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of life

검색결과 3,589건 처리시간 0.026초

숲에서의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ve Senses Experience in the Forest on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 장철순;구창덕;황연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8-914
    • /
    • 2016
  •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는 숲에서의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효능감과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숲특별반을 주2회 참여하는 실험군과 통제군은 숲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으며 남자아이는 11명, 여자아이는 9명씩이었다. 실험기간은 2016년 8월08일부터 2016년 9월20일까지 매주 2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였다. 오감체험활동은 숲에서 유아들이 오감을 깨우고, 오감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알고, 자신의 자아를 확립하고 자연과 친해지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아효능감 검사와 생명존중인식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생각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존중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오감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온몸으로 자유롭게 자연을 마음껏 느낄 수 있었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비해 자아효능감이나 생명존중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아동 대상 영양·식생활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 김송희;김애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2호
    • /
    • pp.153-1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jectively quantify the effects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on preschoolers through meta-analysis.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systematic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of 27 papers was conducted that conformed to the selection criteria in the study conducted from January 2012 to August 2019 to derive objective data on the effects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effective size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as 0.829, which indicates a strong effect. According to the education method, the effect size of general education was 0.562,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the vegetable playing-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0.685, which indicates a medium effect size, and cooking activity-based experience education was 1.101, which indicates a large effect size. Judging from this result, experience activity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nutri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combined size of convergenc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general and experience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t 1.301.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size was 0.898 for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0.858 for improving dietary habits, 0.836 for improving unbalanced diet, and 0.756 for improving food preference and intake, and the sizes of effects were all found to be large. As frequency of educ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education participants decreased and the effect of education increased.

대학축제체험이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참여정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llege Festival Participants' Experience on Festival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 Enhancement: Focusing on College Life Participation)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46-25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축제의 성과를 일상으로의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축제는 지금까지 구성원의 공동체 결집을 통해 대학문화 창조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에 연예인 공연과 기업의 스폰서십 등 상업화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학축제의 기능회복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대학축제는 일상의 대학생활이 만들어낸 텍스트이기 때문에 일상과 무관할 수 없으며 대학축제 역시 일상의 회복에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Pine & Gilmore의 체험모델을 적용하여 양질의 대학축제 체험을 통해서 만족과 더 나가 일상과의 연결고리로서 교우관계를 개선한다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참여정도 차이에 따라 축제체험 등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축제 참가자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축제체험은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가설1), 축제만족은 재참가의도와 교우관계(가설2, 가설3)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생활 참여정도가 높은 집단은 그러하지 못한 집단에 비하여 대학축제체험,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있어 차이를 보여주었다(가설4).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말미에 포함시켰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융합 프로그램을 통한 해외 단기연수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Major Converged Short-term Study Abroad Program)

  • 문원희;김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견해에 바탕을 둔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전공 융합한 해외 단기연수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 해외 단기연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명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참여자들은 연수 후 경험으로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발견하고 더 넓은 세상으로 나가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게 생기면서 삶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자아성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는 현실에 짓눌려 열망을 내려놓고 예전 삶으로의 회귀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전공 융합한 해외 단기연수 후에는 반드시 추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긍정적으로 변화된 열망, 동기, 자신감 등을 강화 유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고, 개인 성향에 따른 맞춤형 추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추후 프로그램 운영 시 연수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통해 추후 시점마다 심리적 또는 교육적 지지자원을 분배 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카데바 실습 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adaver Practice)

  • 이현정;이상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60-6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카데바 실습 경험을 확인하여 간호학과 맞춤형 카데바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생명·간호 윤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40명을 대상으로 4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통해 도출된 자료를, Colaizzi 분석방법으로 인체 해부 관찰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간호학생의 인체 해부 관찰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는 3개 범주와 6개의 주제모음 및 1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각 범주별 주제모음은 다음과 같다: 불안(걱정, 직면), 성찰(삶과 죽음의 경계선, 시신스승의 가르침), 성장(전진, 다시없을 값진 경험). 간호학생은 카데바 실습 경험으로 인체의 신비와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죽음 또한 넓은 의미에서 생명의 한 과정임을 인식하며 기증을 통한 이타적인 삶도 고민해보는 기회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카데바 실습 오리엔테이션과 감정 대처법 제시, 가상 죽음체험과 같은 죽음준비 프로그램을 통해 생명과 죽음, 인간의 존엄성에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간호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Fall Experie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Lee, Ju-Hwan;Park, Shin-Jun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3-8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fall experienc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117 patients with stroke from 3 hospitals in D metropolitan city.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all experiences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through a face-to-face interviews conducted in a quiet place using a questionnair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S-QOL). To identify the SS-QOL items related to fall experiences, the items of the SS-QOL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all experiences were identified using a univariate analysis.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then performed using fall experienc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self help activities, social rol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than that in the non-fall group (p<.05). The findings of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confirmed that social roles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the SS-QOL items that were related to fall experie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roles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may be risk factors for fall experi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낙상 두려움, 낙상 효능감, 낙상예방행위 비교 (Comparison of Fear of Falling, Self-Efficacy of Falling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 정경숙;허제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3-263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ear of falling, self-efficacy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2 elderly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0th to November 30th of 201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and no f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were 2.28±0.63 and 1.84±0.64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of falling (t=4.26, p<.001) and self-efficacy of falling (t=3.88,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mean scores for fall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and no f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were 1.63±0.20 and 1.67±0.17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ll prevention behavior (t=-1.16, p=.25).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F=3.25, p<.05) and physical activity related to daily life (F=13.22, p<.001).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F=3.03, p<.05), income per month (F=3.74, p<.05) and physical activity related to daily life (F=11.99, p<.001). But fall prevention behavior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of general characteristics.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the no fal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F=3.37, p<.05), marriage status (F=3.37, p<.05), education level (F=5.15, p<.01), income per month (F=3.58, p<.05) and physical activity related to daily life (F=15.71, p<.001).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o fal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t=2.32, p<.05), age (F=5.20, p<.01), marriage status (F=5.04, p<.01), education level (F=6.55, p<.001), income per month (F=5.99, p<.001) and physical activity related to daily life (F=18.86, p<.001). Fall preven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rriage status (F=3.51,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lower the fear of falling in the elderly an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falling, an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elderly's practice of fall prevention behavior regardless of the fall experien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중증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to the Life of Mothers as a Caretaker of Children with a Severe Disability)

  • 전찬영;서미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9-249
    • /
    • 2013
  • 본 연구는 중증 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삶의 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중증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17명이며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은 2010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진행되었고 참여자 1명당 3~7회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1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중증장애 자녀를 돌보는 삶의 과정은 '막막함', '암흑 속에 갇힘', '마음 다잡기', '일어섬', '삶의 재발견'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암흑 속에 갇힌 삶에서 벗어나 새삶 찾기'로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은 개인, 가족, 사회적 수준에서 암흑 속의 삶을 벗어나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회복하고 세상과 더불어 삶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시키며 살아가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제도가 보완되고, 나아가 중증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형성을 제안한다.

초등학생의 생물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 및 지적 호기심, 자연 및 생물에 대한 경험과 환경 친화적 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Affinity toward and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Life, and Experiences about Nature and Life with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 김흥태;전민정;김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97-20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chool year and gender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their emotional affinity toward and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life, and experiences about nature and life with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A total of 436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189 3rd grade; 247 6th grade students, and 233 boys; 203 girls.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5-point Likert scale items. The results showed the level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the 3rd grade students and the girl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6th grade and the boys, respectively.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ll measured variabl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predictors of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were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indirect experience, while the emotional affinity and the direct experience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behavior. The predictive power of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indirect experience for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higher in 3rd grade than 6th grade. While the indirect experience was a stronger predictor of the boys' pro-environmental behavior than the intellectual curiosity, the curiosity was a stronger predictor of the girls.

저소득층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갈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elfare Services Experience by the Low-Income Senior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nflicts and Depression -)

  • 안은선;송순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9-1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갈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16년 제11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변인들의 특성과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19.0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조사대상자는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 675명을 추출하였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은 더미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갈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가족갈등과 우울을 완화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의 필요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