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Retaining Wall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1초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 (Reduction Effect on Surface Temperature of Reinforced Soil Wall with Vegetated Facing)

  • 정성규;이광우;조삼덕;김주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53-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식생 환경 적합성을 모니터링하고, 전면벽체 표면온도 측정을 통해 한여름철의 콘크리트 옹벽 전면벽체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포대를 삽입한 특수 블록 벽체를 시공하여 구절초, 맥문동을 포함한 20여 종의 종자 식재 후 2년간 식생 환경을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식생 옹벽을 건설하여 한여름철 식생 및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 표면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장기 식생이 가능한 블록 내에 식재된 대부분의 식물 생장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포대를 삽입한 블록 벽체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여름철의 식생 옹벽과 무식생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식생 옹벽에 비해 무식생 옹벽의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의 경우,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에 비해 표면온도 증가율이 작게 나타난 반면, 냉각율은 더 크게 나타나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은 식생을 통해 열섬효과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강토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보강재의 강성이 시공완료후 보강토 옹벽 구조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n the behavior of Stiffened Reinforcement withi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박병영;유충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토목섬유기술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 /
    • pp.1-11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a parametric study on the behavior of stiffened grid reinforced segmental wall resting on non-yielding foundation. The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step by step construction of the wall such as backfill, block reinforcement, block/backfill and soil/reinforcement interfaces were carefully modeled. The mechanical behavior of stiffened grid reinforced segmental walls was then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with emphasis on the effect of reinforcement stiffness on the behavior of the wall.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 that the horizontal wall displacement decrease; with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stiffness at a decreasing rate, and that the horizontal stress at the back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does not much vary with the reinforcement stiffnes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calculated maximum vertical stress at the base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agrees well with that based on the Meyerhof distribution and that the reinforcement and the connection force are considerably smaller than what might be expected based on the current design assumption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o current design approaches were discussed in detail.

  • PDF

Back-to-Back옹벽의 거동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Behavior of Back-to-Back Reinforced Earth Wall)

  • 유충식;김재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131-142
    • /
    • 2009
  • 보강토 옹벽은 콘트리트 옹벽에 비해 시공성, 경제성, 미관 등이 뛰어나 대체공법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많은 장점들로 인해 일반 옹벽의 대체공법으로서 그 적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도로 및 철도 분야에서 보강토옹벽 구조물이 좌우에 양립하는 형태, 즉 back-to-back(BTB) 형식의 보강토 옹벽이 도로 및 철도 노반을 지지하는 용도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분야에 적용되는 BTB 옹벽의 거동 메카니즘 고찰을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기하조건 및 보강재 길이로 보강된 BTB옹벽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폭에 따른 거동 메카니즘과 보강재 길이변화를 통해 옹벽 폭에 대한 최적보강재 길이를 검토하였다.

변위증분을 이용한 흙막이 벽의 역해석에 관한 연구 (Back Analysis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Increment of Sequential Displacement)

  • 장범수;이승훈;김종민;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7-1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계측변위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역해석시 예기치 못한 하중으로 인해 발생한 이상변위의 누적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계별 변위증분으로 목적함수를 구성하고, 목적함수를 최소화시키는 최적화기법으로 직접탐색법중 유용방향법에 의한 순차선형계획법을 도입하여 역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형토조실험을 실시하여 측정된 실제변위와 예측변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개발된 역해석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동하중에 의한 강성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Earth Pressure Acting on Rigid Retaining Wall due to the Dynamic Load)

  • 박종덕;전용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57-168
    • /
    • 2000
  • 토류구조물의 안정문제로는 장단기적으로 정적인 경우와 동적인 경우, 그리고 지반의 동적 거동특성, 흙의 강도저하 등을 미리 파악하여 기술적인 대처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모형 실험을 통하여 구조물의 배면에 토성이 다른 일반모래, 표준모래, 점성토를 뒷채움하여 다짐없이 강사만 하고, 룰러다짐, 진동다짐을 하여 토피의 수평 진동거리를 길게, 짧게 그리고 중간으로 하여 강성벽체에 작요?는 수평토압에 대한 정적, 동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모형 실험장치로는 실험대, 토조, 토압측정장치, 진동하중 발생장치, 진동측정장치, 강사기, 롤러 등을 설치하여 거리에 따른 병진운동으로 가속도와 수평토압, 수평토압계수, 전체토압, 토압의 작용점, 지진토압증분 증을 구하여, 실험결과와 기존 이론결과, 그리고 유한요소 해석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IPS 흙막이 가시설의 수평 변위 계측을 통한 선행하중 효과 수치해석적 분석 (An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loading Effect of IPS Retaining Wall through Earth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ing)

  • 이치호;이종휘;이창기;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5-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중 지반의 변위를 억제하고, 토공사 및 구조물 공사의 시공성을 크게 개선한 IPS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시공한 현장의 계측자료를 바탕으로, 탄소성보법 수치해석 프로그램(EXCAV/W)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선행하중을 가한 해석치가 평균 13.2% 감소하였으며, 또한 일반적인 해석치보다 현장 계측치는 평균 26.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PS 흙막이 가시설 공법은 기존 버팀보 공법에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IPS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이용한 선행하중 효과를 통해 수평변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팀굴착에서 인접 구조물의 영향평가 (Inflence of nearby structures in braced excavation)

  • 유일형;김형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9-148
    • /
    • 1994
  •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used by the high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requires optimization of land usage as well as the expansion of underground space.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large and deep basements is inevitable in built up areas where the braced excavation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s may create many problems such as settlement and damages of nearby buildings and underground utilities. In this work, some of major influential factors concerning the stability of braced excav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field observation results. The ground water table, applied strut forces, horezontal wall displacement, infilling materials in the rock joints were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stability of braced walls constructed in the layered ground. Magnituide and type of the wall deform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pattern of the surface settlement. The stability of braced walls are described in terms of strut forces.

  • PDF

앵커토류벽의 탄소성보 해석에 관한 연구 (Beam on Elasto-Plastic Foundation Modeling of Tieback Walls)

  • 김낙경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81-92
    • /
    • 1998
  • 앵커로 지지된 토류벽의 거동 해석기법에는 한계평형이론해석 (Limit Equilibrium Analysis),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그리고 탄소성보 해석법(Beam on Elasto-Plastic Foundation)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탄소성보 해석법은 토류벽체의 변위, 휨모멘트, 토압분포 등을 구할 수 있고 유한요소해석에 비해 입력자료가 간편한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Haliburton. 1968.; Pfister등.. 1982: Briaud와 김 낙경, 1998), 탄소성보 해석법은 토류벽체를 탄성보로 모델링하고 지반을 탄소성 토압-변위 곡선 (Elasto-Plastic p-y Curve)으로 표시되는 스프링으로 모델링 하여 지반-토류벽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기법이다. 그러므로 앵커토류벽의 탄소성보 해석법은 실제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토압-변위 곡선의 구성 여부에 따라 그 해석 결과가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립토질시험장(U.S. National Geotechnical experimentation Site)에서 시공된 앵커토류벽의 변위,휨모멘트 계측자료로부터 Cubic Spline 함수를 이용하여 시공단계별로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산정함으로서 토압-변위 곡선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토압-변위 곡선을 이용하여 탄소성 보해석을 실시하여 실측된 변위 및 휨모멘트와 비교함으로서 실험적인 토압-변위 곡선을 평가하고 시공단계를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탄소성보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선행하중 적용시 흙막이 벽체 및 주변지반의 거동에 관한 굴착모형실험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the Effects of Pre-loading on the Ground Movement in Sand)

  • 이봉열;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5-26
    • /
    • 2003
  • 도심지에서 깊은굴착 및 근접굴착과 관련하여 흙막이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주변지반 및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신뢰할 만한 예측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깊은 굴착 및 근접굴착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지지체에 대한 사전재하의 적용이 연구되었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음은 알려져 왔으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이해되거나 인정될 만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 벽체의 수평변위를 억제하여 지반침하를 감소시키는 사전재하 적용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사질토지반에서 굴착주변지반의 변위 및 구조물의 손상을 예측하는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는 사전재하하중 50%, 70%를 적용하였을 때, 20%의 벽체수평변위가 감소하였고, 지반침하 및 지중변위는 30%내지 40% 감소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굴착시 사전재하하중에 따른 심도별 지중침하율 및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제시하였다.

뒤채움재료로 단섬유혼합토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Earth Wall using Fiber-Mixed Soil Backfill)

  • 조삼덕;안태봉;오세용;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43-52
    • /
    • 2004
  • 단섬유를 혼합한 토사를 뒤채움재료로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재하하중 단계 및 보강재 포설단수 별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높이 $100cm{\times}$길이 $140cm{\times}$폭 100cm 인 모형토조를 사용하여 1m 높이의 모형 보강토옹벽을 축조하였다. 본 모형실험에서 보강재로는 최대인장강도 0.79t/m인 지오네트와 최대인장강도 2.26t/m인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였으며, 화강풍화토에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혼합한 토사를 뒤채움재로 사용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후 5단계의 등분포하중($0.5kg/cm^2$, $1.0kg/cm^2$, $1.5kg/cm^2$, $2.0kg/cm^2$, $2.5kg/cm^2$)을 재하하면서 보강재의 인장변형 보강토옹벽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하중재하시 모형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