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isfaction Factor Analysis on Foodservice Quality for Employee Grouped by Working Types 1. Analysis of Expecta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사업체 급식서비스 품질의 업무형태별 만족요인 분석 1. 기대도, 인식도 및 품질만족도 조사

  • 김신자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명애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ustomer expect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foodservice quality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foodservice quality and final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foodservice quality. Among expectation scores of food quality attributes, ‘hygiene of food(3.27)’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expectation score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hygiene of tableware(3.40)’was the most important. Satisfaction of ‘appropriate 1 portion size(-0.11)’was the highest scored, while‘dealing with complaints on meals(-0.70)’was the most dissatisfied one. Satisfac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providing preferred menu(r = -0.62)’of food quality expectation. It was highly correlated with‘dealing with complaints on meals(r = -0.61)’of service quality expectation. Expectation and perception of foodservice as 2.25 and 2.90 out of 5,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at foodservice needs to be improved. The attributes identified in Quadrant A, which was labelled‘focus here’and supposed to indicate the areas of high expectation but in low perception, was hygiene of carts holding used trays. The results of expectation and perception analysis indicated the areas that the attention of management should be given to improve quality of foodservice. The stepwiz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foodservice expectation and perception explaints around 56.7% of the variation i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서울 경인지역 사업체 급식소 4개소을 대상으로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의 기대도와 인식도 등을 조사하여 만족도를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업무형태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에는 여자가 많았고, 20-40세가 89%로서 많고, 미혼이 많았다. 가족. 친지가 72.5%로 많았고, 고졸이상이 대부분이었다. 급식경험 2년이상이 80%로 거의 많았으며, 급식횟수는 1-2회가 95%로 대체적으로 많아서 1끼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사원이 86.5%로 분석되었다. 2.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이 모두 인식도보다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이 식당을 이용할 때 기대한 만큼 실제 느꼈던 항목에는 계절음식의 제공, 음식의 맛, 배식원의 청결, 식당의 청결, 식당의 조명 밝기이었고, 기대하지도 실제 느끼기도 않는 항목에는 메뉴가 품절되지 않음, 주반찬과 부반찬의 조화, 후식의 제공, 식사에 대한 불만의 신속한 처리이었다. 고객들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음식의 위생, 식기의 위생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음식 및 서비스의 만족도는 적당한 1인 분량, 식당의 조명 밝기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메뉴의 제공, 식사 불만의 신속처리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음식 및 서비스 품질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대도는 만족도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인식도는 만족도와 상대적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5. 요인별 서비스1요인(메뉴가 품절되지 않음)과 서비스2요인(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 배식원의 친절)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위생2요인(식기의 위생, 식당의 청결, 식기반납구의 청결, 배식원의 청결)에는 계속적으로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각 요인의 상관계수에는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높은 문항은 식기위생 (r = 0.422 )이었으며,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적은 문항은 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사업체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 품질관리 평가된 결과를 근거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음식과 서비스의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여 고객만족, 나아가 고객감동을 이끌어야 하고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