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arison Experiments for Judgement to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Gold Plated Silverware Remains

비파괴분석법에 의한 은제금도금유물의 판단을 위한 비교실험 연구

  • Sim, Myung-Bo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Gim-hae National Museum) ;
  • Yu, Hei-Sun (Curatorial Affairs Office, Gong-ju National Museum) ;
  • Kim, Soo-Ki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ies, Yong-in University)
  • 심명보 (국립김해박물관 보존과학실) ;
  • 유혜선 (국립공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김수기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 Received : 2010.10.29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3.20

Abstract

If the nondestructive analysis is carried out by using an X-ray Fluorescence Analyzer(XRF) for ingredient analysis with the target of gold plated silverware that plates gold on a silver basis, a singular point showing big difference at the value of weight percent(wt.%) according to the electron orbit of the principal ingredient can be confirmed. The present research made reproduced samples and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suggest a basis that can judge whether the technique of gold plated silverware was used in case of remains uneasy to understand with eyes by using this singular point. As a result, the same result as analysis results of actual remains could be seen in specimens manufactured by a mercury amalgam plating method. However, in case of gold and silver alloy specimen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lectron orbit of the principal ingredients is slight unlike plated specimens. The reason appearing at plated specimens seems to be generated while absorbing XRF beam at plated layers by double structure due to plating instead of single material. Accordingly, if this result appearing at nondestructive analysis is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of gold plated silverware can be judged without observing its section.

은 소지 위에 금을 도금한 은제금도금유물을 대상으로 성분분석을 위해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하여 비파괴분석을 실시하면 소지금속인 Ag에서 전자궤도에 따라 무게백분율(wt.%)의 값이 큰 차이가 나타나는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점을 이용하여 육안으로는 파악하기 쉽지 않은 유물에서도 은제금도금기법이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재현시료를 제작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은아말감도금법과 전기도금법으로 제작된 시료에서는 실제 유물들의 분석결과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금은합금시료의 경우 도금시료와는 달리 주성분들의 전자궤도에 따른 차이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금시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원인으로는 단일재료가 아닌 도금으로 인한 이중구조에 의해 도금층에서 XRF 빔을 흡수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파괴분석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를 이용한다면 단면을 관찰하지 않아도 은제금도금 기법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환석, "한국 고대 금속공예의 과학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 유혜선, 이영범, "국보 제 123호 왕궁리 5층 석탑 출토 사리기 성분분석 연구". 제23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99-107, (2006).
  3. 유혜선, "비파괴성분분석을 통한 은제도금유물연구- 익산 왕궁리 5층 석탑 발견 <금강경판>을 중심으로". 동원학술논문집, 11, p65-86, (2010).
  4. 권윤미 외, "조선시대 은제금도금불상과 그 복장품의 보존 처리 및 재질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9, p31-49, (2008).
  5. 구지혜, "비파괴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은제 여성장신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히라오 요시미츠,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 눈". 학연문화사, p89-93, (2001).
  7. 박학수, 허우영, "고대 수은금박도금법 고찰". 고고과학회지, 3, p30-3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