 실험, 체험 등을 정규 수업시간에 수행하는 교육방법으로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화를 활용한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결과는 다음과 같다. '움직임이 살아있는 교양수업이다', '영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보게 하는 교양수업이다', '나를 알게 하는 교양수업이다' 로 나타났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라는 교육매체와 틀에서 벗어난 공간에서 활동하는 교양수업이 대학생들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고 재미를 더해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P 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General Graduate School: focusing on the case of the graduate class at P university)

  • 김미호;기희경;지미영;김현지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3권2호
    • /
    • pp.1-27
    • /
    • 2023
  • 본 연구는 P 대학교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수업에서 석박사 재학생들의 토의토론을 중심으로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선행연구와 P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운영 현황과 특이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대학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구성원들의 비전 공유를 위해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목표와 정체성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복합적 교육 문제해결에 적합하도록 학사 구조와 석·박사과정의 운영 체제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제적 연구와 실천을 위하여 공동 연구와 공동 지도 및 프로젝트 내실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구성원 간 개방적 네트워크와 국제화 및 실효성 높은 교육을 위한 대학원의 인적 및 물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발전방안들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교육학과의 체제 및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별 구성원 또는 공동체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