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freshme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7초

미국 버지니아텍 공대 신입생에 대한 '지속가능 에너지 설계'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Effect of Sustainable Energy Design Project on Achievement for Engineering Freshmen at Virginia Tech in the United States)

  • 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60-76
    • /
    • 2007
  • 이 논문은 미국의 버지니아텍 공과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2006년 가을 학기에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한 실험 연구의 결과이다. 버지니아텍에는 공학교육과가 2004년에 설립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신입생 1200여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5개 반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과목은 공학탐구이며, 수업의 주제로는 지속가능 에너지 설계이며, 6주 동안에 걸쳐 매주 이론 50분과 웍샵 90분 수업을 각 모듬별로 수행하였다. 이론은 교수가 강의하고 ???p샵은 박사과정의 조교가 수업을 실시하였다. SPSS(버전 15)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집단의 학업 성취도에 대하여 사전 및 사후 검사 점수로 대응 표본 t 검증한 결과, 혼성 학급인 4개 집단에서는 유의 수준 .05에서 사후 검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여성학급에서는 유의미한 증가가 없었다. 5개 집단의 태도에 대하여 대응 표본 t 검증한 결과, 5개 집단 모두에서 약간씩 감소하였으며 유의미한 값은 아니다. 끝으로 이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기능 향상의 기대감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을 하였으며, 학생들은 팀???p, 디자인 과정, 지식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for Android)

  • 김병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67-472
    • /
    • 2013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이전 어느 때보다 컴퓨터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대부분의 컴퓨터 관련 학과에서 첫 프로그래밍 언어로 가르치고 있는 C++나 자바 언어는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관련전공 학생들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첫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를 활용하는 방안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교육 분석 결과를 통해 본 교육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스마트폰 앱 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래밍 교육이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to Freshmen's Major Choice)

  • 김경미;김헌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1-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공을 정하지 않고 2학년 때부터 전공수업을 시작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2015년 1학기에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여 그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필수로 수강하지 않은 2013년 신입생 대상 설문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실효성을 검증한 후 2018년부터 고교과정에서 정규교과목화 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있다. 설문분석 결과 프로그래밍 수업이 전공분야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고교 재학 시 문과계열 학생들이 이과계열 전공분야 선택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취득한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이동한 비중이 높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프로그래밍 교육이 전공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어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용성을 알게 한다는 점이다. 둘째, 2018년부터 고교 정규교육과정으로 시행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영향과 효과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래밍 교육 확산은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정책에 부합하며, 장기적으로 이공계 기피현상을 완화하는 데 일조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강의시간 배분이 공과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on the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in Institute of Technologies)

  • 김성연;강상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2호
    • /
    • pp.191-206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on the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in institute of technologies. The subjects are 392 freshmen from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hey belong 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75 minutes twice a week(79 students) and 15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77 students) (university 1 of 156 students), 100 minutes twice a week(56 students) and 20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60 students) (university 2 of 116 students) and 50 minutes and 100 minutes separately once a week(62 students) and 15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58 students) (university 3 of 120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chievement of separate time-allocation groups is higher than that of continuous time-allocation groups. Secondly, the achievement of middle class students and low class students has higher effects when they are taught by using the methods of separate time-allocation in lecturing. Finally, the achievement of groups using 75 minutes twice a week is higher than that of using 50 minutes and 100 minutes separately once a week.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separate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using 75 minutes twice a week could be an advisable means to help those who achieve middle and low scores in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 PDF

LEGO MINDSTORM NXT를 이용한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 (A Case Study of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using LEGO MINDSTORM NXT)

  • 이강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83-88
    • /
    • 2009
  • 본 논문은 저학년을 위한 공학설계입문 과목에서 레고 Mindstorm NXT를 이용하여 설계 실습교육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학설계입문 과목의 특성상 전공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설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면서 동시에 저학년들의 전공에 대한 흥미를 끌어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레고의 Mindstorm NXT가 이러한 문제의 한가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LEGO Mindstormd NXT를 입문설계 수업에 사용했을 경우, 학생들의 설계에 대한 흥미 유발과 설계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경험이 충분히 가능하다. 즉, 설계의 목적설정, 설계 제약조건 찾기, 설계물의 기능 열거, 설계 공간의 탐색, 예비설계 수행 등의 설계 각 과정에 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레고를 공학설계 입문 과목에서 도입할 경우 사용할 만한 무선조정 축구 로봇, 라인 트레이서, 청소기 로봇 등의 프로젝트 목록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About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 - In Focus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Colleges)

  • 이용길;강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60-67
    • /
    • 2011
  • 이 연구는 공학계열과 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제주 소재 3개 대학의 대학생 310명(공학계열 164명, 사회계 열 146명)이다.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검사 결과 대학생들은 전공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학계열 학생이 사회계열 학생들보다 취업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분석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사회계열 학생들이 높았고, 1학년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상 관관계 분석에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전공과 학년에 따라 특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전공교육과 연계된 진로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교 수학 및 과학 교과목 학습경험 분석: S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신동주;김진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of new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respond to strengthen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1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S Univers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freshmen, the geometr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ch is the result of students' sensitive responses to transi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SAT system after revision. In science,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higher than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science subjects, which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hierarchy of science subje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experience after revision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thematics I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eometry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Chemistry I and 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and Earth Science I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based on obtaining grades in the CSAT and disadvantag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ensitive reactions to change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ere confirmed,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related courses were opened to alleviate variations in the academic ability due to elective courses, and countermeasures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situation.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23-43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 연구: 녹화 강의와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for Untact General English Class: Focused on Pre-recorded Lecture vs. Real Time Online Class)

  • 박옥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41-4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녹화 강의 및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전환된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170명을 대상으로 학습감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긍정의 감정과 부정의 감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수업에서,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더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1), 수준과 무관하게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에서 높았고,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더 높았다. 셋째, 신입생들의 전공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은 긍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자연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보다 동영상수업에 대한 긍정의 감정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신입생들의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은 부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온라인 수업유형과 무관하게 여학생의 부정 감정이 남학생의 부정 감정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MS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Mathematics Performance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 Heejoo PARK;Sunyoung BU;Jihoon RY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5권1호
    • /
    • pp.67-92
    • /
    • 2024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by introducing a LMS enhancing digital assessment utilizing automatic item generation in order to strengthen college student's mathematics performance. Teaching assisted with digital assessment in the LMS was applied to college mathematics classes, and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or not students in the classes utilizing the LMS perform better than the regular classes. In particular, a calculus course, which is the foundation of importa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uture, was utiliz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8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who were taking calculus courses at a small to mid-size university. A total of 156 freshmen were selected after apply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PSMM), 78 from classes utilizing the LMS and 78 from regular classes without the LMS assisted with the digital assess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 academic growth of students who used the LMS and those who did not. In other words, when LMS was used in calculus, students' academic growth was gre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observed students' academic growth and confirmed that LMS enables a positive role in students' academic growth. In addition, if digital assessment is strengthened and LMS that enables individualized learning analysis i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strengthen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