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stress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6초

인동덩굴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and Fra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 이예슬;윤믿음;이윤주;박영민;이상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8
    • /
    • 2018
  • DPPH를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7.25{\mu}g/ml$)이 50% 에탄올 추출물($152.00{\mu}g/ml$)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33{\mu}g/ml$) >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1.12{\mu}g/ml$) > L-ascorbic acid ($4.95{\mu}g/ml$)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세포 보호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46.0 min)에서,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mu}g/ml$의 농도(52.3 min)에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 본 실험에서는 $0.4-12.5{\mu}g/ml$의 농도 범위를 설정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 보호 효과는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0.0, 78.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군(65%)과 비교하여 유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에서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ROS를 소거하였으며, $12.5{\mu}g/ml$ 농도에서 각각 45.2, 63.3%의 ROS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세포 내 ROS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와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한 인동덩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을 통해 caffeic acid, luteolin, apigenin, coumaric acid를 확인하였다. Caffeic acid와 luteolin의 뛰어난 환원력과 킬레이팅 작용이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 보호 효과에 크게 기인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ROS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추출물이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인간유래각질세포에서 두릅순 에탄올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ralia elata on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 곽충실;양지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35-143
    • /
    • 2016
  • 두릅순에서 얻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UVB에 의한 피부광노화를 유도하는 주요 원인인 ROS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유래각질세포 (HaCaT)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릅순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0.15 mg tannic acid/g dry wt, 18.75 mg rutin/g dry wt 이었고,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을 소거능 ($IC_{50}$)은 $98.5{\mu}g\;AA\;eq./mL$이었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FRAP)은 각각 $41.8{\mu}g\;ascorbic\;acid\;(AA)\;eq./mL$$29.7{\mu}g\;AA\;eq./mL$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두릅순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24시간 전처리했을 때 UVB 조사에 의한 ROS 생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사인자인 Nrf-2와 각질세포에서 ROS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주요 항산화효소인 SOD-1의 단백질 수준의 발현은 증가한 반면, UVB 조사에 의하여 증가하였던 HO-1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catalase의 단백질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두릅순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효능이 우수한 어떤 페놀화합물들이 UVB 조사로 인하여 생성된 ROS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각질세포에 존재하는 방어시스템의 활성화를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악영향을 막아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두릅순 70% 에탄올 추출물은 UVB에 의한 피부손상 및 피부광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루오줌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 및 대장암 세포 억제활성 (Ethanol Extracts from Astilbe chinensis (Maxim.) Franch. Et Savat. Exhibit Inhibitory Activities on Oxidative Stress Generation and Viability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노종현;장지훈;정호경;이무진;심미옥;정다은;조현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1-147
    • /
    • 2018
  • Background: Astilbe chinensis (Maxim.) Franch. Et Savat. is a plant belonging to Saxifragaceae family and contains various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astilbin and bergenin.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o improve fever, pain, and cough. Recently, a number of Korean medical resources have been studied for cancer and inflammation treatment, but A. chinensis (Maxim.) Franch. Et Savat. has not yet been investigated.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A. chinensis (Maxim.) Franch. Et Savat. (ARE) on oxidative stress and colorectal cancer using RAW264.7 and the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CT-116. Methods and Results: In total, $500{\mu}g/m{\ell}$ ARE reduced cell viability by $38.96{\pm}1.32%$, and increased caspase-3 activity by $133.08{\pm}3.41%$ in HCT-116 cells. Moreover, TUNEL signaling and the early apoptosis ratio ($34.56{\pm}1.67%$) increased by $500{\mu}g/m{\ell}$ ARE treatmen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cell death were diminished by $500{\mu}g/m{\ell}$ ARE treatment through decreasing ROS (reactive oxygen species). Conclus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ARE against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is mediated by apoptosis and caspase-3 activation, and $H_2O_2$-induced ROS generation and cell death are decreased by ARE treatment in RAW264.7 cells. Howeve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how ARE treatment is involved in the signaling pathway to decrease ROS.

HT22 해마세포의 oxidative toxicity에 대한 천문동 유래 에탄올추출물의 보호 효과 (Ethanol Extract from Asparagus Cochinchinensi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Oxidative Toxicity in HT22 Hippocampal Cells)

  • 박맑은;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58-1465
    • /
    • 2016
  • 본 연구는 oxidative stress에 의한 세포죽음 분석의 이상적인 모델로 사용되는 HT22세포를 이용하여 천문동 에탄올추출물의 glutamate에 의한 oxidative toxicity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cell viability, lactate dehydrogenase (LDH), 그리고 세포죽음형태,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MMP) 등에 대한 flow cytometry 및 Western blot분석을 이용하였다. 천문동 추출물의 처리는 cell viability 및 LDH분석에서 glutamate에 의한 cell toxicity를 저하시키며, 특히 apoptotic cell death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ROS 및 MMP분석 결과, 천문동 추출물은 ROS의 형성을 저하시키며 glutamate에 의해 저하된 MMP를 현저히 회복시켜 주었다. 이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보면, 천문동 추출물은 PARP 및 HO-1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천문동 추출물이 HT22해마세포에서 ROS형성저해 및 MMP회복에 의해 세포죽음을 완화시켜 보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oxidative toxicity관련 질환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국화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와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dranthema indicum Extracts on Cell and DNA Damage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박영미;김지인;이창호;임재환;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98-1704
    • /
    • 2011
  • 본 연구는 국화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국화추출물의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의 제거 활성은 $200{\mu}g$/ml에서 각각 92.8%, 73.8%로 나타났으며, $Fe^{2+}$-chelating 효과는 59.4%로 나타났다. 국화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대조군의 90.3%의 활성을 보였으며, p21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대조군의 79.6%로 나타나 라디칼 처리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화추출물의 DNA 분절화 억제 활성은 대조군의 89.6%를 보였고, DNA tail의 이동은 농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조군과 비교적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ospho-H2AX 단백질의 발현은 라디칼 처리군의 79.8%에 해당하는 수준을 보여 DNA 인산화를 억제하는 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국화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생체 내 독성으로부터 세포와 DNA를 보호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고지방식이로 유발한 흰쥐에서 쇠똥구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s of Dung Beetle Extracts on the High Fat Diet SD Rats)

  • 김하정;김반지;안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72-781
    • /
    • 2016
  • 쇠똥구리는 동물의 분을 이용하여 토질을 개선시켜 지구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곤충이다. 이 연구에서 수컷 SD rat는 5군으로 분리되어 PBS,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 귀뚜라미 아세톤 추출물, 양성대조군으로 새우기름 그룹으로 나누었다. 13주령 쥐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7주간 유도하고, 20주령부터 시험물질을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한 달간 투여하였다. 쇠똥구리 추출물의 투여는 체중과 복부지방과 부고환지방 중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지질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간에서 MDA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나, 군간에 유 의성이 없었다. 단백질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혈액에서 단백질 카르보닐 양으로 측정되었는데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에서 유의성있게 산화적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반면에 간에서의 단백질 카르보닐 양은 군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당뇨 혈관내피세포를 효소면역분석법을 사용하여 세포부착단백질인 laminin 과 fibronectin 수준을 측정하였더니 쇠똥구리 추출물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사이토카인 IL-10, IL-1β, VEGF, eNOS를 측정하였는데 IL-10에서 쇠똥구리 에탄올 추출물과 쇠똥구리 아세톤 추출물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항산 화효소인 SOD, GSH-Px 활성은 군간에 유의성은 없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CAT활성은 쇠똥구리 추출물에서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지방조직 내의 포화지방산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과 다 가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다. 쇠똥구리 추출물의 지방조직 감소 및 여러 지질 수치의 향상효과는 쇠똥구리 추출물을 기능성 곤충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Pendulous Monkshood Root in vitro

  • Huang, Xian-Ju;Ren, Wei;Li, Jun;Chen, Lv-Yi;Mei, Zhi-N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569-3573
    • /
    • 2013
  • Aim: Pendulous monkshood root is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several inflammatory pathologies such as rheumatisms, wounds, pain and tumors in China.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and the mechanism of crude ethanol extract of pendulous monkshood root (EPMR) were evaluated and investigated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The cytotoxic effects of EPMR on different tumor cell lines were determined by the MTT method. Cell apoptosis and cell nucleus morphology were assessed by Hoechst 33258 staining. Moreover, nitric oxide (NO) levels and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in peritoneal macrophages were determined to further elucidate mechanisms of action. Results: The data showed that EPMR could produce significant dose-dependent toxicity on three kinds of tumor cells. Furthermore, EPMR displayed obviou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LPS-induc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at the dosage of 4 - 200 ${\mu}g/mL$.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endulous Monkshood Root on cancer and inflammatory disease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EPMR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properties, suggesting that pendulous monkshood root may be a useful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reagent in the clinic.

도꼬마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oxidative stress from fraction of Xanthium strumarium L.)

  • 민영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15-220
    • /
    • 2017
  • 도꼬마리 (X. strumarium )는 국화과에 속하며, '창이자'라는 한약명으로 사용되는 다년생 식물이다. 열매부위와 지상부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융합 식물활성작용을 관찰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실험법으로는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BTS assay를 사용하였다. 도꼬마리의 추출물은 단일분리가 아닌 ethanol, petroleum ether, 그리고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연구에 사용되는 radical scavenging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and ABTS를 투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꼬마리는 천연유래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맥주발효 폐액을 이용한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Using Waste of Beer Fermentation Broth)

  • 박중곤;현승훈;안원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52-57
    • /
    • 2006
  • 에탄올과 함께 탄소, 질소원을 함유한 맥주 폐 발효액을 저렴한 대체배지로 사용하고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KCTC 10505 BP) 균주를 이용하여 미생물셀룰로오스를 생산하였다. 맥주 폐 발효액은 기본배지보다도 탄소원과 질소원이 풍부하였으며 미량의 황과 4% 이상의 에탄올을 함유하였다. 진탕배양에서 맥주 폐 발효액을 사용하여 생산된 셀룰로오스량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여 생산된 셀룰로오스량과 필적하였다. 교반배양에서는 셀룰로오스 생산균주($Cel^+$ 균주)가 셀룰로오스를 생산하지 못하는 균주($Cel^-$ 돌연변이주)로 전환되는 률은 낮았지만 셀룰로오스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from Apple (Malus pumila Miller) Peel by Various Extraction Solvents

  • Kim, Gyeong-Hwuii;Duan, Yishan;Gwon, Soon-Hee;Kim, Han-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6-194
    • /
    • 2016
  •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has been conducted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mixture (CM, 2:1, v/v) were used as solvents in the extraction of apple peels. The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assays. The extract obtained by 70% methanol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20.87{\pm}0.17mgCAE/g$),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However, 70% ethanol extract possess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assayed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eta}$-carotene bleaching method. And CM extract was found to show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with the value of $9.26{\pm}0.06mgQE/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e peels can be used in dietary applications with a potential to reduce oxidative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