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of the gifted

검색결과 1,666건 처리시간 0.03초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 송수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87-108
    • /
    • 2000
  •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The factors are divided into the environmental ones and innate on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1)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whether the education period affects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what influences do the manner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make? (3) what influences do peer relationships make on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To analyze the innate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does the gender make a difference to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does the level of intelligence make a difference to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3) what influences does the locus of control mak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To solve these questions 120 gifted children were selected, who were taking a special education program at C Korea Academy of Gifted Education located at Yangjae-dong Seocho-gu. They were 1st to 3rd grades at elementary school. We used Har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Bruce R. Hare in 1985, the Index of Peer Relations developed by Hudson in 1986, and Nowicki & Strickland Locus of Control Scale developed by Nowicki and Strickland in 1973. At the other hand the nursing behaviors of 120 mothers of the gifted,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Sungyeon Park in 1989 with some modific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we adopted SPSS, a computer software, and calaulated the coefficient of internal appropriateness an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general aspects of the cases. We analys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by way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n for ex-post-facto appro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The duration of education peri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the longer the duration were, the higher self-esteem they possessed. (2)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s, active involve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n the contrary,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self-esteem. (3) An acceptable pe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2) Influences of individual innate characteristics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children: (1) The gender made no differ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2) The intelligenc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3) When the locus of control was external, the self-esteem of the gifted tended to be low.

  • PDF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및 교육 요구분석 (An Analysi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Demands on Education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 김명진;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43-25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demand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gifted educations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ubjects were 196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self-esteem, interests in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and demands regarding gifted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interests in science, particularly interests toward science, toward science learning, toward science related careers, in urban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rural areas. Whereas interests toward science activities and science anxiety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rural 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rban area. Furthermore, scientific attitud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urban area were higher than rural those in open-mindedness, critical-mindedness, voluntariness, creativity, whereas science gifted students in rural areas were higher than urban those in cooperation. Second, for the analysis on demands regarding class contents and methods, 'teaching content that challenges and exciting stimuli'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rural 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rban area. Third, for the analysis on demands regard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atisfaction with class materials provided by gifted classes' of gifted students in urban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rural area.

과학영재교육 관련 정보센터 구축에 대한 과학영재, 학부모, 전문가의 인식과 요구 (A Study on Gifted Students, Parents, and Experts' Perception and Needs of Information Center f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 김경대;이효녕;이순주;오희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34-4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의 참여 주체인 과학영재학생, 학부모, 전문가(교사)의 과학영재교육 정보센터 설치에 대한 관점 및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전국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과학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교사) 113명, 학부모 194명, 재학생 343명이 참여하였다. 대상별로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별로 선호하는 정보 및 방문하는 홈페이지가 다르게 나타났다. 과학영재교육 정보센터의 필요성을 묻는 문항에 대상에 따른 차이 없이 전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상에 따라 정보의 이용실태와 요구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정보센터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과학영재교육의 개선을 위해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행.재정 지원의 요구분석 (Needs Assessmen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of Gifted Education)

  • 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75-200
    • /
    • 2008
  • 영재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는 데는 영재교육 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행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교사들이 자신의 교사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236명) 및 2차 설문조사(123명)를 통해 영재교육 교사 행 재정 지원에 대한 의견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영재교육기관의 행 재정 지원,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그리고 영재교육교사 전문성 발휘를 위한 지원 체제에 대한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영재교육기관 행 재정 지원 개선안은 영재교육 전담교사 제도를 도입하고 일반학교 수업시수를 감소하는 방안, 도 지역 영재교육기관의 재정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 그리고 집단편성, 학생지도, 수업연계성의 행정지원의 체계성을 확립하는 방안이다.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의 개선안은, 학교장의 영재교육 인식제고를 위한 연수를 실시하는 방안, 학부모 교육을 통해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이다.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발휘를 위한 지원의 개선안은 영재교육 교사 연수를 지속적으로 확대 제공하는 방안, 우수교사 확보를 위해 영재교육 전담교사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 영재교육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 보급하고 지식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 영재교육 교사 특혜를 강화하는 방안이다.

과학영재교육에서 비유 만들기 활동의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 노태희;양찬호;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22-37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and the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ere also investigat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teach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analogy generation in cognitive, affective, and learning environmental aspects. Their perceptions on the usability of analogy gener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was also positive. They highly perceived on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ir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as comparatively low,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ceptions on the advantages of it, the usability, the practical methods to use, and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초중등 영재학급·교육원의 학생 생활지도 실태 및 과제 - 영재 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Problems and Conditions of Educational Guidance and Counselling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 이재분;이미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9-37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등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서 나타나는 일상생활 상의 문제들 중 교사들이 생활지도할 때 어렵다고 여기는 문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등 영재학급 및 교육청 영재교육원 담당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82%정도가 영재교육에서 생활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둘째, 학생들의 이기적 성향 등을 교사들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으며, 이는 영재아 생활지도에서 기본생활습관, 도덕성 등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부모들과의 상담에서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생생한 사례 중심의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은 생활지도를 도와 줄 수 있는 현실적 방법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 경험 있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멘토링 체계 혹은 상담협의체 구성, 사례중심의 영재 생활지도 및 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향후 영재아들을 우리 사회공동체에 기여하는 사회적 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윤리적 마인드를 갖춘' 영재를 키우는 한국형 영재교육 모델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이공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그릿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to Career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28-3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 강훈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789-80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 33명이 작성한 반성 일지를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 교사들의 반성 일지에는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100.0%)'와 '과학영재학생(90.9%)'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 교육과정(42.4%)' 측면에 대한 반성이 포함된 경우도 많은 편이었다. 그러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이 포함된 경우는 10% 미만이었다. 포함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48이었으며, 과학영재교육 경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한편, 전혀 통합이 없는 반성 일지는 18.2%, 2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66.7%, 3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24.2%, 4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6.1%였으며, 5가지 측면이 모두 통합된 경우는 없었다. 특히, '과학영재학생(81.8%)'이나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81.8%)' 측면과 다른 측면 간의 통합이 가장 많았으며, '과학영재 교육과정'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적지 않았다(30.3%). 그러나 '과학내용지식(6.1%)'이나 '과학영재교육 평가(0.0%)'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통합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12이었으며, 과학영재교육 경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영재교육진흥법에 대한 교육법적 쟁점 (Legal Issues i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 박창언;최호성;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1-240
    • /
    • 2009
  • 본 연구는 영재교육과 관련된 법체계의 구조와 교육법적으로 쟁점이 되는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영재교육과 관련된 법적 논의의 대상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의 법률상 위치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입법과정과 주요내용, 법제에 대한 공과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법 체계와 목적, 영재교육 대상자, 교육과정, 영재교육 교사에 대한 법 규정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에 대한 법 제정의 역사가 10년도 채 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법체계와 상위법의 근거 조항 및 목적 등의 미비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영재교육 대상자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법적 조치가 필요하고, 교육과정 역시 부분 수정이 필요하며, 국가나 지자체의 책무성이 보다 강화되어야 했다. 그리고 교원 자격은 보다 엄격하게 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향후 특정 주제별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영재교육 입법, 교육재판, 교육정책 등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괄적 수준에서 법의 기본 체제나 내용을 제시하였으므로 전체적인 법적 구조까지 검토하고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