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M food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1초

주부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태도와 구매의사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Willingness to Purchase Them among Housewives)

  • 김문정;김혜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30
    • /
    • 2003
  • In this study, housewives'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 foods) and their willingness to purchase GM foods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nsumer education and consumer policy development regarding GM food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consumers' attitudes toward GM foods, (2)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GM food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GM foods, and (3)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GM food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GM food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was constructed by the author,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00 housewives, and 723 of the completed survey form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s, ANOVA, Duncan-test, Pearson'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methods. Major findings are: (1) Consumers' attitudes toward GM foods consist of three factors, that are, attitude regarding potential danger, attitude regarding the use of GM technique on plants, and attitude regarding the use of GM technique on animals. (2) Consumer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end to perceive GM food as more dangerous, whereas consumers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 tend to accept more the use of GM technique on plants. (3) Consumers who tend not to consider GM foods as dangerous, and those who acknowledged benefits in using GM technique on plants are more willing to buy GM foods.

대전지역 소비자들의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식, 지식 및 구매태도 (Consumer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Daejeon)

  • 최고은;이준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7-406
    • /
    • 201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n genetically modified(GM) foods in Daejeon area. Data of 28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Ver. 17.0)program. Most of the subjects were women (91.9%), distributed 30's(41.7%) or 40's(31.8%), and graduated from university(41.3%). The kinds of GM foods that many subjects had known were soybean, corn, tomatoes and potatoes.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re were GM foods in supermarket items were 71%. Consumers' recognition on the safety of GM foods was 'somewhat anxious'(65.4%). After confirming which their purchasing item is GM foods, 'they will buy it case by case'(60.1%) or 'they will never buy it'(27.9%). The most reason of never buying GM foods was 'harmful to health'(82.3%). The first reliable information sources on GM foods were medical institutes and professionals. The knowledges about GM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s and 'less than 1year' of marriage duration than the other groups(p<0.05). On the purchase attitude of GM foods, the 20's responded favorably compared to other groups (p<0.01). Subjects' opinion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n GM foods tended to higher in 40's and 'less than 2 million won' of monthly income than the other groups. For the reason about necessity of it's development, 'nutritional, functionality and quality improvement' was 53.7%. In conclusion, many consumers regard that GM foods is not yet safe for health. Accordingly,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examine thoroughly and research continuously for the safety of GM foods. They must announce to consumers accurate information about GM foods.

Determinants for the Social Acceptance of New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The Cas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 Kim, Seoyong
    • STI Policy Review
    • /
    • 제4권2호
    • /
    • pp.136-158
    • /
    • 2013
  •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uctural determinants of the social acceptance of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across European countries. Toward this end, we suggest an integrated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the social acceptance of GM foods by including both perception factor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risk, feelings, trust, and knowledge) and value factors (ethical concerns, science optimism, religiosity, and ideology). This model is then tested by analyz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8,634 Europeans in 32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not only perception factors but also value factor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acceptance of GM foods. Second,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risk, feelings, and ethical concerns tend to be the four biggest determinants for acceptance. Third, this two-factor model could be generalized even with variation across countries. Finally, ethical concerns and scientific optimism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predictors and outcomes in the acceptance of GM foods.

블로그에 의한 유전자변형식품 홍보와 교육 효과 (Effect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motion and Education by Blog)

  • 김주현;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1-799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GM) food promotion and education through the blog. Methods: Education program for consumer-oriented GM foods by the blog was developed and survey was performed by the visitors for totals of twelve weeks. The blog was formed by information (definition, mark etc.) offering style and named as "Correct know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Event was held to enhance the promotion of the blog from the week 9 to week 12. Results: Visitors of the final week increased 4 times, as compared to those of the starting the event week 9. Most of the 138 consumers (94.5%) did not have prior GMO education experience. The 97 consumers aged 20 years old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ratios in the experience of blog or website (p<0.01).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blog education, notification on GM foods and willingness to buy GMO products, the benefit of GMO, willingness to check GMO mark when buying GMO products showed positive change of GM foods (p<0.05). Conclusion: Over 80% answered that the blog helped to understand the GM foods. Thus, we conclude using blog is effective way of GM food promotion and education and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an active blog for the consumer's rights of knowledge about GM foods.

우리나라 국민의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수용도 변화 (Changes in Korean Consumer'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Genetically-modified Foods)

  • 권선향;정인식;최미경;채경연;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2-190
    • /
    • 2008
  •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일반 국민의 의식을 설문 조사하여 연차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2007년 조사 결과 65.1%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과거 3년(2000-2002년)동안의 평균 66.2%와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 개발의 큰 이익이 식량난 해결일 것이라는 응답은 모든 조사에서 가장 높았지만 2000년 이후 계속해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식량난 문제에 대해 기대치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약 95% 이상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표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나 과거 3년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음은 변함이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 여부는 주변의 추이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50% 이상으로 나타나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생물학의 기본지식이 매우 미흡한 상태인 것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은 중시하지만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농약 등의 화학물질 오염이나 기업인의 윤리의식을 들었고 식품을 구입할 때 표시 내용 중 가장 관심 있게 보는 내용은 조사시간 동안 유효기간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나 과거 3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나 태도에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수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의 인식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Food Biotechnology in Korea)

  • 김명희;안정미;박세원;김연순;경규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2-158
    • /
    • 2001
  •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750명을 대상으로 2000년 5월과 8월 사이에 설문조사 하였다. 70%이상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20%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형이 50%를 넘어서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조제 망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은 적으나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은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에 지나지 않았다.

  • PDF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A Three-year Survey on Korean Consumer's Awarenes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Genetically-modified Foods; Years 2000-2002)

  • 김명희;김재욱;채경연;박세원;김연순;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55-1161
    • /
    • 2003
  •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 동안 각각 750명, 979명과 1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평균 65.4%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 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5% 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6.8%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한편, 유전자재조합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제초제 내성 콩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는 제초제에 견디는 유전자가 있지만 인체에 무해하다라고 답한 비율이 약 37.3%로 약 1/3정도 만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39%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2000-2001)

  • 김명희;김재욱;채경연;박세원;김연순;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7-165
    • /
    • 2002
  •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과 2001년 5웜과 9월 사이에 각각 750명과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67.7%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 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9%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0%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로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스타링크의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6%나 되었던 반면 2001년 7월부터 실시된 유전자재조합 표시제의 시행에 대해 알고있는 소비자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국내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 규정 및 승인현황 (Safety evaluation and approval statu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 강윤숙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2호
    • /
    • pp.130-139
    • /
    • 2019
  • 식약처는 유전자변형식품의 사전 안전관리를 위하여 "식품위생법"에 따라 안전성 심사를 거쳐 안전성이 입증된 식품만 수입 유통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승인받지 않은 품목은 수입통관단계에서 검사를 실시하여 국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유전자변형식품등의 안전성 심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제출된 안전성 자료에 대해 '유전자변형 식품등 안전성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고, 국민 의견을 수렴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안전성 승인이 되었더라도 10년이 경과된 유전자변형식품은 다시 안전성 심사를 하여 안전성을 재확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안전성심사를 시작하여 2000년에 최초로 유전자변형 콩을 승인하였으며, '19년 4월 현재 안전성 심사를 통해 승인된 유전자변형식품은 총 199건이다(농산물 169건, 미생물 6건, 식품첨가물 24건). 앞으로도 식약처에서는 최초 안전성 심사 뿐 아니라, 승인 후 10년이 경과되는 유전자변형식품 품목에 대한 안전성 재심사를 통해 안전성을 재확인할 계획이며, 기존에 개발된 제초제내성,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식품 외에 새로운 특성을 부여한 유전자변형식품의 개발 증가에 따라 이들 품목의 안전성 심사를 위하여 CODEX, OECD 등 국제적인 규제 조화를 바탕으로 심사항목 정비 등 사전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지역 유통중인 콩 및 옥수수 가공식품의 유전자재조합 원료 사용실태 모니터링 (Monitoring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aize Processed Foods in Busan)

  • 민상기;이나은;김규원;정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06-811
    • /
    • 2006
  • The regulation of labelling criterion fo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has been enforced since 2001 in Korea. Therefore, GM soybean (GMS) or GM maize (GMM) processed foods must be labeled as GMO derived. We surveyed to see whether this regulation is kept relevantly or not and the distributive statue of GM processed foods. Using the method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ased on endogenous gene (Le1n, SSIIb), promoter gene (P35S), terminator gene (NOS) and transgenic gene (RRS, Bt11, Bt176, GA21, T25, Mon810), we detected GMS and GMM processed foods circulating at the market in Busan area. Out of total 100 samples, 38 items were showed to be contaminated with recombinant gene by qualitative PCR. Among 82 domestic and 18 imported items, 32 (39.0%) and 6 (33.3%) items were detected with GM ingredients respectively. Also among the 80 soybean and 20 maize processed foods, 23 (28.7%) and 15 (75.0%) foods were sensitive to detect GMS and GMM ingredients respectively. For the qualitative PCR positive foods, we chased identity preservation (IP) certificates. And we verified that the PCR positive crops were grown up, harvested and shipped separately from GMO but just mixed with GMO in the threshold of the non attentional contamination levels (3%). Thus we can not find out any regulation-violent case at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keep the regulations of GM labelling and be informative to consumers who want to know the laboratory results of GMO 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