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Roa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 HA, Taeil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하태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1.03.18
  • Accepted : 2021.05.12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Changdeokgung Rear Garden is an important place to show the essence of the garden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garden landscape experienc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completes the system of connecting the main space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of its creation, extinction, and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ail the changes in the path that occurre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analyzing literature and drawing materials. For a time-series analysis, "Donggwoldo" and "Donggwoldohyeong" p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Changdeokgung Plan Drawing" produc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aerial photographs were used. Drawings and photographs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were transformed into one coordinate system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cGIS to compare changes in the movements of different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37 sections have been used since Japanese colonial era, of which 13 have been maintained, 14 have disappeared, and 10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mong the extinction sections, the road north of Neungheojeong Pavilion is considered to be an urgent place to connect the space to the garden and restore it to enjoy the scenery. In the new section,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lternative road or shorten the section for the connecting section between Daebodan and Okryuche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and most frequent changes to the road system in the garden wer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novations in the 1970s. It is worth noting the changes in the road since the 1970s, rather than Japanese colonial era, where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e gardens independently. The access road to Okryucheon remained in its original shape until the 1990s, but it was renovated to its current shape due to misperception of the original shape. A project is needed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change in this period and restore the damaged original shape.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garden path of Changdeokgung Pala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road of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clearly present the location and shape that should be restored because it has not found data on landscaping plans or maintenance. In order to restore the road using the data revealed in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realistic problems such as current space utilization, viewing system, disaster prevention and maintenance.

창덕궁 후원은 조선시대 궁궐 정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이다. 후원의 경관체험에 있어서 동선의 복원은 주요 공간을 연결하는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선의 복원을 위해서는 생성과 소멸, 유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한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현대 시기까지 문헌과 도면자료 분석과 현장조사를 병행함으로써 창덕궁 후원에서 발생한 동선의 변화를 세밀하게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시계열적인 분석을 위해 조선시대 제작된 「동궐도」, 「동궐도형」와 함께 근현대시기 제작된 「창덕궁평면도」, 항공사진을 사용하였다. 시대별 동선의 변화를 중첩하여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각기 다른 좌표체계로 이루어진 도면과 사진을 지리정보시스템인 ArcGIS에서 하나의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 이후 총 37개의 구간이 이용되었으며, 이 중에서 13개가 유지되고, 14개가 사라졌으며, 10개가 신설된 것을 확인하였다. 멸실구간 중에서도 능허정 북쪽 원로는 후원에 대한 공간을 연결하고 경관의 향유를 위해 시급히 회복시켜야 할 곳으로 판단된다. 신설구간에서도 대보단지~옥류천 구간에 대해서는 대체동선의 신설이나 구간의 단축 등을 통해서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후원에서 동선체계에 대한 변화가 가장 크고 빈번하게 시행된 것이 일제강점기와 1970년대 보수정화사업 이었음을 밝혔다. 후원에 대한 주체적 관리가 어려웠던 일제강점기보다 1970년대 이후 발생한 동선의 변화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옥류천 진입로는 1990년대까지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잘못된 원형 인식으로 인해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에 대해 명확한 기제와 원인을 찾고, 훼손된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의 전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 동선 변화를 시대별로 밝혔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다. 다만, 조경계획이나 정비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해 복원해야 할 위치와 형상을 명확하게 제시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자료를 이용해서 동선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간 이용도, 관람체계, 방재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성도(1915)」(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 「경성시가도(1927)」(서울역사박물관 소장).
  3. 「경성시가도(1933)」(서울역사박물관 소장).
  4. 「동궐도(東闕圖)(1828~1830)」(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5. 「동궐도형(東闕圖形)(1907)」(규장각 소장).
  6.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일제강점기)」(장서각 소장).
  7. 문화재청, 2002, 「창덕궁.종묘 원유(苑囿)」, pp.159~163.
  8. 문화재청, 2020, 「동궐(창덕궁)의 전통 경관 고증 및 조경 복원 정비 종합계획 연구」, pp.70~83.
  9. 백준우.하태일.이재용, 2020,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 고찰」, 「전통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10. 송석호, 2014, 「창덕궁 후원 존덕정(尊德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vol.32 no.1.
  11. 송석호, 2016,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vol.34 no.1.
  12. 우주선, 2004, 「동궐도(東闕圖)를 통해 본 창덕궁(昌德宮) 외부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4~66.
  13. 이수학, 2000, 「창덕궁 후원의 경관에 관한 소고 - 정조의 상림십경(上林十景)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vol.28 no.1, pp.103~105.
  14. 이재용, 2017, 「러버 쉬팅 변환을 통한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 창덕궁 금천교 주변을 중심으로」, 「문화재」 vol.50 no.4, pp.110~116.
  15. 정우진, 2011, 「東闕 後苑의 變遷 過程과 原型 景觀 解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우진, 2013, 「강세황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로 살펴본 창덕궁 후원의 원형 경관 탐색」, 「한국전통조경학회」 vol.31 no.1, pp.90~96.
  17. 정우진, 2015, 「朝鮮時代 宮闕 後苑의 體制와 運用 樣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우진, 2020, 「전 김희성, <옥류천도>로 살펴본 창덕궁 후원 옥류천원의 원형 경관」, 「서울과 역사」 제105호, 서울역사편찬원.
  19. 정우진.송석호.심우경, 2013,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 경위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vol.31. no.1.
  20. 정우진.심우경, 2013, 「창덕궁 대보단의 공간 구성과 단제 특성에 관한 고찰」, 「문화재」 vol.46 no.1.
  21. 정우진.유기석.심우경, 2013,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 구성요소의 특질과 변용」, 「문화재」 vol.46 no.4, p.42.
  22. 진용미, 2014, 「창덕궁 후원의 배수체계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홍형순, 2014, 「표암(豹菴)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vol.32 no.2, pp.7~8.
  24. 서울특별시 항공 사진 서비스 https://aerogis.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