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Curriculum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3초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김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03-411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개정된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구성체계와 개정중점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2017년 개정 고시된 3기관(유치원, 보육소,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구성체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특성에 따라 보다 구체화하였으며, 공통적으로 개정중점을 같은 방향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교육·보육과정의 개정중점은 유아기까지 길러야 할 3가지 자질·능력을 정립, 10가지 유아상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과 길러야 할 자질·능력과 유아상을 실천하기 위하여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아상에 제시한 내용이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지와 교사의 자율권을 보장하지 못하면서 지나치게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지 않는지에 대한 교육·보육관계자들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장원주;이화도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217-242
    • /
    • 2018
  • 본 연구는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의 방향성 정립과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는 4가지 비교준거, 즉 유아교육목표, 유아교육과정 영역 및 일과운영, 교수 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남 북한 교육이념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영역에서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보였으며,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의 고유한 기능과 목적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이념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 영역 및 일과운영 비교에서 가장 차이를 보인 영역은 정치사상교육으로, 통일 후 정치사상교육을 통해 공고히 형성된 북한의 정치사상의식을 극복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일대비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해서는 유아교육과정에 명시된 유아교육관련 용어정리 및 표준화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통일대비 남 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에서 유사점을 보이는 영역부터 점진적인 통합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남 북한 간 상호교류를 통해 이질성 극복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5-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 도출 및 전문대학 직업교육에 적합한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평가 모형을 적용한 유아교육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핵심내용으로 학과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사행정적인 절차로서 PDCA의 절차를 활용하고, PDCA 평가(C) 단계에서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다수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 모형인 CIPP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역할 및 질 문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다양한 기관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유보통합 실행계획안에 따른 0~5세 영유아교육과정 운영 및 0~5세 영유아 교원 양성 타당성 (Feasibility of operating a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and training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egration implementation plan)

  • 박지희;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601-608
    • /
    • 2024
  • 유보통합이 진행중이다. 이에 따라, 0~5세 영유아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2024년 6월 유보통합 실행계획안이 발표되었다. 0~5세 영유아교육과정 운영이 제시되었다. 0~2세와 3~5세 교육과정이 내용에서 비슷하며 동일한 기준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합쳐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교육과정을 합칠 때 교육과정의 내용, 교원 자격, 재정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 0~5세 영유아교육과정이 개발됨에 따라 교원자격도 0~5세 영유아교사로 설정되어야 한다. 연구의 결론은, 먼저, 교육과정을 0~5세 영유아교육과정으로 일원화한다. 다음으로, 0~5세 영유아교육과정을 가르칠 교사들은 0~5세 영유아교사로 양성해야 한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

  • 이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97-60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which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n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2007(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t of balanced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classif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somewhat conflicting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perceive space and data analysi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indergarten teachers also suggested basic and restricted mathematics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problem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the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조유진;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06-813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디지털 역량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 박진희;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and The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verall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reflective thinking, and digital competences, including each of their respective sub-factors.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reflective thinking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digital compet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hen reflective thinking mediated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digital competences were further in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positive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of teachers but also reflective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digital competences.

유아구강보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 분석 및 개발 사례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oral health curriculum and developmental case)

  • 정영란;김영경;황윤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5-27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or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an attempt to develop a systematic early childhood oral health curriculum that would be the basis of the lifelong oral health of preschool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urrent kindergarten curriculum just stated that kindergarteners should keep their teeth clean, and no systematic guidelines on what to teach were included. That was hardly expected to provide efficient education on oral health promotion. 2. Preschoolers, teachers and parent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learner needs, and educational objects and what to teach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needs and Tyler's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3. Mos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but faced difficulties in conducting it due to heavy workload. Another reason seemed that they were empowered to provide that education at their option since that was not mandatory.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arly childhood segments and educational objects of college textbooks on oral health education, every textbook differed from one another. There was a necessity to set up standardized educational objects for early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5. Oral health specialists should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o ensure the selection of standardized educational objects and contents.

  • PDF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기록작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ocumentation Model for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 문서연;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11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ocumentation model that can support early chlildhood learning through play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o derive components for the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 model was gradually improved through the 3rd expert review,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13 components and developed a flexible, selective, repetitive, and cyclic documentation model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is embodied and presented as a model-detailed model-detailed content. The model is presented in detail in the study. Conclusion/Implications: The document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docu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practical direction of records for play support for teachers in the field.

일본의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 : 설비·운영 기준, 보육·교육내용 및 교사자격을 중심으로 (Problems and Tasks of Integrated Cente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Standards for Equipment and Managemen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Teacher Qualification)

  • 장경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91-412
    • /
    • 2014
  •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일체화 시설로서 2013년 현재 59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자 일본정부는 2012년에 인정어린이원법을 개정하고, 2014년 4월에는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운영의 기준 및 보육, 교육내용을 발표하였다.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및 운영의 기준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기준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유치원과 보육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보육, 교육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육의 준비단계로서의 교육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0-5세의 영유아가 하루생활의 대부분을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호적인 측면의 내용이 한층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