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 cultur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19초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적 조경양식 특성 -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Dumbarton Oaks)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classical Style in American Garde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Dumbarton Oaks by Beatrix Farrand -)

  • 이형숙;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9-166
    • /
    • 2014
  •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유럽의 고전주의 양식의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닌, 아트 앤 크래프트의 기본철학을 배경으로 미국의 지역적 특성과 주변환경 및 문화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된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덤바튼 오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러 개의 가든룸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정원공간은 다양한 지면의 높이를 갖는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적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둘째,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공존, 대칭 및 의도적인 비대칭의 조화이다. 셋째, 식재선택 및 재식방법에 있어서도 유럽 고전주의 양식과 영국의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공존하며, 공간구성 및 형태와 조화되도록 하였다.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Ideals Re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omas Jefferson's Academical Village and Monticello -)

  • 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80
    • /
    • 2012
  • 대체로 정원은 인간의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둘 간의 영향관계로 설명되어 왔다(Francis and Hester, 1990). 이 글은 정원을 인간의 꿈과 이상이 구축된 표상으로 간주하고 그 구체적인 면모를 토마스 제퍼슨의 정원을 사례로 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 것이다. 정치가로서의 면모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토머스 제퍼슨은 직접 여러 정원을 설계하여 조성한 후 몸소 가꾼 정원가이기도 하였다. 그가 직접 설계하고 완성시킨 몬티첼로, 아카데미컬 빌리지, 포플러 포레스트 등에는 그의 국가적 이념으로서 자유와 민주주의, 중농주의 등의 이념적 가치와 함께, 전원에 대한 지향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이상이 숨김없이 표상되어 있다. 정치가이자 신생국의 선각자로서의 이상과 함께 그의 개인적인 꿈과 신념이 공간적으로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추구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거나 그것을 공간적 도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제퍼슨의 이상은 자신은 물론 그 곳을 찾는 이들에게 재음미되고 공유되어졌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퍼슨에게 있어서 정원은 이념과 이상을 공간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무대였다고 할 수가 있다.

아회도(雅會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원림문화 (Landscape Gardening Culture in Late Joseon Dynasty Depicted in 'Ahoi-do' Paintings)

  • 임의제;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57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성행한 아회도가 기록화의 가치를 지님에 주목하여 도판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원림문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회도에 묘사된 원림의 경관과 이용행태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제택에서 아회의 주된 장소는 사랑마당과 후원이었으며, 대저택에서는 높은 담장 위에 정자를 설치하고 샛문을 두는 등 외원(外園)의 경영과 이를 염두에 둔 입지 선정이 주목된다. 둘째, 화훼류를 심은 화분은 주택 정원에서만 사용하고, 사랑마당의 화오(花塢)에 식물 없이 화분과 괴석분을 놓은 경우가 있었으며, 송첨과 그늘시렁 같은 식물 재료를 이용한 전통 차양시설을 설치하였다. 셋째, 제택과 별서 원림에서 괴석이 중요한 경관요소였으며, 일부는 태호석(太湖石)으로 묘사되어 조선후기 원림에 실제 도입된 것인지 그 여부가 주목된다. 넷째, 별서 원림은 목책, 바자울, 토담 등 다양한 재료로 낮은 울타리를 설치하여 차경을 도모하고, 마당을 확보하여 지당, 괴석과 노송, 대나무, 매화, 버들, 오동, 연, 파초를 심어 인위적 정원을 조성하였다. 다섯째,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은 제택과 인접한 한양의 승경지에 별장형 별서를 조영하였다. 여섯째, 누정 원림은 수림(樹林), 기암(奇巖), 단애(斷崖), 수석(水石)이 아름다운 계류변의 자연성이 높은 지역에 입지하였으며, 정자의 뒤편은 대나무 숲으로 위요하고 앞쪽에는 소나무, 은행나무, 버드나무 정자목을 식재하였다. 일곱째, 아회의 장소로 선호되었던 승경의 구조는 기봉(奇峰)과 단애가 골격이 되고 폭포가 어울려 원경을 이루었으며, 부감(俯瞰)이 가능한 산봉우리 너럭이나 송림, 버드나무, 매화가 있는 계류변 너럭바위가 아회의 적지였다. 여덟째, 원림에서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선호된 수종으로 추정되며, 특히 노송(老松)을 단식(單植)하여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아홉째, 전다(煎茶)를 위한 이동식 다로(茶爐) 시설이 네 가지 유형의 원림 모두에 도입되었다. 열 번째, 길상적 경관요소들이 어우러진 원림은 문인들의 금기서화(琴棋書畵) 및 전다를 통한 탈속적 아회를 위한 풍류의 장이었다.

산간지역과 주거지에 입지하는 르 코르비지에 건축의 의도된 경관특징 연구 (A Study on Design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Le Corbuiser's Architecture in Mountain and Residential Area)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5-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Le Corbuiser has intended on a panoramic landscape view through his modern architectural design. This paper is willing to improve that he considered both natural and local landscape scenery, when he designed architecture with drawing images. He designed various ways to see outside scenery and community culture through ribbon windows, piloti, architectural promenade, picture frame, and rooftop garden as the angle of view inside the building, 'designed landscape panorama' from his architecture.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 the analysis of the local landscapes shown through his architecture by photograph, drawing of a real scenery, and his sketches with biology to find what he has inten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three points. First, Le Corbuiser has a basic idea to bear a natural and local scenery from his architecture through five points of new architecture. Second, pilotis, ribbon windows, and roof garden with picture frame and architectural promenade are pathways of his architecture to see 'designed landscape panorama'. Third, it comes from his early architecture like Villa Savoye in 1920s to Couvent de Sainte Marie de la Tourette in 1950s, but Ronchamp church converts his idea on previous thoughts.

한.중.일 고대 원지 비교 분석을 통한 안압지 조영계획의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ap Pon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Palace Ponds in Korea, China and Japan)

  • 박경자;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ap pon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palace ponds in Korea, China and Japan. Anap pond was excavated in 1975-6 and is the oldest orignal pond to be found among Koran garden sites. Anap pond was made just before Shilla drove out Tang, after Shilla ruined Paekjae and Koguryo with the Tang army. This was a time Shilla enjoyed a multi-cultural situation due to interaction with Paekjae and Koguryo refugees, as well a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mbassadors sent to Tang who were well aquainted with Tang culture. Anap pond shows the influence of not only the indigenous mountain-god myth, but also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mm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it also depicts the special form of space inbued with the exquisite aesthetic taste of Shilla people, which started with Anap pond hardened in Gaen temple, and which bloomed in Sukgulam. Scenery structure analysis gives a supposition of the center building on the western coatland, and sequential analysis gives the feeling of being at sea, analysised by root square shape analysis, equal ratio square shape and golden section, sow we can see the planned space organization by speculated planning. Thus, Anap pond is a garden of Shilla in which the cultural exchange has been inculturated and made our own, and the special aesthetic taste embodied.

  • PDF

Characterization of a metalloprotease from an isolate Bacillus thuringiensis 29-126 in animal feces collected from a zoological garden in Japan

  • Lee, Eun Seok;Lee, Hyun Woo;Lee, Dong-Hyun;Kim, 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73-377
    • /
    • 2016
  • An extracellular metalloprotease, Btmp, was partially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acillus thuringiensis 29-126, isolated from animal feces collected in a zoological garden in Japan, by ultrafiltratio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 set of chromatography on Sephadex G-75 and High-Q. The molecular mass of the protease was estimated to be 60 kDa by SDS-PAGE. The enzyme showed optimum activity at $50^{\circ}C$ and pH 6.0, and had a half-life of 14 min at $50^{\circ}C$. The enzyme activity was not influenced by $Na^+$, $K^+$, $As^+$, $Mg^{+2}$, $Ca^{2+}$, $Ba^{2+}$, and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but it was moderately inhibited by $Zn^{+2}$ at a concentration of 1.0 mM, while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to less than 50 % by $Cu^{2+}$, $Co^{2+}$, $Cd^{2+}$, and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Interestingly, the enzyme was activated to 178 % by 1.0 mM of $Mn^{2+}$.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protease is a novel extracellular manganeseactivated metalloprotease.

18세기 프랑스 픽처레스크 정원과 파브리크 건축 특성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French Picturesque Gardens and Fabriques in the 18th Century)

  • 김란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81-88
    • /
    • 2019
  • Although small but eye-catching outdoor constructions are generally called folli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French landscape researchers found different features of the fabrique, which they called separately from the folly. Unlike the 18th-century English gardens, in which the landscape itself was emphasized more than decorative structures in it, French fabriques actively made the atmosphere of picturesque gardens.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from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studied the 18th-century garden theories in both Britain and France, which might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fabrique. Then, it tri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French major picturesque gardens and their fabriques, relating them to painting, drama, and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rden and its fabriques or follies, compared the different features between the English landscape gardens and the French picturesque ones in the 18th centur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zygotic embryo explant cultures of rugosa rose

  • Kim, Suk Weon;Oh, Myung Jin;Liu, Jang R.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199-203
    • /
    • 2009
  • Rugosa rose (Rosa rugosa) is cultivated as a garden flower and an important genetic resource for the breeding of roses (R. hybrida). This study describes culture condition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zygotic embryo explants via somatic embryogenesis in rugosa rose. Mature zygotic embryo, cotyledon, and radicle explants formed embryogenic calluses at frequencies of 38, 6.7, and 8.8% when cultured on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edium (${\frac{1}{2}}MS$) supplemented with 2.26, 9.05, and $9.05{\mu}M$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respectively. Embryogenic calluses produced numerous somatic embryos, which then developed into plantlets on ${\frac{1}{2}}MS$ without growth regulators. Regenerated plantlets were grown to whole plants in a growth chamber.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Odor Reduction by Livestock Farming Using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Feed Additives

  • Gok Mi Kim;Jun Su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87-292
    • /
    • 2024
  • The problem of odo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livestock manure is spreading greatly as a social issue. To reduce the odor of livestock raised in livestock farms and improve the farm environment, raw materials of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were put into feed additives to measure the state of od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non-toxic and sweet, and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which contains abundant nutrients that are beneficial to health in all parts such as roots, stems, and flowers, is a medicinal plant that cannot be discarded. 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helping bowel movements because it stimulates bowel movements. Ammonia level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KS X 3279 national standard-applied smart livestock IoT hub sensor pack installed at Flower Garden and Ugil Far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uce the odor that is the most problematic on farm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and it is planned to expand research into deodorants after feed additive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solve the livestock problem and help livestock farmers.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Roa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 하태일;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120-135
    • /
    • 2021
  • 창덕궁 후원은 조선시대 궁궐 정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이다. 후원의 경관체험에 있어서 동선의 복원은 주요 공간을 연결하는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선의 복원을 위해서는 생성과 소멸, 유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한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현대 시기까지 문헌과 도면자료 분석과 현장조사를 병행함으로써 창덕궁 후원에서 발생한 동선의 변화를 세밀하게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시계열적인 분석을 위해 조선시대 제작된 「동궐도」, 「동궐도형」와 함께 근현대시기 제작된 「창덕궁평면도」, 항공사진을 사용하였다. 시대별 동선의 변화를 중첩하여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각기 다른 좌표체계로 이루어진 도면과 사진을 지리정보시스템인 ArcGIS에서 하나의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 이후 총 37개의 구간이 이용되었으며, 이 중에서 13개가 유지되고, 14개가 사라졌으며, 10개가 신설된 것을 확인하였다. 멸실구간 중에서도 능허정 북쪽 원로는 후원에 대한 공간을 연결하고 경관의 향유를 위해 시급히 회복시켜야 할 곳으로 판단된다. 신설구간에서도 대보단지~옥류천 구간에 대해서는 대체동선의 신설이나 구간의 단축 등을 통해서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후원에서 동선체계에 대한 변화가 가장 크고 빈번하게 시행된 것이 일제강점기와 1970년대 보수정화사업 이었음을 밝혔다. 후원에 대한 주체적 관리가 어려웠던 일제강점기보다 1970년대 이후 발생한 동선의 변화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옥류천 진입로는 1990년대까지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잘못된 원형 인식으로 인해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에 대해 명확한 기제와 원인을 찾고, 훼손된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의 전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 동선 변화를 시대별로 밝혔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다. 다만, 조경계획이나 정비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해 복원해야 할 위치와 형상을 명확하게 제시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자료를 이용해서 동선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간 이용도, 관람체계, 방재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