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GI Research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8초

하프라이프 알릭사의 의미와 VR게임 성공 요소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s of Half-Life: Alyx and the Success Factors of VR Games)

  • 권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71-284
    • /
    • 2020
  • 하프라이프 알릭스에 대한 시장의 호평과 VR장비 판매 증가는 수익모델의 부재로 미래가 불확실한 VR시장 활성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VR게임의 특성을 그래픽, 1인칭시스템,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인터랙션 기술, 사운드, 스토리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7개 요소는 VR의 구성 요소 중 게임의 완성도를 의미하는 '상호작용'과 '가상이미지'에 해당하였으며 상호 연결되어 있어 이를 묶은 상위 개념인 '현존감'을 제안하였다. VR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몰입감'은 유저의 능력에 적절한 과제의 난이도를 부여하는 몰입이론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과정은 전문가 패널 15명에게 델파이 기법과 FGI를 실시하여 객관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존감'과 '몰입감'은 비례하는 특성으로서 알릭스는 물론 앞으로 VR게임 분석에서도 계속 유효한 개념이 될 수 있으므로 두 단어를 합한 '프레즌스 이펙트'라는 개념적인 틀을 제안하였다.

A Taxonomy of the Common Tasks and the Development of a Risk Index for Physical Load Assessment in Nursing Job

  • Ryoo, Jang Jin;Lee, Kyung-Sun;Koo, Jung-W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335-346
    • /
    • 2020
  • Background: Nursing service is a nonroutine work with an excessive physical load and diverse tasks. This study derived representative common tasks based on the frequently occurring tasks with a high physical load in the nursing workers' daily work and develop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work risk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routine work. Methods: Common task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literature review, first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experts, first classification of common tasks, second FGI with hospital health managers, a survey of nursing service workers, and the final classification of common tasks for each task type. To develop an objective risk index for physical load assessment,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the derived common tasks via survey. Results: Nursing common tasks were categorized into six task types and 56 subtasks. To evaluate the risks of various tasks in nonroutine works, three frequencies and three working time levels were defined by examining the task frequency and working hours. Exposure time was defin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nonroutine job. The final risk assessment was the product of the exposure time level and job intensity level. From this, four risk action levels were derived.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 of focusing on some tasks in evaluating the physical load. It was meaningful in that a new risk assessment index based on exposure time was propos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cale for frequency and time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routine work.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 Image and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Influenced by the Ethnic Dress of Asians

  • Medvedev, Katalin;Lee, Yu-Ri;Choi, Y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2022-2038
    • /
    • 2010
  • Our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some insights on positive country image and the mechanisms of influence that Asian fashion industries can draw upon for future benefit. We focused on a country image and fashion products with Asian ethnic influence. Asian traditional costume elements reflected in contemporary fashion products may be important representative tools for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qualitatively investigated how and to what extent country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fluence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influenced by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raditional dress. We conducted four focus-group interviews (FGI) with 30 students from a fashion program at a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We analyzed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influenced by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ountry image. Our qualitative analysis offered more developed empirical evidence for the various paths through which country image affects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influenced by the ethnic dress of Asian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the more direct the source of prior knowledge, the larger the influence on product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certain cues in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with Asian ethnic influence induce changes in the affective state (that stem from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nature of fashion products) and illustrate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affective processes involved in the appropriate use of the country image. In the fashion industry, extrinsic properties such as the country imag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ttitude and purchasing decisions of consum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y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Modular and situational-contextual influences are also revealed as important factors that deserve more attention, as well as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dimensions of the country image described in attitude theory.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한 아파트 개발 사업 기획 모델 (A Planning Model for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Reflecting Client Requirements)

  • 김유신;오예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88-96
    • /
    • 2004
  • 고객 요구사항은 기업의 여러 성과와 관련하여 최근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개념이며, 특히 국내 건설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 사업의 경우 다각도의 조사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발굴하고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아파트 사업에 적용하는 기법이 요구되며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와 연계된 ROQ(Return On Qualify)는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고 이를 품질개선 프로그램에 적용해 수익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프로세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ROQ 프로세스의 적용을 통해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자 면접조사와 FGI(포커스그룹 인터뷰) 조사 실시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으며, 그 후 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아파트 상품 개발에 적용 가능한 품질개선 프로그램을 수립하였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새로운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지도교수의 비대면 상담 사례 연구 -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한 SNS 상담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culty Advisor's non Face-to-face Counseling during Coronavirus Incubation Period - SNS Counseling Applied Photovoice-)

  • 곽현주;고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2-209
    • /
    • 2020
  • 코로나19로 인해 일반대학에서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어 상담도 비대면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생각과 경험을 잘 표현하는 사진과 찍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하는 포토보이스 방법과 SNS 소통 방법을 혼합한 상담을 시행한 사례 분석으로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지도교수의 상담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SNS 상담을 수도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10명을 대상으로 6회기 상담 및 FGI를 실시하였다. 학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내용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포토보이스 기법을 적용한 SNS 상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비대면 일상과 학업에 대해 점차 적응하고 긍정적 측면을 평가하였으나, 진로 및 취업에서는 두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한 비대면 상담 전략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통근·통학형 자전거 이용시설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Bicycle's Facilities of Attending Work and School Trip)

  • 원제무;진원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29-435
    • /
    • 2012
  • 본 연구는 통근 통학시 자전거 이용환경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평가지표를 통해서 현재 자전거 이용환경을 평가하고 향후 개선사항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자전거 이용자들의 필요성, 새로운 정책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측면에서 통근 통학 자전거 이용환경 평가지표 개발방향을 정립한 후 기존 평가지표 검토 및 FGI를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거 이용평가에서 존별 평가를 적용하여 존 단위의 개선점 제시, 둘째 GIS를 이용한 시설물 현황 및 모형분석 결과 제시, 셋째 스파이더 맵을 이용한 각 존별 주요항목 결과의 비교를 명확히 하였다.

이용자측면의 고속도로 휴게소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Servic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xpressway Service Areas on the Side of Users)

  • 원제무;진원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21-427
    • /
    • 2012
  •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고속도로 노선별 휴게소의 서비스를 평가하고 향후 모니터링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휴게소 이용자들의 필요성, 시대여건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측면에서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지표 개발방향을 정립한 후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용자 설문인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는 환경시설 측면(0.35), 위치 측면(0.33), 위생적 측면(0.32) 순으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성적인 인자가 함께 고려되어 실질적인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가 가능하고, 스파이더맵을 통한 고속도로 휴게소별 맞춤형 휴게소 향상 방향 제시 및 향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21-8029
    • /
    • 2015
  •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Exploratory Research on the Linkage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Act Revised)

  • 정연수;박경순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123-1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 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의 사례관리자 경험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the housing vulnerable group living in public low-income housing in Seoul)

  • 민소영;김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263-296
    • /
    • 2018
  •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 관리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제까지의 연구는 저렴주거 공급, 주거환경, 입주자의 삶의 질과 건강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자의 FGI를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시설 이후 독립주택생활 지원의 딜레마', '임대료 관리와 사례관리 사이의 역할 경합', '지역 연계와 협력을 향한 외로운 실천', '이중고용관계와 열악한 작업 환경'의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