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patter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3초

초파리 단안의 발생시기에 따른 각막형성세포의 형태 (Morphology of Drosophila Ocellar Corneagenous Cells to the Development)

  • 윤춘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231-239
    • /
    • 1999
  • 초파리 단안의 발생단계에 따른 각막형성세포의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생산된 단백질의 이동방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화 후 수일이 지나면서 각막형성세포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우화 직후의 각막형성세포는 왕성한 분비활동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자기방사섭의 결과에서는 각막형성세포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단백질이 랜즈쪽으로 가는 것을 볼 때, 이 시기에서 이들 세포는 시세포에 기능하기보다는 렌즈형성에 주 기능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데기시기의 각막형성세포는 더욱 잘 발달되어 있었다. 렌즈가 형성되고 있는 시기의 각막형성세포에는 rER이 잘 발달되어 물질생산이 왕성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분비과립과 미세소관이 많이 관찰되는데, 후자는 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발생도중의 단안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렌즈의 가장 아래층의 저밀도의 불연속적 라멜라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부분의 각막형성세포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어 물질을 분비하는 조직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각막형성세포는 렌즈가 왕성하게 형성되는 시기에는 잘 발달하고, 우화 후 완전히 형성된 추에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세포의 크기도 작아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질소시비수준이 Pioneer 988 ( Sorghum bicolor $\times$ S.Sudanesse ) 의 엽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levels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l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 , Pioneer 988)

  • 김상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8-163
    • /
    • 1983
  •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進行에 따라 증가했는데, 특히 穗孕期까지 그 增加가 급격했으며, 室素施肥水準別로는 幼穗分化期까지 15kg 施肥區에서 컷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컷다. 3. 乾物收量은 穗孕期 以前에는 15kg 施肥區에서 많았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많았다. 4 乾物生産速度는 純同化率 및 平均 葉面積指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生育後期에는 純同化率의 增加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 PDF

원예경작지(園藝耕作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I. 주요잡초종(主要雜草種)의 발생계절성(發生季節性)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Major Horticultural Crops - III. Phenological Aspects of Major Weeds)

  • 우인식;변종영;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0-140
    • /
    • 1989
  • 1986~1987년(年)에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의 와그너폿트에 1월(月) 1일(日) 부터 15일(日) 간격(間隔)으로 12월말(月末)까지 휴면타파(休眠打破)된 잡초종실(雜草種實)을 파종(播種)하고, 매기(每期)마다 파종후(播種後) 15일간(日間)의 발생율(發生率)을 구하여 정규성(正規性) 검정(檢定)과 정규분포도(正規分布圖)를 작성(作成)하여 발생율(發生率)의 계절분포특성(季節分布特性)을 해석(解析)한 결과(結果) 공시초종(供試草種)들이 시험지(試驗地)의 1986~1987년(年) 기상하(氣象下)에서 보인 발아율(發生率)의 월별(月別) 계절분포상(季節分布相)을 다음의 정규분포식(正規分布式)으로 결론(結論)지을 수 있었다. 피 : $y={\frac{1}{2.52{\sqrt{2{\pi}}}}}e^{-{\frac{(x-10.057)^2}{12.7}}}$ 왕바랭이 : $y={\frac{1}{2.17{\sqrt{2{\pi}}}}}e^{-{\frac{(x-9.16)^2}{9.45}}}$ 개비름 : $y={\frac{1}{7.74{\sqrt{2{\pi}}}}}e^{-{\frac{(x-10.06)^2}{15.46}}}$ 까마중 : $y={\frac{1}{2.7{\sqrt{2{\pi}}}}}e^{-{\frac{(x-9.695)^2}{14.58}}}$ 냉이 : $y={\frac{1}{2.83{\sqrt{2{\pi}}}}}e^{-{\frac{(x-9.02)^2}{16.02}}}$ 바랭이 : $y={\frac{1}{2.8{\sqrt{2{\pi}}}}}e^{-{\frac{(x-8.58)^2}{15.67}}}$ 강아지풀 : $y={\frac{1}{2.72{\sqrt{2{\pi}}}}}e^{-{\frac{(x-9.36)^2}{14.8}}}$ 명아주 : $y={\frac{1}{2.596{\sqrt{2{\pi}}}}}e^{-{\frac{(x-8.07)^2}{13.48}}}$ 쇠비름 : $y={\frac{1}{2.45{\sqrt{2{\pi}}}}}e^{-{\frac{(x-10.83)^2}{12.01}}}$ 공시종(供試種)의 집중발생기(集中發生期)는 5월(月) 하순(下旬)부터 8월(月) 초순(初旬)의 범위(範圍)이었고, 시험(試驗)이 수행(遂行)된 양년차간(兩年次間)에 차이(差異)를 크게 나타내었던 초종(草種)은 피, 강아지풀, 까마중,쇠비름 등으로서 기온(氣溫)보다는 주로 강우특성(降雨特性)에 좌우된 결과(結果)로 보였다.

  • PDF

민깨알반날개(Oligota kashmirica benefica)의 몇 가지 생태특성: 산란 및 용화장소, 성충 저장온도, 방사효과 (Some Ecological Notes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Oviposition and Pupation Site, Storage Temperature of Adult, Release Effect)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5-130
    • /
    • 2005
  •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95\%$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91.3\%$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60\%$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86.7\%$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88\%)$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12^{\circ}C$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70\%$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

Ovarian Follicular Dynamics Monitored by Real-Time Ultrasonography during Oestrous Cycle in Buffalo (Bubalus bubalis)

  • Manik, R.S.;Singla, S.K.;Palta, P.;Mad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480-485
    • /
    • 1998
  • Application of trans rectal ultrasonography to buffaloes (n=6) to follow the growth of large antral follicles individually, on each day of one interovulatory interval revealed that follicular turnover during oestrous cycle occured in waves. There was a predominance of a two-wave pattern (5/6 animals) compared to that of a three-wave pattern (1/6 animals). For two-wave pattern, the first wave emerged at Day $0.20{\pm}0.19$ (Day 0 = day of ovulation) and was marked by development of a dominant anovulatory follicle which grew in size from $5.40{\pm}0.24mm$ at the day of detection to a maximum diameter of $12.40{\pm}0.81mm$ on Day $8.60{\pm}1.57$, with a growth rate of $0.88{\pm}0.17mm/day$ and then regressed, with a mean persistence of $19.40{\pm}1.54$ days. The second wave emerged at Day $9.20{\pm}1.06$ and was marked by development of a dominant ovulatory follicle which grew in size from $4.20{\pm}0.37mm$ at the day of detection to a maximum diameter of $13.80{\pm}0.37mm$ on Day $21.00{\pm}1.38$, with a growth rate of $0.66{\pm}0.12mm/day$ and then ovulated on Day $21.60{\pm}1.25$, with a mean persistence of $11.80{\pm}1.39$ days. The maximum diameters attained and the growth rates of dominant anovulatory and dominant ovulatory follicles, and the mean number of follicles ${\geq}3mm$ diameter detected at the time of emergence of first and second waves ($11.80{\pm}1.74$ and $9.00{\pm}2.81$,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nimal which showed a three-wave pattern,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ves emerged on Days 1, 10 and 19, respectively. All animals, except one had at least one subordinate follicle in the first or second or both waves. The subordinate follicles increased in diameter over a few days and then regres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buffaloes, the follicular turnover during oestrous cycle occurs predominantly in a two-wave pattern.

네오 팝아트 방식을 적용한 국가상징 패턴 개발 - 무궁화, 태극기, 국새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ymbolic pattern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 Focusing on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

  • 구본혜;김미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581-594
    • /
    • 2015
  • The emergence of pop art in the 1960s exerted a profound impact on integrating art into the real lives of the general public, which continues in the current area of culture of post-industrial society. Thus, this study aims to attempt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Korean images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p art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symbolic image. This study utilized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which are national symbolic images that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 through differentiation, universality, and visual formativeness. It then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pop art motives and patterns using national symbolic images from the standpoint of symbolism, mix-match, and repetitiveness fro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art. This study carried out pattern design by departmentalizing each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through scribbles composed of the following: Signs, pictograms, and childlike characters; drawing simplification for symbolism; a mix of the East and the West; a mix of subfashion and subculture for mix-match; the repetition of lines, characters, and icons; and the exaggeration and grotesqueness of characters and icons for repetitive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momentum for rais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attern design capable of achieving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ermanence and continuity of national symbols with the popular universality of pop art.

Pattern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otyping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in Korea

  • ;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3-304
    • /
    • 2007
  • The emergence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bacteria is worldwide concern. Until recently,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strains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E. coli and Klebsiella spp. The incidence of resistance to extended spectrum $\beta$-lactam antibiotics is increasing in Wonju city, Korea. Total 57 strains of ESBL producing E. coli and Klebsiella species were isolated from Wonju Christian Hospital during a 9 month-period from April to December, 2003.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genotypes of th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ESBL activity test by VITEK system and double disk synergy (DDS) test, and PCR based genotyping were performed. Fourteen (82%) isolates of 17 ESBL producing E. coli were found to have $bla_{TEM}$ gene and 5 (29%) isolates were found to have $bla_{CTX-M}$ gen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irty (75%) isolates of 40 ESBL producing Klebsiella species with $bla_{TEM}$ gene, 38 (95%) isolates with $bla_{SHV}$ gene, and 7 (20%) isolates with $bla_{CTX-M}$ type gene were also identified.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CR and similarity index by dendrogram for genetical similarity to band pattern of each clinical isolates were examined. ESBL producing E. coli were grouped into 6 clusters up to 84% of similarity index and Klebsiella species were grouped into 12 clusters up to 76% of similarity index. In conclusion,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results from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and genetical similarity using ERiC PCR.

  • PDF

정보검색 능력과 빈도의 종단적 패턴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Longitudinal Pattern of Information Retrieval Ability and Frequency)

  • 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51-560
    • /
    • 2019
  • 고도화된 정보 시대의 학습은 학습자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정보자원에 접근하여 정보를 자기주도적으로 습득하고 평가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등장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하여 초중등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학습하는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초중등 학습자의 정보검색 능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변인간의 긍정적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는 특정 교과 수업과 콘텐츠에 국한된 횡단적인 연구로 보다 확장된 형태의 종단적인 연구를 통해 정보검색 능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8년 동안 수집된 서울교육종단연구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검색 능력과 정보검색 빈도의 종단적인 패턴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1
    • /
    • 2014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적 분석 기반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악성코드 식별 시스템 연구 (A Study on Malware Identification System Using Static Analysis Based Machine Learning Technique)

  • 김수정;하지희;오수현;이태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775-784
    • /
    • 2019
  • 신규 및 변종 악성코드의 발생으로 모바일, IoT, windows, mac 등 여러 환경에서 악성코드 침해 공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시그니처 기반 탐지의 대응만으로는 악성코드 탐지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난독화, 패킹, Anti-VM 기법의 적용으로 분석 성능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유사성 해시 기반의 패턴 탐지 기술과 패킹에 따른 파일 분류 후의 정적 분석 적용으로 기계학습 기반 악성코드 식별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악성코드의 식별에 강한 패턴 기반 탐지와 신규 및 변종 악성코드 탐지에 유리한 기계학습 기반 식별 기술을 모두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본 연구 결과물은 정보보호 R&D 데이터 챌린지 2018 대회의 AI기반 악성코드 탐지 트랙에서 제공하는 정상파일과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95.79% 이상의 탐지정확도를 도출하여 분석 성능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패킹된 파일의 특성에 맞는 feature vector와 탐지기법을 추가 적용하여 탐지 성능을 높이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