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About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 - In Focus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Colleges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9.28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 from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 Research object is 310 undergraduates(engineering department: 164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 146) from three colleges in Seoul and Cheju. As a result of testing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undergraduat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and grade. Employment stress of undergraduates from engineering department was more serious than undergraduates from social science depart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on the basis of grade employment stress of sophomores was more serious than freshmen.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 from social science department was higher than other group. Career decision efficacy of freshmen was higher than sophomore.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showed negative corelation in corelation analysis. This study implies that course educating program should be specialized according to major and grad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develop course educating curriculum connecting with major education.

이 연구는 공학계열과 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제주 소재 3개 대학의 대학생 310명(공학계열 164명, 사회계 열 146명)이다.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검사 결과 대학생들은 전공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학계열 학생이 사회계열 학생들보다 취업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분석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사회계열 학생들이 높았고, 1학년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상 관관계 분석에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전공과 학년에 따라 특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전공교육과 연계된 진로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준, 김종인, 김정원 (2008).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1): 17-36.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 김동조 (2003). 신학대학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4. 김수리 (2004). 부모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상 (2003).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아 (2006).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와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주 (2007). 대학생의 전공 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나희진 (2005).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미경, 이현림 (2008).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연구, 15(5): 239-259.
  10. 박혜정 (2002).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식.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배주윤 (2009).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와 구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성영모 (2007). 진로스트레스를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의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주현 (2008).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차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훈상 (2005). 대학생 취업면접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구직효능감과 취업면접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16. 이명숙 (2002).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 지각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계 (2007). 대학생의 노동경험과 직업선택의 관련성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4(2): 123-141.
  18. 이은경 (2001). 진로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현주 (2002). 대학교육단계의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 연구-대학생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0(1), 219-247.
  20. 조아미 (2001). 청소년(지도)전공 대학생의 전공관련 직업체험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연구, 33: 29-46.
  21. 탁진국, 이기학 (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83-488.
  22. 최해림 (1986). 한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상담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한정신, 김광웅, 김기행 (1991). 타지역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7: 55-76.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24. 황상하 (1994).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8. Bandura, A., Taylor, C. B., Williams, S. I., Mefford, I. N., & Barchas, J. D. (1985). Catecholamine secretion as a function of perceived coping self-effica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406-414. https://doi.org/10.1037/0022-006X.53.3.406
  29. Bets, N. E., & Luzzo, D. A. (1996). Career assess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313-328.
  30. Lazarus, R. S. (1984). Patterns and adjustment and human effectiveness. NY: McGraw-Hill Book Co.
  31. Taylor, K. M., Bets, N. E. (1983).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m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32. Vinokur, A. D., Price, R. H., & Caplan, R. D (1991). From field experiments to program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porential outcomes of an experimental invention program for unemployed pers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 543-562. https://doi.org/10.1007/BF00937991
  33. 경향신문 2009. 11월 20일자 경제면 : 취업준비, 대학 입학하자마자 41%.
  34. 통계청 http://www.index.go.kr
  35. 한국교육개발원http://www.cesi.ke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