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General Graduate School: focusing on the case of the graduate class at P university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P 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Kim, Mi Ho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ee, Hee ky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i Mi yo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 Ji (Tongmyong University)
  • 김미호 (부산대학교) ;
  • 기희경 (부산대학교) ;
  • 지미영 (부산대학교) ;
  • 김현지 (동명대학교)
  • Received : 2023.11.27
  • Accepted : 2023.12.22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pla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s a general graduate school at P university. Previous studies dealt with the development plans were reviewed and comprehensive analyses conducted for the department of the general graduate school at P university. Public discussions and debates for the enrolled students in the course of Master and Doctor's degree were held during the semest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reach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objectives and identities of the department as a general graduate school to share vision with the members. Then,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the changes of Master and Doctor's course in the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 for the multidisciplinary education problem-solving. Third, it is vital to plan substantial co-work, cooperative instruction and projects for the feasible research and practice. Finally, the open network among the graduate school members and human/physical environments are needed for the higher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plan would not be individually pursued but regarded as the organic relations embracing various and influential factors to the system and support of the department.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make persistent efforts for the personal or communal dimension to develop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s a general graduate school.

본 연구는 P 대학교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수업에서 석박사 재학생들의 토의토론을 중심으로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선행연구와 P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의 운영 현황과 특이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대학 교육학과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구성원들의 비전 공유를 위해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목표와 정체성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복합적 교육 문제해결에 적합하도록 학사 구조와 석·박사과정의 운영 체제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제적 연구와 실천을 위하여 공동 연구와 공동 지도 및 프로젝트 내실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구성원 간 개방적 네트워크와 국제화 및 실효성 높은 교육을 위한 대학원의 인적 및 물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발전방안들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교육학과의 체제 및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교육학과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별 구성원 또는 공동체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수(2002). 대학원 교육의 이념과 기능. 대학교육, 120, 13-21.
  2. 고등교육법 제 29조 2항. (대학의 종류). (전문개정. 2011. 7. 21.).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A0%EB%93%Bl%EA%B5%90%EC%9C%Al%EB%B2%95 에서 2021. 6. 15 인출.
  3. 고등교육법 제 30조 (대학원대학). (전문개정 2011. 7. 21.).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A0%EB%93%Bl%EA%B5%90%EC%9C%Al%EB%B2%95 에서 2021. 6. 15 인출.
  4. 교수신문(2013.03.10.) 지방대 박사과정 4명중 1명은 특수대학원석사.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8525 에서 2021. 9. 7. 인출.
  5. 국가교육통계센터(2020a). 대학통계 연도별 학년별 재적학생수. https://kess.kedi.re.kr/mobile/stats/school?menuCd=0102&cd=5074&survSeq=2020&itemCode=01&menuId=m_010205&uppCdl=010205&uppCd2=010205&flag=A 에서 2021. 6. 15 인출.
  6. 국가교육통계센터(2020b). 대학통계 연도별 재적학생수. https://kess.kedi.re.kr/mobile/stats/school7menuCd=0102&cd=5073&survSeq=2020&itemCode=01&menuId=m_010205&uppCdl=010205&uppCd2=010205&flag=B 에서 2021. 6. 15 인출.
  7. 국가교육통계센터(2020c). 학과계열별입학자수. https://kess.kedi.re.kr/stats/school?menuCd=0102&cd=4773&survSeq=2012&itemCode=01&menuId=m_010208_03_01020803&uppCdl=01020803&up pCd2=01020803&flag=B 에서 2021. 9. 7 인출.
  8. 김세련, 최고은, 박인우(2020).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방법연구, 32(3), 487-510. http://dx.doi.Org/10.17927/tkjems.2020.32.3.1
  9. 김원찬(2004). 대학원 교육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대학교육, 130, 8-15.
  10. 김창환(1995).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11(1), 1-17.
  11. 김혜진, 김혜나, 김종민, 강신범, 남기곤, 박수홍, 강문숙(2012). 체계적인 액션러닝을 활용한 대학 원 신입생 학교생활 지원 콘텐츠 개발 및 적용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2(3), 89-108.
  12. 대학알리미 (2021).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https://www.academyinfo.go.kr/pubinfo/pubinfo0081/doInit.do?schlId=0000773&schlMjrId=0035316&mjrId=0008914&mjrNm=%EA%B5%90%EC%9C%Al%ED%95%99%EA%B3%BC&schNm=%EB%B6%80%EC%82%B0%EB%8C%80%ED%95%99%EA%B5%90%20%EC%9D%BC%EB%B0%98%EB%8C%80%ED%95%99%EC%9B%90&svyYr=2021#none 에서 2021. 7. 28 인출.
  13. 문지윤(201 9).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교육학 박사과정 대학원생의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http://dx.doi.org/1073-1101.10.22251/jlcci.2019.19.24.1073
  14.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http://dx.doi.org/10.15708/kscs.25.3.200709.011
  15. 방현희, 이미정, 레기영짱(2015). 한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1(4), 309-334. http://dx.doi.org/10.24159/joec.2015.21.4.309
  16. 부산대학교(2021). 제26호 2020 통계연보 부산: 부산대학교.
  17.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쟁률 및 충원율(2021). http://www.gradmap.co.kr/rate/ratel070.htm에서 2021. 07. 28 인출.
  18. 부산대학교 ВК21 교육의 사회적 연구단(2021). 교육연구단 소개. https://bkesr.pusan.ac.kr/bkesr/56785/subview.do 에서 2021. 07. 28 인출.
  19. 신현석(2011). 대학원 체제의 미래 비전과 추진방안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17(1), 156-192. UCI : G704-001273.2011.17.1.001
  20. 신현석, 안선회, 엄준용(2013). 일반대학원 교육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26(4), 109-138. UCI : G704-001272.2013.26.4.002 G704-001272.2013.26.4.002
  21. 신현석, 이은구, 김겸훈, 노명순(2008).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대학원 교육의 질 만족요인 탐색. 교육문제연구, 31, 49-77. UCI : G704-001272.2008..31.003 G704-001272.2008..31.003
  22. 신희권(2010). 대학원 교육과정의 내실화 방안 모색.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0(-), 13-27.
  23. 안유리, 이대균(2012).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7-52. UCI : G704-000666.2012.17.6.011 G704-000666.2012.17.6.011
  24. 연합뉴스(2021. 06. 21). 20년 전보다 전문대 졸업자 25%↓ 대학원 졸업자 86%↑. https://www.yna.co.kr/view/AKR20210621066700530 에서 2021. 6. 25 인출.
  25. 이상수(2000). 학습조직 진단을 위한 준거 개발. 교육연구, 23, 83-102.
  26. 이상수, 김은지, 김현지, 이유나(2021). 교육의 사회적 책임 의미 탐색. 교육혁신연구, 31(1), 85-112. http://dx.doi.org/10.21024/pnuedi.31.l.202103.85
  27. 이수정, 김승정(2020).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생의 대학원 학습경험과 진로에 관한 연구.아시아교육연구, 21(3), 879-906. http://dx.doi.org/10.15753/aje.2020.09.2L3.879
  28. 이영신(2020). 현직 교사의 대학원 경험과 의미에 관한 사례 연구: K대학교 교육행정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지방교육경영, 23(1), 65-93.
  29. 이영민, 임정연(2011). 4 년제 대졸자의 대학원 진학 결정요인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4(3), 233-258. http://dx.doi.org/10.36907/krivet.2011.14.3.233
  30. 임희진, 김소현, 박혜연, 김경호(2016). 연구중심대학 석사과정 학생의 대학원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7(3), 379-408. UCI : G704-000733.2016.17.3.011
  31. 장유나, 강윤경, 배상영, 오현정, 홍세희(2020).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학원 교육학과 세부전공 분석. 교육문화연구, 26(4), 407-426. http://dx.dd.Org/10.24159/joec.2020.26.4.407
  32. 최윤미, 김민성, 홍윤경, 남창우(2010). 연구역량에 대한 이해 대학원생, 연구원, 교수 집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2), 1-27. http://dx.doi.org/10.15753/aje.2010.11.2.001
  33. 최인희(2020). 대학원생의 특징 및 대학원 진학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8(4), 23-43. http://dx.doi.org/10.18230/tjye.2020.28.4.23
  34. 한국교육개발원(2018).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고등교육통계편.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35.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진학자들의 취업 실태. KRIVET Issue Brief 28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峰谷 美糖 & 柳顧 博一(2018). 대학의 위기, 뒤집어보면 기회다[混ぜる敎育 : 80カ国の学生ガ学ぶ 立命館アジア太平洋大学APUの秘密]. (김대식 역). 서울: 매경출판. (원전은 2016에 출판)
  37. Bird, B. L. (2017). Student and staff perceptions of the international postgraduate student Experience: a qualitative study of a UK university.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ents, 7(2), 329-346.
  38. Brighouse, H., & McPherson, M.(2020). 고등교육의 목적: 도덕과 정의의 문제[The aims of higher education : problems of morality and justice]. (이지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5에 출판)
  39. Carey, K.(2016). 대학의 미래: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열린 교육의 탄생[End of college : creating the future of learning and the university of everywhere]. (공지민 역). 서울: 한국방송 대학교출판문화원. (원전은 2015에 출판)
  40. Jex, S. M., & Britt, T. W.(2019). Organizational Psychology: A scientist-practitioner approach(3rd Ed.), (박영석, 서용원, 이선희, 이주일, 장재윤 역). 조직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8에 출판)
  41. Weidman, J. C., Twale, D. J., 及 Stein, E. L. (2001). Socialization of graduate and professional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 perilous passage? ASHE-ERIC Higher Education Report, 28(3).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