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Trends and Issu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S. A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are widely different from those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meaning of validity and reliability must be interpreted in its ow9 structure and dimension. Essentially qualitative researchers seek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world of others from their own viewpoints which basically tend to be subjective. Accordingly, qualitative researchers‘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are met with readers' subjectivity. By carefully analyzing th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in LIS, I tried to point out some problems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practical strategies. Six problems issu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을 알아보고,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이들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공통점과 보완점을 살펴보았으며, 국내 문헌정보학계에서 수행된 질적 연구의 수준을 가늠해 보고,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적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점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병행 사용, 연구자의 주관성 극복위한 충분한 자료 제시, 연구과정의 철저한 관찰 및 조사과정의 반복, 타당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 다양한 질적분석 도구의 활용,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의 엄밀성 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기. 1998. 현상학적으로 본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장서형성요인 - 한국사회 지식흐름의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113-126
  2. 김영기. 2000.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실적합성과 실천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2):191-209
  3. 김영기. 2002. 디지털 자료실 구축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인터넷 콘텐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3(3): 153-169
  4. 김영기. 2005. 탈식민주의 글쓰기와 장서 연구 - 도서관 장서의 편향성에 관한 사회사상적 접근.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6(1): 173-193
  5. 김정근,김종성. 1997. 현 단계 학교도서관 문제에 관한 연구전략.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3): 23-51
  6. 김정근,김영기. 1996. 공공도서관 이용자 문제의 재인식: 도서원과 공공도서관의 비교 연구. '학술연구에서 글쓰기의 혁신은 가능한가'. 김정근 역음,서울 한울아카데미 : 41-95
  7. 김정근,김영기. 2000. 한국 언론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관한 서지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3l(1): 63-86
  8. 김정근,이수상. 1997. 현 단계 한국문헌정보학의 발전전략. '한국문헌정보학회지',31(1):125-151
  9. 김정근,장덕현. 1999.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일상생활 연구의 방법론적 함의 - 최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0(2): 55-75
  10. 김종성. 1998. 1960년대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의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32(3): 45-80
  11. 김종성. 1999.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 쇠퇴의 심층구조와 교육 왜곡.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30(4): 299-326
  12. 김종성. 2000. 디지털 도서관 담론 속에서 우리 학교도서관의 길 찾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34(2): 159-173
  13. 김종성. 2005. 현단계 우리 학교도서관 발전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39(2): 259-286
  14. 김종성. 2005. 사서교사의 직무적응 저해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6 (1): 237-268
  15. 노지현. 2002. 정보환경의 변화와 도서관목록의 현단계. '한국문헌정보학회지',36(3) :133-153
  16. 박인웅,이연옥. 1998. 공공도서관 자료선정과 구입의 현단계. S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에서 문화기술법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울아카데미: 216-255
  17. 설문원,차미경. 1999.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의의와 과제'. 이화여대 문헌정보학과 창립 40주년 기념논문집. 65-92
  18. 신경림. 1993. 연구전통의 통합. 최영희 편저. '질적 간호연구',361-377. 서울: 수문사
  19. 선옥순. 2004.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의미. '교육논총',경인교대 초등교연구소. 23:1-9
  20. 양재한. 1999. 창원지역 공공도서관의 성립과정과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0(3): 255-294
  21. 이수상. 2005.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6(1): 131-150
  22. 이용재. 1999.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주제서비스의 현단계 - 부산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0(3):385-404
  23. 이용재 .2005. 한국 대학도서관경영 연구의 탈식민성 담론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6(1): 151-172
  24. 이제환. 2005. 東京지역 韓人의 정보행태에 관한연구 - 오사카지역 韓人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6(1) :91-116
  25. 장덕현 .2005. 도시 저소득층의 정보 빈곤 양상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 봉사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219-236
  26. 조영남. 200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초등교육 연구논총'. 대구교대. 17(2): 307-329
  27. 조용환. 1999.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인류학연구'. 2(1): 91-121
  28. Bradley. J. and B. Sutton. 1993. Reframing the paradjgm debate. Library Quarterly. 63(4): 404-410
  29. Bradley. J. 1993. Methodological Issues and Practices in Qualitative Research. Library Quarterly. 63(4): 431-449 https://doi.org/10.1086/602620
  30. Carr. D. M. 1990. Qualitative Meaning in Cultural Institu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31(3): 97-104 https://doi.org/10.2307/40323393
  31. Davis. C. H. 1990. On Qualitative Researc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2(4): 327-328
  32. Ellis. D. 1993. Modelling the Information-Seeking Patterns of Academic Researchers A Grounded Theory Approach. Library Quarterly. 63(4):469-486 https://doi.org/10.1086/602622
  33. Forhmann. B. 1994. Discours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6(2):119-138 https://doi.org/10.1016/0740-8188(94)90004-3
  34. Gay. L.R. & P. Airasian (2000),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r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 New Jersey : Prentice-Hall. 조영 남(2001).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대구대 '초등교육논총'. 17(2): 307-329에서 재인용
  35. Goetz. J. P. and M. D. LeCompte.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Research. San Diago: Academic Press. 조영남(2001),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대구대 '초등교육논총'. 17(2): 307-329에서 재인용
  36. Goodwin. W.L. and L.D. Goodwin(1996). Understan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 Teachers College Press
  37. Kuhlthau. C. C. 1993. Seeking. Meaning :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Norwood. N.J.: Ablex
  38. Lincoln. Y. S. and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for Library Science : Methods and Apphications for Research, Evaluation and Teaching, NY Greenwood
  39. Powell. R. R. 1999. Recent Trends in Research : A Methodological Essay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10): 91-119
  40. Smith. K. 1990. Diversity and Direction : The Role of Qualitative Research in Information Center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 91-96 https://doi.org/10.2307/40323392
  41. Sutton. B. 1993. The Rationale for Qualitative Research : a Review of Principles and Theoretical Foundation. Library Quarterly. 3(4): 411-430
  42. Tuominen, K. 1997. User-Centered Discourse: An Analysis of the Subject Positions of the User and the Librarian. Library Quarterly. 67(4): 350-371
  43. Westbrook, L. 1994.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 Reviews of Major States.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Quality Control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6: 241-254 https://doi.org/10.1016/0740-8188(94)90026-4
  44. Wolcott, H.(l990). On Seeking-and Rejecting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 E. Eisner and A. Peshkin (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 NY : Teachers College Press. 1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