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6초

유아의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양식에 따른 사회, 인지적 놀이형태에 관한 연구 (Social and Cognitive Play Patterns in Terms of Young Children's Cognitive Styles)

  • 조부경;장선화
    • 아동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6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ocial play, cognitive play, and social-cognitive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Sixteen field independent and sixteen field dependent children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79 young children with the use of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PEFT). Their social play, cognitive play, and social-cognitive play patterns were observed.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frequency, percentage and ${\chi}^2$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1) difference of social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was not found, (2) differences were found in cognitive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and (3) differences were found in social-cognitive play pattern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 PDF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이 대학생의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Cognitive Style of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 최문정;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5-14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이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은 집단잠입도형검사(GEFT: Group Embedded Figure Test)로 검사하였으며, 정보탐색행위는 정보탐색 수행평가와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항목들 중에서 한 개의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부 정보탐색 수행평가의 항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인지과정 도중에 작용하는 인지적 특성인 인지양식은 정보를 탐색하는 실제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은 정보탐색행위의 영역적인 면에서는 탐색결과와 일반적인 정보탐색행위를 제외하고, 탐색과정에만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정보탐색행위의 탐색 과정적 영역에서는 인지양식의 연구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만족에 대한 장의존 및 장독립적 인지양식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s of Field-dependence and Field-independence Cognitive Styl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Digital Textbook)

  • 김수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79-93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양식 관련요인들, 특히 장의존 및 장독립적 요인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광역시에서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학생들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재 디지털교과서 연구시범학교에서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325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만족이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의 만족도에 영향력을 받을 때, 인지양식 변수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다중표상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른 동화상의 효과: 연계 오류와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ynamic Visual by Student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on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Focused on Connecting Error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 노태희;문세정;이종현;서현주;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6-16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다중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 장의존성에 따른 동화상의 효과를 연계 오류와 개념 이해 측면에서 조사했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 123명을 글과 정화상을 통해 학습하는 정화상 집단과 글과 동화상을 통해 학습하는 동화상 집단으로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과'샤를의 법칙'에 대해 2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정화상 집단보다 동화상 집단의 연계 오류 비율이 낮았으나, 장독립성 장의존성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연계 오류의 발생 비율은 여전히 높았다. 또한, 학생들의 장독립성 장의존성에 따른 두 집단의 연계 오류 발생 비율의 차이는 연계 오류 유형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이 있었다.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는 정화상 집단보다 동화상 집단의 점수가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그러나 수업 처치와 학생들의 장독립성 장의존성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대인대상과 인지양식에 따른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ith their Cognitive Styles and Interacting Subjects)

  • 윤주리;황혜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30
    • /
    • 200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styles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It examined closely whether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ognitive styles such as field independence-field dependence and reflection-impulse cognitive styles. It also examined whether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jects children interacted with. The subjects were 80 5-and 6-year-old children from three child care cent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0.0 and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repeated measures design.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showed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y interacted with. Children showed bette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with their peers than with adults like teachers or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ield independence-field dependence cognitive styles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That is, the more independent children were, the higher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were.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reflection-impulse cognitive styles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The more impulsive children were, the lower th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were.

과학적 창의성, 장독립성·장의존성,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중학생이 생성한 비유의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ies Gener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ir Scientific Creativity,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and Learning Approach)

  • 김민환;이동휘;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6-42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이 생성한 비유의 특징을 비유의 개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소재의 다양성과 독창성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이 결과를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과 장독립성 장의존성, 학습접근양식에 따라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창의성이 높은 학생이 많은 수의 비유를 생성하고, 대응 관계 이해도가 높았으며, 다양하고 독창적인 소재를 활용하였다. 장독립적인 학생이 대응 관계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특징은 장독립성 장의존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은 모든 특징과 관련이 있었으나 기계적 학습접근양식은 모든 특징과 관련이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른 연계 오류 분석 (Analysis of Connection Errors by Student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in Learning Chemistry Concepts with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 강훈식;이종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71-481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재의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 개념 학습을 위해 제시된 외적 표상들을 연계하는 과정에서 범하는 오류 유형을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라 조사했다. 1개 중학교 1학년 학생 196명을 '보일의 법칙'을 학습하는 BL 집단과 '샤를의 법칙'을 학습하는 CL 집단으로 배치한 후, 장독립성-장의존성 검사를 실시했다. 각 집단 학생들에게 물질의 입자성이 강조된 글과 그림으로 해당 개념을 학습하게 한 후, 연계 과정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불충한 연결', '부적절한 연결', '무분별한 연결', '불가능한 연결', '연결 불이행'의 5가지 연계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목표 개념과 관계없이 '연결 불이행', '부적절한 연결', '무분별한 연결'이 많이 나타났다. 장독립적 학생들과 장의존적 학생들이 범한 연계 오류의 빈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전산화된 작업환경에서 인간의 오류성향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human error proneness in computerized work environment)

  • 정광태;이용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ome characteristics on human error proneness in the computerized work environment. Our concerning theme was on human error likelihood according to personal temperamen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was to study the effect of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on error likelihood. The second experiment was on error proneness.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information search task. which was most frequent task in computerized work environment such as the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T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eld-independence/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in both information search time and error frequency. Error pron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in both factors, too.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rror frequency and information search time.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a basis to study operator's error proneness in the computerized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later on.

  • PDF

학습자의 인지 및 동기 변인들과 비유를 통한 개념 이해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Cognitive Variables, Motivational Variable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s in Learning with Analogy)

  • 노태희;임희연;김창민;강석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1-478
    • /
    • 1999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cognitive variables, motivational variable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s in learning with analogy were investigated. The instruments regarding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mental capac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were administered. Some subtests (self-efficacy, expectancy, self-concept of ability, and value) of the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were administered. After students learned with a worksheet that included analogy, a conception test regarding 'stoichiometry that included limiting reagent' was also administered. It was found that learners' conceptual understanding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mong the cognitive variables, and the self-efficacy and the self-concept of ability among the motivational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gnitive variables on conceptual understandings revealed that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lso had predictive power. In the analysis of the motivational variables, the self concept of ability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 PDF

다중 표상 학습에 적용한 그리기에서 학생들의 정신 모형을 그리는 시기 및 장의존성.장독립성에 따른 효과 (The Influence of Time to Draw Students' Mental Models and Students'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in Drawing in Relation to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 강훈식;곽진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19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성에 대한 다중 표상 학습에 그리기를 적용하는 전략에서 학생들의 정신 모형을 그리는 시기에 따른 교수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장의존성 장독립성이 그 교수 효과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2개의 중학교 1학년 295명을 통제 집단, 후그리기 집단, 전그리기 집단으로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하여 2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 후그리기 집단과 전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수업 처치와 장의존성 장독립성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상황 흥미 검사에서는 새로움 영역의 경우, 두 그리기 집단의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점수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주의집중 요구 영역에서는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경우 집단간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장의존적인 학생들의 경우에는 전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과 후그리기 집단의 점수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후그리기와 전그리기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그리기 집단의 장의존적인 학생들이 후그리기 집단의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부정적인 응답을 더 많이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