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re Center's Teacher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re Center's Teachers on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이영석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eacher's variables that mad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i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this study, 212 inservice teachers in edu-care centers completed and analyzed.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ECCT)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Age, status in working place, years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statu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 PDF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교사 발달의 생존기에 대한 질적 연구 : 생태보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Qualitative Study on a Survival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in an Eco-Early Child Care Center)

  • 박선미;신세니;조희숙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1-55
    • /
    • 2009
  •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beginning teachers' first-year experience in an eco child educare center. Participants were 4 teachers at survival stages of teacher development; they had had the same preservice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er's field notes, and document collection. Five themes emerged as first year teachers' struggles and strategies for survival : (1) caring for children's daily lives vs. responsibility for formal education, (2) planned lessons vs. ease in teaching, (3) agreement or disagreement on philosophy of running the education program, (4) paradox of teacher empowerment, (5) overcoming struggle through voluntary peer supervi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eginning teacher' experiences at the survival stage varied by contextual and personal factors.

  • PDF

만 3세 유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ome Connec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f Parents of 3-year-olds)

  • 배진희;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3-113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home connection program for promoting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parents of 3-year-olds. Methods: We surveyed questionnaires for 36 parents and interviewed 3 parents of 3-year-old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wenty-one 3-year-old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Quantitative data from a checklist for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Qualitative data from self-evalu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terms of meaning. Results: Based on the home connection program, the session were provid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re center activities ${\rightarrow}$ home-linked activities ${\rightarrow}$ home+educare integrated activities] and in each session, the three-step course [sharing of thinking ${\rightarrow}$ gathering of thinking ${\rightarrow}$ broadening of thinking] was applied.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led to promoting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that reveal positive effects of our program.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o child care center)

  • 김현주;고경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23-23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를 재인식하고 앞으로 이와 관련한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영아(0~2세)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126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시기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결과 영아,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결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양적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유형과 역할 수행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Role Performance by Kindergarten Teacher)

  • 서정복;정영숙;장혜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95-604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teachers. Also, the relation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 role performance was examin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to 394 teachers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program by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vels of autonomous supervision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high in gener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age, scholastic ability, and the career. The accomplishment in the public kindergarte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private one. Moreover, the higher the teacher's age, career, and scholastic ability, the higher the accomplishment. Second, levels of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excellent, but the levels of role performance were higher in the public kindergarten than in the private one because the public teachers who did not transfer much had more chances of continuous education and higher responsibility. The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in the kindergarten in countries than in cities because there were more public kindergartens than private ones in countr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lower factors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Because the various type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can help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various type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which fi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teachers will be desirable.

  • PDF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고찰 (Consideration of Policy on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Staff for Improving Educare Quality)

  • 김의향;박진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45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육교직원 관련 정책 및 관련법에 대한 각종 자료와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철학적, 발달심리학적, 사회적 배경의 논리적, 합리적 근거에 의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기준, 보육관련 교과목영역 선정과 필수교과목 지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이수 교과목 영역 조정과 필수, 선택교과목 조정과 일부 교과목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보육 분야의 직무능력 수준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원장의 자격기준 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유보 격차 해소를 위해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통합형 영유아교사 양성체제가 필요하다.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수교육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및 전산 체계화가 필요하다. 보수교육 운영 주체의 다양화, 보수교육 내용의 정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보수교육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자발적 참여, 정부와 부모가 지원하는 보육교직원 전문성 계발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 김현정;황혜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97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