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Retaining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on Oil-Contaminated Sand in Intertidal Zone

  • Oh, Young-Sook;Sim, Doo-Suep;Kim, S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37-443
    • /
    • 2003
  • Bio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microcosms, simulating an oil spill in a lower intertidal area. Three treatments (oil only, oil plus nutrients, and oil plus nutrients and microbial inocula) were applied, and each microcosm was repeatedly filled and eluted with seawater every 12 h to simulate tidal cycles. To minimize washing-out of the inoculum by the tidal cycles, microbial cells were primarily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before they were applied to the oiled sand. Oil degradation was monitored by gravimetric measurements, thin layer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TLC/FID)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and the loss of oil content was normalized to sand mass or nor-hopane. When the data were normalized to sand mass, no consiste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amended microcosms, although both differed from the oil-only microcosm in respect of oil removal rate by a factor of 4 to 14. However, the data relative to nor-hopane showed a significant treatment difference between the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treated microcosms, especially in the early phase of the treatment. The accelerating effect of inoculum treatment has hardly been reported in studies of oil bioremediation in the Tower intertidal area. The inoculum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seemed to be a very effective formulation for retaining microbial cells in association with the sand.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interpret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could be dependent on the selection of monitoring methods, and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in combination could be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il bioremediation monitoring.

앵커토류벽의 탄소성보 해석에 관한 연구 (Beam on Elasto-Plastic Foundation Modeling of Tieback Walls)

  • 김낙경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81-92
    • /
    • 1998
  • 앵커로 지지된 토류벽의 거동 해석기법에는 한계평형이론해석 (Limit Equilibrium Analysis),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그리고 탄소성보 해석법(Beam on Elasto-Plastic Foundation)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탄소성보 해석법은 토류벽체의 변위, 휨모멘트, 토압분포 등을 구할 수 있고 유한요소해석에 비해 입력자료가 간편한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Haliburton. 1968.; Pfister등.. 1982: Briaud와 김 낙경, 1998), 탄소성보 해석법은 토류벽체를 탄성보로 모델링하고 지반을 탄소성 토압-변위 곡선 (Elasto-Plastic p-y Curve)으로 표시되는 스프링으로 모델링 하여 지반-토류벽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기법이다. 그러므로 앵커토류벽의 탄소성보 해석법은 실제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토압-변위 곡선의 구성 여부에 따라 그 해석 결과가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립토질시험장(U.S. National Geotechnical experimentation Site)에서 시공된 앵커토류벽의 변위,휨모멘트 계측자료로부터 Cubic Spline 함수를 이용하여 시공단계별로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산정함으로서 토압-변위 곡선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토압-변위 곡선을 이용하여 탄소성 보해석을 실시하여 실측된 변위 및 휨모멘트와 비교함으로서 실험적인 토압-변위 곡선을 평가하고 시공단계를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탄소성보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responses to the passage of solar wind discontinuity on 24 November 2008

  • Kim, Khan-Hyuk;Park, Jong-Sun;Lee, Dong-Hun;Park, Young-Deuk;Angelopoulos, V.;Nishitani, N.;Hori, T.;Shiokawa, K.;Yumoto, K.;Baishev, D.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91-91
    • /
    • 2011
  • The passage of the interplanetary discontinuity (i.e., sudden increases in the solar wind speed, density, and IMF strength) was detected by ACE near GSE (x, y, z) ~ (222, -36, 3) Re upstream of Earth around 22:48 UT on November 24, 2008. About 55 min later, this solar wind discontinuity was observed by Geotail near GSE (x, y, z) ~ (23, 18, -7) Re in front of Earth's bow shock. From the propagation time of the solar wind discontinuity between ACE and Geotail,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ntinuity front is aligned with the Parker spiral and strikes the postnoon dayside magnetopause first.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measurements (THEMIS and GOES) at or in geosynchronous orbit, we observed a tailward propagating sudden impulse (SI), excited by the interplanetary discontinuity, around 23:50 UT with its front retaining alignment similar to that of solar wind discontinuity. The SI event appears a negative-then-positive variation in the H component at high latitude Chokurdakh (CHD: MLAT ~ 64.7 deg) in the prenoon sector, which is opposite sense of normal SI event. During the positive deflection at CHD, the SuperDARN Hokkaido radar detected the downward motion of the ionosphere, implying westward electric field enhancement, at subauroral latitudes near CHD meridian. In our study we will discuss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responses to the passage of the solar wind discontinuity using multi-point observations in space and on the ground.

  • PDF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거동특성 평가 (Behaviour of Geobag Well System Using Recycled Waste Concrete)

  • 김진만;이대영;주태성;이준근;백영식;한상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9-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거동특성 평가를 위해 대형 압축강도시험과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내용으로는 폐콘크리트 지오백의 강도, 횡방향 토압, 뒷채움재의 변형특성, 벽체의 수평변위 거동 평가 등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변형이 보강토 옹벽의 허용변형 이내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콘크리트 이용 지오백 옹벽은 재활용 순환골재 사용에 따른 경제성 및 조립시공에 따른 시공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 재하시 보강토 옹벽의 잔류변형 특성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cyclic Loading)

  • 유충식;김영훈;한대희;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21
    • /
    • 2007
  • 보강토 옹벽은 기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에 의한 잔류변형의 우려로 영구 구조물로서의 적극적인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강토 구조물의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 메카니즘의 규명과 아울러 잔류변형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보강토 옹벽에 발생할 수 있는 장기변형 특성 고찰에 주안점을 두고 지오그리드와 표준사로 뒤채움된 모형 보강토 옹벽에 대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이력에 대한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변형 특성 메카니즘을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보강토 옹벽의 시간의존적 변형은 작용하는 하중특성 뿐만 아니라 뒤채움흙 및 보강재의 역학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하중을 작용함으로써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연안 양식장 탐지 기법 분석 (Analysis of Offshore Aquaculture Detection Techniques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 황도현;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401-1411
    • /
    • 2023
  • 해양공간 이용 증가로 해양 공간을 활용하는 사람들간 갈등이 발생되며, 정부의 허가 및 규제로는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은 면허 제도로 운영되고 있는데, 지자체별로 관리하고 있어 정확한 실태 파악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에 위치한 양식 어장을 모니터링하고 관리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Sentinel-1A 영상이며 시계열로 구성된 SAR 영상을 중첩하였다. 중첩 자료를 활용하면 양식 어장과 같은 작은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살리면서 노이즈만 제거할 수 있다. VH 편광 자료를 활용할 경우 연안에 위치한 양식 어장을 약 88%의 전체 정확도로 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계절별로 변하는 양식 품목에 맞춰 양식 어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 공간 활용에 대한 관리 주기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The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Combined Sheet Pile in the Reclaimed Ground Mixed by Sandy Soil and Clayey Soil)

  • 김병일;김영선;한상재;박언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하는 해안 매립지반에서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설계법을 고찰하였고 지반 굴착시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형태(Built up, Interlocking, Welding) 및 해석방법(엄지말뚝법, 연속벽법)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예측 거동이 상이함을 탄소성 해석으로부터 확인하였다. Sheet Pile(측면말뚝) 부재력의 경우 연속벽체 해석법의 결과가 가장 보수적인 결과를 예측하였다. 조합형 Sheet Pile 공법의 최대 부재력을 토대로 각 부재별 응력비(발생/허용)를 분석하면 측면말뚝의 경우 휨, 버팀보의 경우 조합응력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측면말뚝의 부재력은 단기 유효응력 해석 조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버팀보의 압축력은 압밀 해석에서 크게 나타났다. 탄소성 해석과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하면, 측면말뚝의 전단력과 버팀보의 축력은 탄소성 해석에서 크게 평가되었고, 측면말뚝의 휨은 유한요소해석의 단기 유효응력 조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면말뚝의 변위는 탄소성 해석보다는 유한요소해석에서 더 크게 예측되었다.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factors influencing displacement of high-filled embankment slopes

  • Zhang, Guangcheng;Tan, Jiansong;Zhang, Lu;Xiang, Y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8권4호
    • /
    • pp.511-521
    • /
    • 2015
  • It is a common failure type that high-filled embankment slope sideslips. The deformation mechanism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ideslip of embankment slope is the key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this kind of engineering disaster. Taking Liujiawan high-filled embankment slope as an example, the deformation and failure characteristics of embankment slope and sheet-pile wall are studi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nstability are analyzed, then the correlation of deformation rate of the anti-slide plies and each factor is calculated with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1) The length of anchoring segment is not long enough, and displacement direction of embankment and retaining structure are perpendicular to the trend of the highway; (2)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segment is so large that the active earth pressures behind the piles are very large. Additionally, the surface drainage is not smooth, which leads to form a potential sliding zone between bottom of the backfill and the primary surface; (3) The thickness of the backfill and the length of the anti-slide pile cantilever segment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formation whereas the thickness of anti-slide pile through mudston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water is a little disadvantage on the embankment stability.

깊은굴착에 의한 지반변위의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Ground Displacement by Deep Excavation)

  • 안종필;박경호
    • 지질공학
    • /
    • 제12권1호
    • /
    • pp.1-21
    • /
    • 2002
  • 최근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시화와 바른 산업발달은 지하공간의 확장 뿐만 아니라 이용 및 최적화를 필요로 한다. 지하시설물이나 근접구조물의 피해 및 침하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흙막이구조물을 위한 버팀굴착의 지역에서 넓고 깊은 기초가 건설되고 있다. 본 연구는 5개의 굴착 공사현장으로부터 얻어진 측정결과에 근거한 침하량과 침하의 영향거리에 관하여 고 하였다. 굴착깊이를 이용한 최대지표침하량(0.28∼0.3)(%)H는 계측값 및 Clough방법에 의한 값과 유사성을 갖으며 Clough 방법에 의한 침하량 및 침하영향거리의 산정이 가장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지속하중하에서의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연구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 Loading using Reduced-Scale Model Test)

  • 유충식;김선빈;변요셉;김영훈;한대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7
    • /
    • 2006
  • 보강토 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영구구조물로서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장기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집된 보강토 옹벽의 장기변형 메카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실험결과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장기적으로 잔류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하중의 특성과 보강재 강성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