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M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6초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번식량 측정 및 유생발달에 관한 연구 (Quantification of Reproductive Effort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 이희중;강현실;박경일;;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번식량 및 유생발생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정란 및 유생을 21일 간 실내사육수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바지락은 2011년 8월 제주시 김녕에서 채집 실험 수조로 옮겨졌으며, 다음날 자연적인 방란 방정이 관측되었다. 바지락 수정란은 19시간의 배 발생과정을 거쳐 21일 후 포복피면자유생(pediveliger) 으로 발달하였다.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바지락의 생식소를 관찰한 결과, 방란, 방정 전 모든 개체는 성적으로 완숙한 상태였고, 산란 후 모든 개체에서 부분산란이 관찰되었다. 효소면역학적 방법 (ELISA) 에 의한 번식량 측정 결과, 암컷 바지락의 생식소 지수는 (GSI) 산란 전 28.6%에서 산란 후 17.3%로 11.3% 감소하였으며, 추정된 포란수는 6,998,658 eggs였다. 이 연구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바지락 유생 발달 및 번식량은 향후 바지락 인공종묘 산업 및 바지락 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용코드를 이용한 다방향 불규칙파중 실습선의 종운동해석 (Longitudinal Motion Analysis in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for a Training Ship using Commercial Code)

  • 한승재;김인철;오대균;이경우;김옥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3-1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습선의 다방향 불규칙파중 종방향 운동응답특성을 선형 스트립이론에 기초한 상용코드(MAXSURF v.16)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에 앞서 상용코드의 검증을 위해 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에 대해 실험조건과 동일한 선형과 해석조건을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와 기 계산된 결과(Flokstra, 1974)가 상호 유사한 경향을 얻어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계산조건으로는 Fn=0.257에서 파랑외력을 ITTC 파스펙트럼에 기초한 뷰포트 스케일 5($\bar{T}=5.46$, $H_{1/3}=2m$)의 파스펙트럼을 산출하였고, 조우각은 선수사파(Head & bow seas, $150^{\circ}$)를 적용하여 상하동요(Heave)와 종동요(Pitch)의 선체운동응답스펙트럼을 해석하였다. 다방향 불규칙파에 대한 운동응답스펙트럼은 선수사파에서 상하동요의 경우는 미소하게 단파정파에서 높은 스펙트럼 분포를 보이고 종동요의 경우는 장파정파에서 높게 나타났다.

야생조류 새벽 지저귐 개시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과 종간 차이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tart of the Dawn Chorus of Wild Bir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Species)

  • 기경석;홍석환;김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4-352
    • /
    • 2015
  • 본 연구는 야생조류의 새벽 지저귐 시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 종간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음성녹음은 봄철(2014년 4월~7월) 번식기 동안 일출 2시간 전에 시작하여 매일 2시간씩 실시하였다. 녹음된 소리는 분석 프로그램(Adobe Audition CC)을 이용하여 소노그램 패턴 확인을 통해 종을 구분하고 종별 지저귐 개시 시간을 분석하였다. 야생조류 지저귐 시작시간과 환경요인 및 종간차이 분석을 위해 한국 기상청으로부터 기상자료(일강수량, 율리안일, 일출시간, 월출시간, 온도, 여명시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일강수량과 월출시간을 제외한 모든 환경요인이 야생조류의 지저귐 개시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야생조류 종간 지저귐 개시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야생조류는 지저귐 개시 시간 차이에 따라 3개 그룹(일찍 일어나는 새, 중간에 일어나는 새, 늦게 일어나는 새)으로 구분되었다. 꿩과 노랑턱멧새는 일찍 일어나는 새 그룹에 속하였고, 딱따구리류는 늦게 일어나는 그룹에 속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야생조류를 대상으로 지저귐 개시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를 밝힌 최초의 논문이라는 데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왜 종별로 지저귐 개시 시간에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비파괴분석법에 의한 은제금도금유물의 판단을 위한 비교실험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Experiments for Judgement to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Gold Plated Silverware Remains)

  • 심명보;유혜선;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7
    • /
    • 2011
  • 은 소지 위에 금을 도금한 은제금도금유물을 대상으로 성분분석을 위해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하여 비파괴분석을 실시하면 소지금속인 Ag에서 전자궤도에 따라 무게백분율(wt.%)의 값이 큰 차이가 나타나는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점을 이용하여 육안으로는 파악하기 쉽지 않은 유물에서도 은제금도금기법이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재현시료를 제작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은아말감도금법과 전기도금법으로 제작된 시료에서는 실제 유물들의 분석결과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금은합금시료의 경우 도금시료와는 달리 주성분들의 전자궤도에 따른 차이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금시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원인으로는 단일재료가 아닌 도금으로 인한 이중구조에 의해 도금층에서 XRF 빔을 흡수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파괴분석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를 이용한다면 단면을 관찰하지 않아도 은제금도금 기법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정보화 교육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T Education o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f Older Adults)

  • 윤현숙;이은경;범경아;김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3-294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이 노인이 온라인상에서 형성하는 사회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과 종합복지관에서 정보화 교육(컴퓨터반, 인터넷반, 스마트폰반)을 받는 60세 이상 노인 114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정보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노인 3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사회관계의 측정을 위해서는 사회자본척도(결속형과 가교형)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연대능력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가교형 사회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은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결속형, 가교형)를 확장시켰으며, 노인의 사회관계 형성과 확장 및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정보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SNS 몰: 전자상거래에서 적용할 수 있는 SNS의 기능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SNS Mall: A Study on the Analysis of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Functions Applicable to Electronic Commerce for Building Regular Relationship with Customers)

  • 김미수;나영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7
    • /
    • 2020
  • 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쇼핑몰을 결합하면 오프라인 거래에서처럼 단골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한번이라도 물품을 구매한 고객은 SNS의 팔로우(Follow)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단골고객으로 등록하여, 구매자와 생산자와의 관계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게 하여 잠재고객이 되고, 장기적으로 재구매가 이루어지게 한다. 단골이 된 고객에게 생산자는 신상품 출하 시 객관적인 물품정보 외에 재배하는 동안의 농장 모습이나 농작물의 성장과정 등 생생한 근황과,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통해 자신이 농사지으며 전원생활을 하는듯한 감성을 자극한다. 소비자는 자신의 SNS 홈에서 기존의 단골 관계인 생산자의 파종, 농사, 수확, 신상품 등의 소식을 타임라인에서 확인하여 필요한 상품을 원클릭(one click)으로 구매할 수 있다.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뉴스 및 할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골로 만드는 고객 관리가 가능하고, 저장법이나 요리법 등의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며 새로운 물품을 추천하거나 홍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기존의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판매와 홍보가 분리되어 링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에서 벗어나 판매와 홍보가 하나의 계정 안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사이트 접근성을 높여준다. 이처럼 SNS의 인맥 마케팅 기능에 더하여 시스템은 생산자의 판매 물품을 자동 분류한 카테고리로 소비자의 SNS 홈 페이지에 쇼핑물의 기능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는 자동으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단골관계로 연결해준다. 또한 구매자 간에도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경험을 공유하고, 상품추천, 구매후기 작성 및 기존 구매후기의 재배포가 용이하다. 이처럼 서로 알지 못하던 구매자 사이의 소통도 가능하게 하여, 상품을 추천하고 소식을 확산시키는 것이 'SNS 몰'의 가장 큰 특징이다.

국내 경제활동 인구의 직업유형별 적정수면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job types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sleep appropriateness among South Koreans)

  • 김선정;김동준;김은나;유태규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7-77
    • /
    • 2020
  • Background: As of 2016, average Koreans sleep 7 hours and 42 minutes, the lowest figure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countries, and the number of people with sleep disorders reached 561,000.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vision of 'Multiple Sleep Test' to strengthen the diagnosis service for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in july 2018. As a result, healthcare costs for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is on the rise every year. In this study, we utilized 'Appropriate Sleep' criteria of United States's National Sleep Foundation(NSF) then investigated Korean's sleep pertinence using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2016-2018」 by different occupational typ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Methods: We performed descriptive analysis to examine differences of sleep appropriateness by various sample characteristic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xamine sleep appropriateness by occupational type and other variables. We also analyzed subgroup models to investigate.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948 (18.37%) study subjects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Results of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lue color group had a higher odds ratio (OR) for experiencing in-appropriate sleep (OR=1.179).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among the elderly aged 70 and over was 2.698, and the odds ratio of the overstressed group was 1.299. Furthermore,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blue color job of female(Or=1.334), high school or below(OR=1.404), divorce/death/separation(OR=2.039), 25%ile-50%lie income group(OR=1.411) more likely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Conclusion: Growing sleep disorder patients and related health care costs are expected. Government should apply detailed 'total periodic sleep disorder management policy' including pre-consultation, examination, diagnosis, treatment, post-consultation, self-management especially to vulnerable population that this study foun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를 고려한 RDB to RDF 매핑 시스템 (An RDB to RDF Mapping System Considering Semantic Relations of RDB Components)

  • 성하정;김장원;이석훈;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호
    • /
    • pp.19-30
    • /
    • 2014
  • 시맨틱 웹의 확산을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로 변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로 변환하기 위한 연구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와 RDF 구성 요소를 매핑하는 방식인 RDB to RDF 매핑 모델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매핑 모델들은 그 표현방식이 서로 다르며, 이는 사용자의 접근성과 재사용성을 떨어트린다. 이로 인해 표준화된 매핑 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W3C에서는 RDB to RDF 모델의 표준 매핑 언어로서 R2RML을 제안하였다. R2RM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정보만을 RDF로 변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명, 컬럼 명 사이의 관계정보에 대한 온톨로지를 추가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를 고려한 RDB to RDF 매핑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R2RML에서 정의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에 RDFS 속성 정보를 확장하여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매핑 정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RDFS 속성 정보가 포함된 RDF로 변환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 시스템을 자바 기반의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며, 비교 평가를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RDF로 변환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D2RQ, RDBToOnto, Morph와 비교한다. 제안 시스템은 다른 연구들에 비해 변환한 온톨로지가 풍부한 의미관계를 표현하며, 데이터 변환 시간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초등학교 학교 텃밭의 조성현황과 운영실태 분석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Set up and Running Status of School Gardening at Elementary Schools - Focus on Jeollabuk-do)

  • 장윤아;정순진;한경숙;김경미;최이진;허주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3-62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t up and running status of school gardening at elementary schools in Jeollabuk-do. Among 416 elementary schools in Jeollabuk-do, 164 schools (39.4%) had school gardens. Ninety-seven schools in cities and 67 in counties had school gardens. The total area and school garden size at schools in Jeollabuk-do were $45,490m^2$ and $277m^2$ per school, respectively, as well as $1.6m^2$ per students. School gardens varied in type, and percentages of outdoor and off-campus gardens were 67.2% and 17.2%, respec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et up, type of garden, annual operating budget, and participants in school garden programs according to the location (city or county) of the school The installation and automation of facilities in the garden (such as greenhouse, tool shed, resource recycling facility, etc.) were poor. Most schools grew various kinds of plants, including vegetables, crops, ornamentals, and fruits. Teachers most often operated school gardens and taught students. Teachers had difficulty managing school gardens due to absence of knowledge about sustaining gardens. Most respondents reported the need for a school garden training program. Sixty-one percent of schools reported that the garden was used for academic instruction, especially during clas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greed that school gardens have a positive effect and wanted to increase classes related to school gardens. Accordingly, in order to sustain school gardens and maximize their effects, systematic and customized support is neede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school. The facilities and features of the garden should be improved, and the school garden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should attempt to reduce the effort required to manage the garden and increase utilization efficiency. In addition, participation of garden coordinators, parents, and community volunteers in managing gardens and implementing garden lessons is required.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the Self-Concept and Peer-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김태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215-2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self-growth program searches effect self-concept and peer-relationship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advance following assumption to achieve this purpose and achieved study. First, self-concept point of experiment group students who execute self-growth program will be improved is meaning than self-concept point of control group students. Second, peer-relationship point of experiment group students who execute self-growth program will be improved is meaning than peer-relationship point of control group students. Third, effect that self-growth program gets to self-concept may be meaning difference according to sex. Fourth, difference that impact that self-growth program gets in peer- relationship is meaning according to sex may join. Chose fifth-year student 2 class 68 people (experiment group n=34, control group n=34) in I primary school locating to Jeonrabuk-do Iksan-si to verify above construction for study target. Disposal about experiment group executed over 10th for 60-80 minute 2 times in a week because investigator uses reconstructing self-growth program with virtue research paper such as learning program for own growth of Lee-Hyeong-Deuk (1998).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after experiment, 1 collected materials for estimation by providing the subject children with questionaires about self-concept and peer-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n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s in number of mark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rough and by using One-Way ANOVA, and SPSS 11.0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result what I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s between averag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execute self-growth program in self-concept elevation ($F_{(1,66)} =28.734$, p <.001). From the sub-variab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 ($F_{(1,66)}=6.423$, p<.05), Social Self ($F_{(1,66)}=48.331$, p<.001), Physical Self ($F_{(1,66)}=11.074$, p <.01), sentimental self ($F_{(1,66)}=9.402$, p <.01)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s averag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execute self-growth program in peer-relationship promotion ($F_{(1,66)}=24.109$, p <.001). From the sub-variable there W3S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st ($F_{(1,66)}=14.507$, p<.001), respect ($F_{(1,66)}=15.271$, p <.001). Third, there was expose that significant difference does not exist in average self-concept before and after by sex of experiment group which executes self-growth program, and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vairable. Fourth, there was expose that significant difference of whole peer- relationship and in respect of sub-variable in average peer-relationship before-after by sex of experiment group which execute self-growth program, but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in trust. Could get conclusion that self-growth program is effec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self-concept elevation and peer-relationship promotion according to these study finding, and confirmed possibility that self-growth program may contribute to change emotional special quality of children positively in education sp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