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t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3초

일부 치위생과 재학생의 치면세마실습 자세와 근골격계 질환 인식도 (Oral prophylaxis practice and awarenes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dental hygiene students)

  • 문희정;신명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1-5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oral prophylaxis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heir awarenes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strengthen education on treatment posture to manage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how to raise awarenes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From November 2 to 13, 2016,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653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with an experience of oral prophylaxis practice. SPSS version 20.0 for Window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argest group that accounted for 37.4% responded that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undergoing oral prophylaxis practice during a semester was four to six. The biggest group that represented 65.4% answered that the required practice time per student was one to fewer than three hours. 76.0% continued to be in the repeated same posture. 2. As for the posture of patients, supine position was most common for the maxillary sinus, which accounted for 82.2%. And semi-upright position was most common for the mandibular sinus, which represented 49.6%. 3. In regard to the burden of oral prophylaxis practice, 33.9% considered the required for the practice appropriate. 42.3% took the repeated long-lasting posture, and 53.5% were under physical pressure. 55.4% suffered from mental pressure and stress. 4. The most dominant musculoskeletal area that they experienced pain after oral prophylaxis practice was neck with 52.5%; waist with 48.2, shoulders/wrists/hands with 45.5, back with 10.3, buttocks with 4.1, elbows with 2.3, legs with 2.1, ankles/feet with 0.8 and knees with 0.6%. 5. Concerning the maintenance of repeated treatment postures and pain experience, the students who continued to be in the repeated same position underwent more pain than the others who didn't on the shoulders(2.92±1.05), in the waist(3.02±1.01), buttocks(1.75±0.92), elbows(1.55±0.79) and ankles/foot(2.52±1.25).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p<.01). 6. As to educational experience on treatment posture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88.8% received education on treatment posture; 87.9%, on what position should be taken in times of cooperation; 46.9%, on musculoskeletal diseases; 51.9%, on carpal tunnel syndrome; 42.3%, on varicose vein. The students who replied education on occupational diseases was necessary accounted for 89.6%. 7.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reatment posture education were better aware of the caus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3.23±3.00), ways for preventing the diseases(3.33±.834) and how to stretch the body(3.63±.858).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p<.001). 8.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education on occupational diseases heard more about musculoskeletal diseases(3.27±.965), were better cognizant of the causes of the diseases(3.45±.847), were better aware of how to prevent them(3.55±.805) and found themselves to know how to stretch to prevent the diseases (3.73±.826).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두 족저압 측정장비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wo Pedobarography Systems)

  • 강호원;변수민;김대유;조윤재;경민규;이동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6
    • /
    • 2024
  • Purpose: Foot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are used widely in clinical settings for plantar pressure assessments. Despite the availability of various devices, studies evaluating the inter-device reliability are limited. This study compared plantar pressure measurements obtained from HR Mat (Tekscan Inc.) and EMED-n50 (Novel Gmb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38 healthy male volunteers.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Meary's angle in standing foot lateral radiographs: those with normal feet (angles ranging from -4° to 4°) and those with mild flatfeet (angles from -8° to -15°). The static and dynamic plantar pressures of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HR Mat and EMED-n50. The reliability of the contact area and mean force was assessed using the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urthermore,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the two devices were examined, considering the presence of mild flatfoot. Results: The ICC values for the contact area and mean force ranged from 0.703 to 0.947, indicating good-to-excellent reliability across all areas. EMED-n50 tended to record higher contact areas than HR Mat. The mean for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efoot region when measured with EMED-n50, whereas, in the hindfoot region,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only during static measurements with HR Mat. Participants with mild flatfeet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contact areas in the midfoot region for both devices, with no consistent differences in the other parameters. Conclusion: The contact area and mean force measurements of the HR Mat and EMED-n50 showed high reliability. On the other hand, EMED-n50 tended to record higher contact areas than HR Mat. In cases of mild flatfoot, an increase in contact area within the midfoot region was observed, but no consistent impact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evices was evident.

The acclimatization of Haenyeo to a cold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valuated by orexin and irisin levels

  • Inho Lee;Yong-Jin Lee;Eun-Chul Jang;Soon-Chan Kwon;Young-Sun Min;Jisuk Yun;Taehwan Park;Hye-Jin Lee;Eonah Choo;Jeong-Beom Lee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28.1-28.12
    • /
    • 2022
  • Background: Haenyeo is a woman who has the job of collecting seafood in the Jeju Sea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3℃-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d acclimatization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Haenyeo through biomarkers such as orexin and irisin related to heat generation in the body. Methods: Twenty-one Haenyeo and 25 people with similar age, body type, and body mass index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Control G). In the cold exposure experiment, a climate chamber was set to 5℃ and both feet were immersed in a 15℃ water tank for 30 minutes. Tympanic temperature (Tty) and skin temperature (Tsk) were measured, and the mean body temperature (mTb) was calculat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examination. Orexin and irisin levels were analyzed. Results: Orexin levels were elevated after cold stimulation from 12.17 ± 4.44 to 12.95 ± 4.53 ng/mL (Haenyeo group [Haenyeo G], p < 0.01) and 10.37 ± 3.84 to 11.25 ± 4.02 ng/mL (Control G, p < 0.001). Irisin levels were elevated after cold stimulation from 4.83 ± 2.28 to 5.36 ± 2.23 ng/mL (Haenyeo G, p < 0.001) and 3.73 ± 1.59 to 4.18 ± 2.04 ng/mL (Control G, p < 0.001). The difference between Haenyeo G and Control G values in orexin and irisin appears not only in pre-exposure but also in post-exposure (p < 0.05). Conclusions: Our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Haenyeo G were relatively superior in cold tolerance to Control G under cold exposure conditions. Haenyeo's cold acclimatization is due to the basic differences in pyrogens regarding body temperature control such as orexin and irisin. This means that Haenyeo are advantageous for cold survival.

스파이랄 발란스 테이핑이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The Effect of Spiral Balance Taping on Postoperative Sequelae in Breast Cancer : Case study)

  • 강수지;이대희;장철;임백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7-47
    • /
    • 2024
  • Purpose : Cancer survivors often suffer from postoperative sequelae. the diagnosing and provision of manual therapy using spiral tap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he aim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piral taping on pain, range of motion (ROM),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and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Methods : The taping techniques were performed as follows by spiral taping.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in the middle, and after taping using a mobile phone camera, tape measure, and a numerical rating score (NRS). The evaluation employed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based on a primitive experimental design. Results : Out of four patients, all four exhibited Reverse circle flow energy (RCFE), Passive cervical right (Rt) rotation test, anterior-posterior movement pattern, nerve type (+), cold energy (CE), sangcho acupuncture point, blood clot, hwal point. Comparing before and after treatment, almost all values were reduced to zero after treatment in terms of pain complaints. The lack of range of motion (ROM) caused by the shortened tissue after surgery did not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ROM) lost due to pain returned to normal. The circumference of lymphedema did not show a tendency. The symptoms of CIPN improved.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joint range of motion, with pain decreasing, but there were structural limitations in the tissue due to total resection, and the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scale. It was effectively treated surgical site pain, axillary membrane syndrome-induced pain, and unexplained pain. While there was a treatment effect for lymphedema in the evaluation of circumference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ircumference.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particularly in treating numbness in the feet, which is a side effect of TC anticancer drugs. This case study found that spiral balance taping provides a rapid therapeutic effect for most side effects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otal breast cancer resection. However, the generalization is limited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effects of one treatment are maintained.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과 관련된 Henoch-Schönlein 자반증 (Henoch-Schönlein purpura associated with Mycoplasma infection)

  • 김형욱;김영대;김우경;이종국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62-68
    • /
    • 2007
  • 목 적 :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HSP)의 원인 및 발병기전이 현재까지 뚜렷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음식, 약물에 대한 과민성, 감염 등으로 오는 것으로 생각되며 면역글로불린 A를 포함한 면역 복합체에 의한 소혈관의 염증반응으로 보는 면역학적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SP와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아과에서 HSP 로 진단받은 98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대해 후향적 조사를 하였고 마이코플라스마 비연관성 HSP 환자군(A군)과 마이코플라스마 연관성 환자군(B군) 사이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결 과 : 1) 마이코플라스마 특이항체 검사상 양성(${\geq}1:320$)이거나, 혹은 추적 검사상 항체 검사치가 4배 이상 증가한 경우는 98명 중 14명(14.3%)에서 관찰되었고, 1례에서 전형적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소견을 보인 환자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항체가가 1:1280이었다. 2) A군과 B군에서 남녀의 비는 1.21:1, 1.80:1, 평균 연령은 $6.7{\pm}2.5$세, $5.9{\pm}1.9$세였다. 월별 발생율은 A군에서는 11월과 12월에 각각 13명(15.5%)으로 가장 높았으며, B군에서는 11월에 3명(21.4%)으로 가장 높았다. 3) A군와 B군에서 각각 자반은 84명(100%), 14명(100%), 관절염은 57명(67.9%), 8명(57.1%), 신염은 21명(25.0%), 5명(35.7%), 복통은 57명(67.9%), 9명(64.3%)에서 보였다. 관절염은 모든 군에서 발/발목부위에서 가장 흔히 나타났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전체 HSP 환아 98명 중 14명(14.3%)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항체 양성이나 4배 이상의 혈청 역가의 상승을 보였으나 마이코플라스마 연관성 HSP군과 마이코플라스마 비연관성 HSP군 간의 명확한 임상적 차이는 없었다. HSP 환아에서 정상 환아들보다 마이코플라스마 항체 양성율이 높고 1례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과 HSP가 동반되는 등 HSP와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간의 연관성이 의심되나 앞으로 HSP의 원인으로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향후 더 많은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제주지역 소아의 경골 염전 (Tibial Torsion in Children of the Jeju Area)

  • 송동호;은백린;박상희;이준영;독고영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75-80
    • /
    • 2005
  • 목 적 : 일본이나 우리나라처럼 좌식생활을 많이 하는 동아시아국가에서는 경골 내염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골 내염전이나 지나친 경골 외염전은 미용적인 문제, 기능적인 문제,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성인에서 퇴행성관절염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제주지역 정상소아를 대상으로 경골 염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 법 : 제주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1-12세 사이의 521명, 1,042족을 대상으로 복사 통과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나이를 6개월 간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복사 통과 각도의 변화 양상을 적합하기 위하여 2차 회귀 모델과 선형회귀 모델을 사용하였다. 2차 회귀분석에 대해 가장 높은 결정계수를 보여주는 7세가 서로 다른 통계모형에 적합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었다. 결 과 : 전체 아동의 평균 복사 통과 각도는 $0.10{\pm}5.79^{\circ}$이었으며, 남아의 평균 복사통과각도는 $0.90{\pm}5.49^{\circ}$, 여아의 평균 복사 통과 각도는 $-0.80{\pm}5.97^{\circ}$이었다. 평균 복사 통과 각도는 1세에 $4.25{\pm}4.04$에서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하여 4년 7개월에 $-1.98^{\circ}$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후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하여 7세 이후는 $0.67{\pm}1.10^{\circ}$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결 론 : 영아기의 경골 내염전은 정상적인 성장 발달 과정에서 저절로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의 경우 오히려 1세 이후 복사 통과 각도가 해마다 감소하여 4년 7개월에서 최저 각도를 보이고 이후 다시 점차 증가하여 7세 이후에 더 이상 교정되지 않고 경골 외염전이 서양 아동들에 비해 약 $10^{\circ}$ 정도 감소한 상태에서 지속되었다. 이는 우리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 특히 무릎을 꿇어앉는 습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절과 보행의 이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아동기에 경골 염전의 이상을 조기 발견하여 자세를 교정하여주고 필요한 경우에는 조기에 치료를 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우리나라 아동기의 경골 염전에 대한 연구가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수술의 효과 (Thoracoscopic T-3 Sympathico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김광택;김일현;이송암;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39-744
    • /
    • 1999
  • 배경: 본 임상연구는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에서 동년 12월까지 수부 다한증을 호소한 50명(여자: 24, 남자: 26)의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 경 차단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중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가 37명이었으며, 액와부 다한증이 동반된 경우가 13명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세였다. 수술방법은 전기 소작용 가위를 이용하여 양측의 흉부 교 감신경을 차단하였으며,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는 3번 늑골(흉부 2번, 3번 교감신경절 사이)에서 차단 하였으며 액와부 다한증을 동반한 환자는 3번, 4번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차단하였다. 수술 후 다한증의 호전 정도 및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와 만족도의 측정은 Linear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수부, 안면부, 체간, 족부 의 땀 분비정도는 무한증을 0로 과다 발한을 10으로 하였으며 만족도는 후회하는 경우 0로 매우 만족해하는 경우를 10으로하여 조사 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호전되었다.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수부의 땀 발생 정도의 평균 측정치는 $1.5\pm$0.8로 조사되었으며, 보상성 다한증은 39명 (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평균측정치는 3.4$\pm$1.6이었다. 2명(4%)의 환자에서 미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 으며, 수술 후 만족도는 8.5$\pm$1.2였다. 결론: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 전되었으며, 안면부 교감신경 기능의 보존과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 및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낮아, 수부 다한증의 일차적 치료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술의 적용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디자인 연구 (Research on Mobile Wheelchair Lift Design)

  • 이명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5-284
    • /
    • 2002
  • 장애인의 사회ㆍ경제적 지위향상과 인권을 화보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 통합된 사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동에 있어서나 건축물, 그리고 설비를 이용함에 있어서 접근(Access)이 가능해야 한다. 장애인이 사회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은 손상(Impairment)이나 장애(Disability)자체가 아니라 장애인을 둘러싼 환경(Environment)의 물리적, 사회적 장벽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장벽(Barrier)을 제거하여 장애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자립하여, 자유롭게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전체의 시스템을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모든 사람이 이용하기 편리한 사회를 구축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설물과 설비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것은 아직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현재 설치된 지체장애인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량은 많으나 타 시설 및 건축물과의 연계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이용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형식적으로 설치되어 실제로 장애인 스스로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휠체어사용자들의 공공시설 이용에 있어 접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시설적 제약 없이 스스로 조작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디자인을 시도하고자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기존 수입위주의 단순기능 제품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기능적 안전성, 품질 고급화와 더불어 장애인 보조기기분야에서 새로운 이미지의 디자인 적용을 통하여 수입대체 효과와 더불어 해외시장 진출로 이동식휠체어 리프트 시장의 선점, 우위를 목표로 연구 개발하였다. 걸쳐 지속적으로 가집이 편찬되었던 구체적 동인이었을 것임을 진단해 보았다. 특정시기 가곡향유의 실질은 곧 가곡의 곡 해석방식에 직결될 것이기 때문이다.를 선택하는가 하는 디자이너 측면의 요인이 감성 품질과 밀접함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멘트들의 재배열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고자장 영역에서는 correlation time 중 $\tau$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데는 $\tau$는 나노 입자의 크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자장에서 입자 크기에 따른 T1 이완율(R1)과 T2 이완율(R2)의 차이는 이러한 입자크기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노입자에 포함된 철 원자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철 원자수가 증가 할 수록 R1과 R2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온도변화에 따른 T1, T2 자기이완시간의 변화는 정상체온 근처의 제한적인 온도범위내에서 저자장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변화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1에 비해 T2에서 이러한 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결론 : 임상적 다기능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이완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제시하였고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자기 이완시간의 변화를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다.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혈압 저하를 목적으로 하는 나트륨 제한식의 실시는 다양한 체내의 생화학적 변화를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 and those a having sufficient sleep were

  • PDF

견갑골과 장골의 경사에 따른 족궁 및 발바닥의 형태변화에 관한 측정연구 (The Assessment Study on which the Forms of Foot Arch and Planta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tilting of Scapular & Ilium)

  • 문상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5-628
    • /
    • 2000
  • This report is to study on the progress on which foot arch and planta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body type based on 4 tilting of scapular & ilium.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help contribute to some basic information like these. One was to find out how to assess and analysize the deformity of feet and ankle joint which may have the most impact on ideal alignment of anatomical posture. The other was to figure out how to diagnose and treat the deformity to get to the rest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1. The findings which had been made from 22 persons(50%) having left scapular and ilium forward tilt are as follows. 1)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lanta left parts of 18 persons(82%) are longer than the right one. On the transversel length of the planta right parts of 17 persons(77%) are longer than the left one. 2) On the size of medial longitudinal arch the left parts of 20 persons(91%) are more wider than the right one. 3) On the sign of supinated foot, the left parts of 18 persons(82%) are more common than the right one. 4) On the thickness of big toe, the left parts of 14 persons(64%) are thicker than the right one. 2. The findings which had been made from 15 persons(34%) having right scapular and ilium forward tilt are as follows. 1)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lanta right parts of 11 persons(73%) are longer than the left one. On the transversel length of the planta left parts of 13 persons(87%) are longer than the right one. 2) On the size of medial longitudinal arch the right parts of 13 persons(87%) are more wider than the left one. 3) On the sign of supinated foot, the right parts of 12 persons(80%) are more common than the left one. 4) On the thickness of big toe, the right parts of 7 persons(47%) are thicker than the left one. 3. The findings which had been made from 3 persons(7%) having left scapular and right ilium forward tilt are as follows. 1)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lanta right parts of 2 persons(67%) are longer than the left one. On the transversel length of the planta left parts of 2 persons(67%) are longer than the right one. 2) On the size of medial longitudinal arch the right parts of 3 persons(100%) are more wider than the left one. 3) On the sign of supinated foot, the right parts of 2 persons(67%) are more common than the left one. 4) On the thickness of big toe, the left parts of 2 persons(67%) are thicker than the right one. 4. The findings which had been made from 4 persons(9%) having right scapular and left ilium forward tilt are as follows. 1)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lanta left parts of 3 persons(75%) are longer than the right one. On the transversel length of the planta right parts of 2 persons(50%) are longer than the left one. 2) On the size of medial longitudinal arch the left parts of 3 persons(75%) are more wider than the right one. 3) On the sign of supinated foot, the left parts of 3 persons(75%) are more common than the right one. 4) On the thickness of big toe, the left parts of 3 persons(75%) are thicker than the right one.

  • PDF

뇌손상 가족 간병인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amily Care-Givers who Have a Patient with Brain Damage)

  • 전은미;이성아;구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36-344
    • /
    • 2017
  • 본 연구는 뇌손상 진단을 받고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환자의 가족 간병인 340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증상을 알아보고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일반적 특성, 간병활동 특성, 근골격계 자각 증상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기간은 2014년 3월부터 4월이며, 재활병원 및 요양병원에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에 따른 자각증상 호소율은 신체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분석의 결과는 목의 경우 초졸의 학력이 영향을 끼쳤고, 어깨의 경우 여자, 나이 50~59세, 학력 중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가 영향을 끼쳤다. 팔/팔꿈치의 경우 나이 40~49세, 학력 대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손/손목/손가락의 경우 나이 50~59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다리/발의 경우 나이 50~59세, 간병기간 6개월 이내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의 경우 학력 초졸 중졸 고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독립보행 불가능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명 별 간병활동 특성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간병활동 동작으로는 이동하기와 보행이었다.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요인에 대해서는 간병 기간 1년 이내가 전체 통증에 유의한(p<.05)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뇌손상 환자의 가족 간병인은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활동 특성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생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뇌손상 환자를 돌보는 가족 간병인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므로 이러한 요인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예방 교육과 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