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igeron Canadensis L.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망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Erigeron canadensis L.)

  • 전춘표;박세철;이준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5-98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망초의 생리활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추출물이 42.19 mg/g으로 다른 부위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이 74.26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 mg/mL의 농도에서 잎, 꽃, 전초 그리고 뿌리 추출물에서 각각 91.75%, 86.95%, 83.95% 및 83.43%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7.91~13.54%를 나타내었으며 꽃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망초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Erigeron Canadensis L. may be involved with upregulation of heme oxygenase-1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NF{\kappa}B$ and MAPKs activation in macrophages

  • Sung, Jeehye;Sung, Misun;Kim, Younghwa;Ham, Hyeonmi;Jeong, Heon-Sang;Lee, Jun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352-359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Erigeron Canadensis L. (ECM)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MATERIALS/METHODS: The potential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CM were investigated by using RAW264.7 macrophages. We used western blot assays and real 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protein and mRNA expression, respectively. Luciferase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trans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s. RESULTS: ECM significantly inhibit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derived NO and cyclooxygenase-2 (COX-2) derived PGE2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These inhibitory effects of ECM were accompanied by decreases in LPS-induced nuclear translocations and transactivities of $NF{\kappa}B$. Moreover,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 including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ERK1/2),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ECM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Further studies demonstrated that ECM by itself induced heme oxygenase-1 (HO-1) protein expression at the protein levels in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zinc protoporphyrin (ZnPP), a selective HO-1 inhibitor, abolished the ECM-induced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CM-induced HO-1 expression was partly responsible for the resulting anti-inflammatory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CM exerts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help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s of Erigeron Canadensis L.

수증기 증류로 추출한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정유의 성분 분석과 독성 평가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in Korea)

  • 최해진;왕해영;김영남;허수정;김남경;정미순;박유화;김성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55-59
    • /
    • 2008
  • 국내산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의 지상부위를 수증기증류방식으로 처리하여 얻은 정유의 성분을 GC-MS로 분석하고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망초 정유에는 총 31종의 화학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들을 성분별로 구분하면 탄화수소류 18종(전체 정유 중 91.99%), 에테르류 4종(0.49%), 알코올류 3종(3.59%), 아세테이트류 2종(2.92%), 알데히드류 1종(0.05%), 케톤류 3종(0.23%)이었다. 망초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된 화합물은 탄화수소류인 D,L-limonene과 ${\delta}-3-carene$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각각 68.25%와 15.93%이었다. MTT assay를 통해서 망초 정유성분의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정유의 농도와 세포독성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y=17712x^2-2925.8x+118.55,\;R^2=0.9879)$, $IC_{50}$값은 0.027 ${\mu}g\;mg^{-1}$이었다.

공장지역 도로변 야생식물들의 중금속 축적 (Heavy Metal Accumulation in Wild Plants on the Roadside of Industrial Areas)

  • 최윤정;이종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39-4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accumulation in wild plants. The samples from 5 plant species on 14 sites were taken on the roadside where urban and industrial regions in northern Gyeonggi do.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henopodium album L. var. centrobrum, Erigeron canadensis L., Rumex crispus L. and Taraxacum platycapum H. Dahlst were taken from different parts of the plants gathered in surveyed sites for analysing. This study classified which species were suitable to accumulators, excluders, or indicators which were provided as Phytoremediation for heavy metals(Cd, Cr, Ni, Pb and Zn) and considered the applicability of that work. 1. The mean accumulation of 6 heavy metals in plants was as follows; Zn> Cu> Cr> Pb> Ni> Cd in rows except for Ni and Pb in Erigeron. 2. The highest heavy metal accumulators were Taraxacum and Artemisia. 3. The comparison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between the tops and roots in the plants was as follows; Zn> Cd> Pb> Ni> Cu> Cr. 4. Comparison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between tops and roots, root parts were higher than the top parts in most of the plants. Especially, in Taraxacum, a ratio was over 1.0 in Cr, Ni, and Zn. Therefore, Taraxacum was an accumulator for 3 heavy metals. And Erigeron, Chenopodium, Rumex, Artemisia were good for excluders which had lower than 1.0.

전처리조건에 따른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with Pretreatment Conditions)

  • 우관식;송석보;오병근;서명철;고지연;이재생;강종래;남민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79-1283
    • /
    • 2009
  • 망초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 측정을 통하여 대표적인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탄닌, chlorophyll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한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생물 상태 망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및 chlorophyll 함량은 각각 63.32, 27.71, 161.19 및 428.85 mg/g으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89.25, 33.44, 210.44 및 229.29 mg/g으로 나타났으며, 끓는 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115.49, 45.51, 252.54 및 283.07 mg/g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상태 망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의 $IC_{50}$은 5.5527 mg/mL, 총항산화력은 192.78 mg AA eq/g sample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0.4710 mg/mL 및 194.05 mg AA eq/g sample로 나타났으며, 끓는 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0.4135 mg/mL 및 242.40 mg AA eq/g sample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 망초(Conyza canadensis L) 에틸알코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ld Conyza canadensis L. Extracts)

  • 이희제;송현숙;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5
    • /
    • 2022
  • 배경: 야생 망초의 항산화 물질의 존재와 활성화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망초를 에탄올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물질의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야생 망초를 세척한 다음에 에탄올로 추출하여 다양한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야생 망초 추출물의 수율 비율은 최고는 49.3% 이었으며 온도와 에탄올 비율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추출에서 180℃에서 물과 에탄올 비율이 50:50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무처리 군은 100% 생존율, 실험군에서는 추출물 50 ppm 이상에서는 98-100%로 나타났다. 거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었다. 실험군에 서는 추출물 25 ppm에서는 Nitric oxide 생성은 42%까지 억제되었다. 추출물 50 ppm에서는 유리 지방산 함량이 15%가 감소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추출물 농도가 50 ppm에서는 20%, 100 ppm에서 24%이었다. 추출물 농도 500 ppm에서는 DPPH과 ABTs를 이용한 유리 산소 소거 능은 90-98%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자유기 소거 활성의 변화를 3차원적으로 관찰하였을 때에 85℃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85~130℃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결론: 야생 망초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세포독성도 거의 없고, NO 생산도 억제하고, 유리 산소의 소거 기능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망초 추출물을 다양한 자연치유적 활용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본다.

산사태지(山沙汰地)의 식생(植生) 회복과정(回復過程)에 관(關)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 용인(龍仁)·화성군지역(華城郡地域)을 대상(對象)으로 - (Studies on Rehabilitation Progress of Vegetation on Landslide Scars - In Cases of Yongin-gun·Hwaseong-gun at Areas -)

  • 우보명;전기성;최형태;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31-40
    • /
    • 1995
  • 산사태지(山沙汰地)에서의 자연적인 식생착생(植生着生) 및 식생회복과정(植生回復過程)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용인(龍仁) 화성군지역(華城郡地域)에서 산사태지(山沙汰地) 복구공사시행지(復舊工事施行地)(14개소)와 복구공사시행지(復舊工事施行地)(14개소)를 대상(對象)으로 1993년과 1994년에 식생조사(植生調査) 수행(遂行)하였다. 산사태지(山沙汰地)에서는 총 61종(種)의 식생(植生)이 출현하였으며, 초기식생침엽은 주로 참싸리새, 쑥, 고사리, 망초, 산딸기, 국수나무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종다양도(種多樣度)와 균재도(均在度)는 복구공사비시행지(復舊工事非施行地)가 복구공사시행지(復舊工事施行地)에서보다 높았으며, 또한 주변식생과의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에 있어서도 복구공사비시행지(復舊工事非施行地)가 복구공사시행지(復舊工事施行地)에서보다 높게 나타났고, 천이도지수(遷移度指數)에 있어서는 두 처리지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으므로 복구공사시비행지(復舊工事非施行地)에서는 주변식생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사태지(山沙汰地)의 식생회복녹화(植生回復綠化)에는 초기착생력(初期着生力)이 크고 적응력(適應力)이 큰 참싸리, 새, 억새, 쑥, 고사리, 산딸기, 망초, 국수나무 등과 같은 자생종(自生種)의 활용(活用)이 도입초종(導入草種)의 이용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 PDF

누에인공사료의 사료효율증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the Artificial Diet for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8-47
    • /
    • 1986
  • 누에 인공동류에 망초, 결명차, 방둠산이 및 동부의 엽분말을 혼입하여 조제한 동료로 누에를 동육한 결과와 그 누에의 체액 중장 견사선등의 전기영동상 및 공식식물의 성분분석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기본누에인공동료에 망초, 결명차, 방둠산이, 동부의 엽분말을 건물동으로 2-5%정도 혼입한 구에서 섭식과 소화가 조장되었으며 누에의 각종 실용형질도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동부와 방둠산이는 첨가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4종의 공식식물엽분말을 2-4종씩 여러 조합으로 혼입한 동료로 누에를 동육한 결과 누에의 섭식과 소화에 대한 각식물성분간의 상승효과는 인정되지 아니하였다. 3. 누에의 채액, 중상 및 견사선의 Esterase Protease Phosphatase의 전기영동상은 처리간에 다소 차이가 인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섭식과 소화가 양호한 구에서는 1-2개의 영동대가 더 검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4. 공식식물성분은 상엽에 비해서 전분조지방조단백질무기염류등의 함유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섭식에 직접 관여하는 휘발성성분은 찾아내지 못하였다.

  • PDF

잔디밭의 효과적인 잡초 방제와 토양 환경 조사 (Advanced Weed Control and Soil Environmental Survey in Lawn)

  • 문영희;김용휘;김영석;양희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6
    • /
    • 1996
  • The effects of salt are studied on control of weeds and growth of Korean turfgrass(Zoysia japon-ica Steud.). And the mobility of salt were determined in a lawn field. At post-emergence stage, the growth of the 13 weeds such as Trifolium repens,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prieceps, Equi-setum arvense, etc were controlled by treatment of salt and salt water, Pea-annua and Equisetum arvense were tolerant to salt compared with the other 11 weeds. At pre-emergence stage, the salt controlled the germination of the weeds in soil. 300~500 kg /10a salt and 20~30 % salt waterwere enough for the control of weeds, However, salt water injuried the lawngrass except the dormancy stage. The mobility of salt in soil was increased by rainfall. After 160mm of rainfall, the salinity in the soil treated with salt 500kg /l0a was below 0.3 ms/cm in surface soil and about 0.1 ms /cm in soil 30 cm depth. Key words: Soil environmental survey, Korean turfgrass, Salt, Salt water.

  • PDF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Variation after Creation of the Eco-po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ation techniques of eco-pond, one of biotopes to promote biodiversity in urban residence area. Investigation were classified out plant, mammals, amphibia, reptiles, birds, fishes and insec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round the eco-pond shows simple vegetation structurs, consisted of Pinus densoflora S et Z. and Robinia pseudoacacia under competition. In case of shrub, consisted of 4 species but plant growing appearence diversely by seasons.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of eco-pond, there are found 4 species of aquatic plants. Inside the revetment of pond, Echinochloa crus-galli, Persicaria hydropiper, Digiaria sanguinalis, Cyperus microiria and Bidens frondosa L. are mainly distributed. Near the revetment, Trifolium repens L. and Digiaria sanguinalis are prevailed. And in its background, Erigeron canadensis, Erigeron annuus and vines are begins to make their appearances. When evaluation animals in eco-pond and contrast plot, it show simple species and numbers of mammals.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its isolation and outside intervention by users In eco-pond, Pica pica and Streptopelia orientalis are mainly found and in contrast plot of Columba livia, which are so strong adaptation to city life environment. In case of amphibia and reptiles, none is observed in contrast plot, but in ecological pond, Rana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are constantly observed. In case of insects, more species are found in eco-pond than contrast plot. And in eco-pond, more dragonflies are visibly increased one year after its construction. In floral zone inside of pond revetment, grasshopper and Locusta migratoria are frequently observed. In case of butterflies, they are mainly found in log fence and willow(salix) around eco-pond. In case of fishes inside of eco-pond, the species and its density are remarkable increased one year after the construction. With above evaluation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increase effect of biodivers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eco-po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