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stemology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초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쟁점 분석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탐색 연구 (Analysis of the Focal Issues on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Explo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 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5-23
    • /
    • 2017
  • 이 연구는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4차원적 모형을 활용하여 2018년 본격 시행을 앞둔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신문기사 등을 활용하여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주요 이슈를 도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규범적 차원에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입각한 교과서관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과정기반형 교과서체계로의 전환과 교육부 내 정책추진 조직의 안정화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핵심정책 실행자들 간의 협력과 충분한 역량 발휘를 위한 관심과 지원이, 마지막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을 활용한 수업모형의 개발 및 확산과 교사들의 ICT 역량의 강화가 요청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목표의 명확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교급별 과목별 우선순위의 설정, 핵심참여자인 교사와 학생의 의견수렴을 위한 장의 마련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성과가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체계의 혁신과 현장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인간과 비인간 존재는 어떻게 만나는가? (How does Man and Non-human beings meet?)

  • 심귀연
    • 철학연구
    • /
    • 제147권
    • /
    • pp.239-260
    • /
    • 2018
  • 기술의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비인간존재인 인공지능로봇(A.I)은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인가 아니면 인간과의 상호협력 또는 앙상블을 이루는 존재인가? 인간이 과학기술의 힘을 빌어 자연을 지배하고자 하는 욕망은 인간이 자신을 소멸시킬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물음과 두려움의 근저에 있는 데카르트적 인식론의 문제를 확인하고 시몽동과 라투르의 존재론 및 기술철학을 활용하여 메를로-퐁티의 몸살존재론을 토대로 이 물음들에 답하려는 시도이다. 데카르트 철학이 도출한 코기토는 인간-이성을 주체로 하여 '주관과 객관이라는 이분법적 인식론의 구조'의 토대가 되었다. 인간이 중심인 세계에서 인간 아닌 모든 존재들은 인간을 위한 도구이거나 통제의 대상이었다. 근대인의 문제는 인간을 비롯한 자연을 통제하는 방식에 자연과학적 방법에서 도움을 얻을 뿐 아니라, 과학적 방법만이 세계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는데 있다. 이를 비판하면서 메를로-퐁티는 몸이 인간과 비인간존재들을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살존재론으로 그것이 가능한 존재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방법론과 존재론은 기술철학자이자 현상학의 영향 아래에 있는 시몽동에 의해 새롭게 전개된다. 시몽동에 의해 인간과 비인간존재의 관계는 인간과 기술적 대상의 앙상블 또는 인간과 기술적 대상과의 상호협력적 공진화로 나타난다. 특히 라투르는 시몽동에서 한발 더 나아가 근대의 핵심 개념인 주체를 부정하고 세계에 거주하는 모든 몸들을 행위자네크워크이론으로 규정한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은 기술시대의 철학적 논의에 새로운 가능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우리는 근대적 두려움이 현상학적 태도로 전환함으로써 그 문제 자체가 해소될 수 있음을 확인할 것이다.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 - 리(理)의 동정(動靜)·발(發)·도(到)를 중심으로 - (T'oegye's Understanding of Zhuzi's Philosophy and its Characteristics)

  • 정상봉
    • 한국철학논집
    • /
    • 제37호
    • /
    • pp.47-70
    • /
    • 2013
  • 일반적으로 퇴계가 주자철학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평가를 한다. 그러나 평가의 내막을 구체적인 살펴보면 연구자들 사이에 원전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부터 취하는 관점에 이르기까지 편차가 너무도 크다. 물론 주자성리학 자체에 다양한 논의가 가능한 여지가 있고 퇴계철학 또한 상이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퇴계이후의 유학자들부터 오늘날의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퇴계철학에 대하여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대부분 리(理)의 동정(動靜)과 리(理)의 발(發), 그리고 리(理)의 도(到)에 대한 이해가 다르기 때문이다. 주자 서거후 300년이 훨씬 넘어 활동하였던 퇴계는 주자가 말했듯이 무정의(無情意) 무계탁(無計度) 무조작(無造作)의 측면을 들어 리(理)가 운동(motion)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리(理)가 능발능생(能發能生)한다는 점을 들어 리의 형이상적 활동(activity)을 긍정하였다. 이것은 그의 우주론에서 인식론에 이르기까지 그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그는 주자철학에서 제기된 리(理)의 동정(動靜)에 대하여 우주론적 의미를 부각시켰고 리(理)의 발(發)에 대해서는 본체론적 의미를 토대로 심성론적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마침내 리도(理到: 리의 자기발현)로써 물격(物格)의 인식론적 의미를 밝히게 됨에 따라 마침내 이론 정합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이와 같이 퇴계는 주자의 철학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도 주자 당시에 미처 이론화하지 못했던 문제에 대하여 이론 정합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주자철학을 발전시켰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을 통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의 인지적 추론 측면의 효과 (The Effects of Authentic Open Inquiry on Cognitive Reasoning through an Analysis of Types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 김미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30-94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연구 수행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특성을 반영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과학의 인지과정을 경험하면서 참탐구 인식론을 반영한 추론 특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8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4주 동안 비교집단 2개 학급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학교 탐구 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실험집단 2개 학급의 학생들은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학생들이 제기한 질문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의 학생들이 제기한 질문의 빈도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질문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에서 사고 질문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질문의 세부 유형에서도 비교집단 학생들의 질문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1) 특히 사고를 확장시키는 질문과 변칙 데이터에 대한 질문의 빈도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 집단에서 제기된 질문 가운데에는 과학적 방법,변칙 데이터,추론의 불확실성과 같은 참과학의 인식론을 반영하는 질문들이 발견되어 개방적 참탐구 수행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인식론을 이해하게 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탐구주제에 따른 질문 비교에서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변칙탐지 질문과 전략질문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귀납적 질문과 유추적 질문의 경우에는 개방도보다는 탐구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입관(先入觀)의 철학적(哲學的) 배경(背景) 및 오인(誤認)과 과학학습(科學學習)의 관계(關係) (A Study of Philosophical Basis of Preconcep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Misconceptions and Science Education)

  • 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4-43
    • /
    • 1984
  • Since the study of student's preconceptions and their effects on the learning of relevant subjects became an influential research area with high significance, the research area bas mainly been concerned by science educators.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year of 1983 that the area received recognition of various fields other than science education. The recognition was given by the Scientific American when it published a paper reporting a misconceptions in mechanics. Studies concerning misconceptions primarily interested in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kinds of theoretical bases do preconceptions or misconceptions have? What are the sources of those conceptions? How are the misconceptions changed into or improved to scientific concepts? What a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reducing the number of the misconceptions after instruction? Those questions are partly answered by experimental psychology and by philosophy of science, especially epistemology. Therefore, the paper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d the sources of the misconcep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a few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currently carrying great prestige in educational practice will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preconceptions or misconceptions.

  • PDF

도박중독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동시적 현상을 포함하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 Including a Concurrent Phenomenon -)

  • 송진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213-237
    • /
    • 2011
  • 본 연구는 도박중독의 과정적이고 진행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도박중독 과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이면에 있는 암묵적 가정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4명의 남성 도박중독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 자료를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도박중독의 과정은 단계별로 특정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박중독 현상들이 매 단계 안에서 '동시성'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단계에서 주로 보이는 현상들과 그 외의 이질적 사건들이 상호 보충적 의미를 가지고 해석되어지고, 그것이 다음 도박중독 단계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uropean Medieval and Renaissance Cosmography: A Story of Multiple Voices

  • CATTANEO, Angelo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4권1호
    • /
    • pp.35-8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to propose a cultural history of cosmography and cartography from the thirteenth to the sixteenth centuries. It focuses on some of the processes that characterized these fields of knowledge, using mainly western European sources. First, it elucidates the meaning that the term cosmography held during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and the scientific status that this composite field of knowledge enjoyed, pointing to the main processes that structured cosmography between the thirteenth century and the sixteenth century. I then move on to expound the circulation of cosmographic knowledge among Portugal, Venice and Lisbon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This analysis will show how cartography and cosmography were produced at the interface of articulated commercial, diplomatic and scholarly networks; finally, the last part of the essay focuses on the specific and quite distinctive use of cosmography in fifteenth-century European culture: the representation of "geo-political" projects on the world through the reformulation of the very concepts of sea and maritime networks. This last topic will be developed through the study of Fra Mauro's mid-fifteenth-century visionary project about changing the world connectivity through the linking of several maritime and fluvial networks in the Indian Ocean, Central Asia, and the Mediterranean Sea basin, involving the circumnavigation of Africa. This unprecedented project was based on a variety of sources accumulated in the Mediterranean Sea basin as well as in Asia and in the Indian Ocean over the course of several centuries.

수학적 지식의 특성요소에 대한 수학교육전공 대학생의 인식 상황 (On Mathematics Education Major Students' Conception of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Knowledge)

  • 김영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61-171
    • /
    • 2012
  • Generally mathematics is regarded as a subtle subject to grasp their true meaning. And teacher's person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influence greatl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More over often teachers confess their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true nature of mathematics. In this paper, applying the theory of epistemology, we tried to search factors that must be counted important when trying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mathematics. As results, we identified f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knowledge such as logical reasoning, abstractive concept, mathematical representation, systematical structure, and axiomatic validation. Next, we tried to investigate math education major students' conception of mathematics using these items. To proceed this research we asked 51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to answer their opinion on 'What do you think is mathematics?'. Analysing their answers in the light of the above five items, we got the following facts. 1. Only 38% of the students regarded mathematics as one of the five items, which can be considered to reveal students' low concern about the basic nature of mathematics. 2. The status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 were grea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Universities. This shows that mathematics professors need to lead students to have concern about the true nature of mathematics.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Some Trends and Issu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201
    • /
    • 2005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을 알아보고,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이들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공통점과 보완점을 살펴보았으며, 국내 문헌정보학계에서 수행된 질적 연구의 수준을 가늠해 보고,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적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점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병행 사용, 연구자의 주관성 극복위한 충분한 자료 제시, 연구과정의 철저한 관찰 및 조사과정의 반복, 타당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 다양한 질적분석 도구의 활용,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의 엄밀성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o-genetic principl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 우정호;민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409-424
    • /
    • 2002
  •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has been advocated continuously, as an alternative one to the traditional deductiv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y Clairaut, Cajori, Smith, Klein, Poincar$\'{e}$, La Cour, Branford, Toeplitz, etc. since 18C. And recently we could find various studies in relation to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Lakatos', Freudenthal's, and Brousseau's are representative in them.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istorico- genetic principle in many aspects. In this study, the previous historico- genetic principle is called as classical historico- genetic principle and the other one as modern historico-genetic principle. This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ise from the historical views of mathematics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Dewey thinks that education is a constant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This study shows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could us embody the Dewey's psycological method. Bruner's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ased on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insists on teaching mathematics in the reverse order of historical genesis. This study shows the real understan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could not neglect the connection with histogenesis of them. This study shows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could help us realize Bruner's point of view on the teaching of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we try to stipulate the principle more clearly, and we also try to present teaching unit for the logarithm according to the historico- genetic princi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