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ATION

검색결과 2,950건 처리시간 0.034초

사회복지시설 간호사의 역할기대, 역할수행,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Role Expectation, Role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among Nurs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정은수;한숙정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nurses regarding their role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luding role expectation, role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and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92 nurses working in 5 typ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role expectation ($4.44{\pm}0.41$) was significantly higher(t =17.50, p<.001) than that of role performance ($3.46{\pm}0.005$). The biggest mean difference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was found in "research activities" ($2.92{\pm}0.81$). The mean score of role conflict was $2.89{\pm}0.66$, with the highest mean score found in "conflict caused when one nurse takes up two or more roles" ($3.31{\pm}0.69$). The influencing factors on role conflict were the difference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beta}=.45$, p<.001), and facility size (${\beta}=-.37$, p<.001), which accounts for 51.5% incidence of role conflict controlling nurses' age, career, position, and working period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17.13, p<.001). Conclusion: The nurse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on their role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ir role expectation, this difference being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ir role conflict.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investigate interventions to minimize this effect.

  • PDF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육아예능 프로그램 시청과 결혼 기대감, 가족 가치관의 관계 연구 :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Parental Reality Show on Both Marriage Expectation and Family Value : Focusing on )

  • 양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30-139
    • /
    • 2018
  • 본 연구는 육아예능 프로그램시청이 시청자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이 결혼에 대한 기대감(로맨스 기대감, 배우자 기대감),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아버지 양육수행 유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며, 동일화갈망의 매개효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은 로맨스 기대감과 배우자 기대감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화갈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은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동일화갈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아버지양육수행 유능감에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주었다.

일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보건사업에 대한 기대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of primary school parents in a region)

  • 김현정;김숙;강혜영;박미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of primary school parents as an important variable for growth of school health program fore area locked primary school parents 631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June 20 and September 29,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Age rates of the subjects were 45.5% on 35~39 years old and 34.7% over 40 years old. Economic status were middle level 86%, participation rates of school health education for parent were 16.8%, recognition rates on significance of school health education were 89.9%. 2. Health knowledge of parents The mean score on health knowledge of the subjects was 6.8 from a total of 1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health knowledge among the 7school(F=3.46, p=.016). 3. Health behavior of parents The mean score on health behaviors of the subjects was 77.3 from a total of 100.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among the school. 4. The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of the parents The mean score on the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of the subjects was 51.1 from a total of 14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expe 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among the school(F=3.75, p=.010). 5. Health behaviors and the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from sociod emogr aphic Backgrounds of the Subjects. In the backgrounds of the subjects, the score on health behavior was higher the mothers(t=2.89,p=.004), the upper class(F=7.38, p=.000), the higher participation level of school health education of parent(F=7.38, p=.000) and the higher recognition level on significance of school health education of parent(F=9.94, p=.000). The score on the expectation about school health program was higher the lower recognition level on significance of school, health education of parent and on the expectation about health screening & preventive services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others.

양호교사(養護敎師) 업무(業務)에 대(對)한 인지(認知) 및 기대(期待)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at the Prim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Suwon)

  • 박영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0-115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school nurse's work by comparing with th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by the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school setting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the 441 students and 535 teachers in Suw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4th, Sept, to 29th, Sept.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AS/PC program for percentag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sis in recognition on school nurse's work.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school level, sex, age and career with school nurse(P>0.05). The studen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school level and sex(P>0.05). Also, in the areas of school nurse's work, school clinic management has the highest recognition and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the lowest recognition. 2. The result of analysis in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level: the order of expectation i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P<0.05). In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students' and teachers' expectation in the same school level,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lementary school(P<0.05).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sex, age, career with school nurse and students' sex(P>0.05). Also, in the areas of school nurse's work, school clinic management has the highest expectation and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the lowest expectation. Synthesizing the result of the study, we can have the conclusion like following. First, students' recognition on school nurse's work is lower than teachers' because most of school nurse's work is performed through their homeroom teachers or other teachers. That can be the limitation for students to recognize school nurse's work. So, there must be a chance of regular meeting between school nurse and students to perform school nurse's work effectively. For this. we must change our educational system and make school nurse charge regular lesson. Second, in each area of school nurse's work,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much lower score than the other areas. This indirectly shows the school nurse don't do the work of the area actively. So, school nurses must make an effort to do the work of the area actively. And we must enforce the education of this area in education for new school nurses or re-education for school nurses.

  • PDF

개인의 비례적 평등 수용수준이 계층상승기대감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dividual's Proportionate Equality Acceptance Level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the Upward Mobility Expectation)

  • 임병을;양동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3호
    • /
    • pp.129-150
    • /
    • 2019
  • 정부에서 창업을 적극 장려하고 지원하는 추세와 사회계층 및 부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 시점에서 평등에 대한 인식과 계층이동에 관한 심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례적 평등 수용수준이 계층상승기대감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과의 비례적 평등 수용수준은 창업의지와 계층상승기대감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회의 비례적 평등 수용수준은 창업의지와 계층상승기대감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층상승기대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회의 비례적 평등 수용수준과 결과의 비레적 평등 수용수준은 계층상승기대감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평등에 대한 인식수준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면서 계층상승기대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최근의 사회상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만족이 부양기대감 및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their participation in fitness on the expectation of support and family function)

  • 임신자;이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89-99
    • /
    • 2009
  •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고령화 현상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특히 전통사회의 노인 부양체제가 흔들리면서 노인 부양문제는 심각한 노인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노인 부양문제는 노인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가족의 역할이 더욱 커지면서 그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이 체육활동을 참여하면서 얻은 만족요인에 따라 가족기능과 부양 기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여, 보다 발전적인 정책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 복지시설 6곳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자와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설문조사원들이 노인 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이용, 일대일 면접법을 통하여 21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2.0 과 AMOS 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만족 중 전반적 만족, 프로그램 만족, 서비스만족이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만족이 부양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만족이 가족기능 및 부양기대감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체육활동 만족이 가족응집성에 .162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참여만족이 가족적응성에 .239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다. 끝으로 체육활동 참여만족이 부양기대감에 .032의 간접적인 효과를, .722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다.

사업체 급식서비스 품질의 업무형태별 만족요인 분석 1. 기대도, 인식도 및 품질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on Foodservice Quality for Employee Grouped by Working Types 1. Analysis of Expecta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 김신자;김명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37-444
    • /
    • 2000
  • 본 연구는 서울 경인지역 사업체 급식소 4개소을 대상으로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의 기대도와 인식도 등을 조사하여 만족도를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업무형태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에는 여자가 많았고, 20-40세가 89%로서 많고, 미혼이 많았다. 가족. 친지가 72.5%로 많았고, 고졸이상이 대부분이었다. 급식경험 2년이상이 80%로 거의 많았으며, 급식횟수는 1-2회가 95%로 대체적으로 많아서 1끼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사원이 86.5%로 분석되었다. 2.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이 모두 인식도보다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이 식당을 이용할 때 기대한 만큼 실제 느꼈던 항목에는 계절음식의 제공, 음식의 맛, 배식원의 청결, 식당의 청결, 식당의 조명 밝기이었고, 기대하지도 실제 느끼기도 않는 항목에는 메뉴가 품절되지 않음, 주반찬과 부반찬의 조화, 후식의 제공, 식사에 대한 불만의 신속한 처리이었다. 고객들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음식의 위생, 식기의 위생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음식 및 서비스의 만족도는 적당한 1인 분량, 식당의 조명 밝기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메뉴의 제공, 식사 불만의 신속처리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음식 및 서비스 품질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대도는 만족도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인식도는 만족도와 상대적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5. 요인별 서비스1요인(메뉴가 품절되지 않음)과 서비스2요인(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 배식원의 친절)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위생2요인(식기의 위생, 식당의 청결, 식기반납구의 청결, 배식원의 청결)에는 계속적으로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각 요인의 상관계수에는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높은 문항은 식기위생 (r = 0.422 )이었으며,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적은 문항은 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사업체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 품질관리 평가된 결과를 근거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음식과 서비스의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여 고객만족, 나아가 고객감동을 이끌어야 하고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퍼지 기대값에 대한 일치추정량 (Consistent Estimator for the Fuzzy Expectation)

  • 김윤경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39-43
    • /
    • 2000
  •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fuzzy sample mean is a strong consistent estimator for the expectation of a fuzzy random set taking values in the space F(R$\^$/p) of upper semicontinuous convex fuzzy subsets of R$\^$/p with compact sup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