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Value Inquiry of Cultural Relics of Waryongmae and a Restitution of Cultural Heritage

창덕궁 선정전 와룡매(臥龍梅)의 환수 문화재로서 문화콘텐츠적 가치

  • OHN, Hyoungkeun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ungsik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온형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1.03.25
  • Accepted : 2021.04.24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restitution of cultural heritage located abroad has been going on for 107 years, starting with the return of the Jigwangguksa Tower to Beopcheonsaji Temple in Wonju after it was tak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15. The Overseas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established in 2012, has laid the foundation for retrieval,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research cooperation and the purchasing of cultural heritage items. The pace of the collection of cultural heritage objects and the locating of others has increased every year since its establishment, and the number of returned, rather than recovered, cultural heritage items has also increas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lete a value inquiry of the cultural relics of Waryongmae (臥龍梅) and a restitution of cultural heritage as the main focuses. The process of recovering relics from Waryongmae has been recorded in the book The Cultural Property Returned into Our Arms, published by the above-mentioned foundation. This recor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try and raise its cultural value by adding elaborate storytelling to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Waryongmae that grew in the courtyard of Changdeokgung Palace. The cultural value of Waryongmae is that it is unique. The Waryongmae is the first living cultural heritage, and therefore has cultural value due to its uniqueness. Second, the Waryongmae has unique cultural value due to its restitution and return to Korea twice, once in 1992, and another time in 1999. The first restitution was special in that it was featured by the Japanese media, and the second was special in that it was intensively reported by the Korean media. Third, 42 Waryongmae cultural content types were explored, including nineteen visual contents, eleven interactive contents, and twelve skate contents.

국외 소재 문화재 환수는 일제강점기인 1915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의 반환을 원년으로 삼아 올해로 107년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2년에 설립하여 문화재 조사 연구와 협력과 매입 등을 통한 문화재 환수, 보존과 복원, 교류와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설립 후 매년 문화재 환수와 소재 파악이 늘고, 환수 유형에 따른 반환 문화재도 많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문화재 환수와 와룡매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탐구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와룡매는 위 재단에서 발간한 책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에 돌아오는 과정이 문화콘텐츠로 기록되었다. 이 기록을 입체적으로 수정·보완하여 창덕궁 선정전 뜰에 자라던 와룡매의 환수 과정에 정교한 스토리텔링을 입혀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높이는 방향을 탐구하였다. 문화재 환수 개념이 적용된 와룡매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는 첫째, 처음이고 유일무이하다는 점이다. 와룡매는 그동안 성사되었던 다양하고 많은 문화재 환수 중 살아 있는 식물로는 처음이고, 그래서 유일무이하다는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지녔다. 둘째, 환수와 환국이라는 두 차례의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다. 와룡매는 1992년과 1999년 두 차례의 환수와 환국 과정을 거쳐야 했던 독특한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가졌다. 첫 번째 환수는 일본의 언론이 대서특필하였고, 두 번째 환국은 한국의 언론이 집중하여 보도하였다는 것도 특징이다. 본고는 환수 문화재 와룡매에 대해서 비주얼 콘텐츠 19개, 인터랙티브 콘텐츠 11개, 스케이프 콘텐츠 12개 등 모두 42개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배, 2015, 「문화재 환수 사례를 통한 이해관계자의 역할 분석」,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14~315.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환수 문화재 조사보고서」.
  3.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엮음, 2013, 「안중근의사기념관과 즈이간지에서 꽃피는 이유 - 와룡매」,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 눌와.
  4. 김승민, 2014,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2), pp.134~147.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2.134
  5. 문화재청, 2020, 「2020 문화재 연감」.
  6. 박인철, 2011, 「이질감과 친근감 - 상호문화성의 양면성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철학과 현상학 연구」 50, pp.68~69.
  7. 신익철, 2013, 「조선시대 梅花詩의 전개와 특징」, 「동방한문학」 56, pp.165~218.
  8. 안완식, 2011, 「우리 매화의 모든 것」, 눌와.
  9. 안형재, 2001, 「한국의 매화」, pp.99~146.
  10. 우재호.권영해, 2012, 「당대 매화시에 나타난 매화의 상징성」, 「중국어문학」 61, pp.31~57.
  11. 이상희, 2002, 「매화」, 넥서스BOOK, pp.98~127.
  12. 이선옥, 2005, 「세한삼우도의 형성과 변천」, 「한중인문학연구」 15, pp.103~138.
  13. 이영술, 2011, 「수묵 정신을 통한 조선시대 문인화인 묵매화도 연구 -조희룡 작품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12.
  14. 이제이.성종상, 2016, 「문헌을 통해 본 조선 후기 꽃놀이 명소의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2), pp.35~44.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2.035
  15. 임의제.소현수, 2012, 「전통 원림에 도입된 매화(Prunus Mume)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pp.68~79.
  16. 임창순, 2001, 「센다이에 살아 있는 한국의 숨결」, 청조사.
  17. 임창순, 2016, 「와룡매 또 오다」, 「고향」, 한국수필가협회, pp.148~149.
  18. 조부근, 2013, 「국외 유출 한국 문화재의 환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12.
  19. 조은하, 2012, 「문화콘텐츠와 스토리 콘텐츠: 스토리 콘텐츠의 가치와 전망」, 「콘텐츠문화」 1, pp.99~126.
  20.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冊十七 '北禪院續藁三' 매화삼십육영[한국고전종합DB](2021.05.05.).
  21.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외 문화재 현황 http://www.overseaschf.or.kr, (2021.03.2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