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ug safety assessment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2초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Lead and Cadmium in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the Korean Market

  • Chang, Eun Jung;Park, Sung Hee;Lee, Kyung Jin;Choe, Jee su;Kim, Mee hy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0-2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9품목(n = 578)에 대한 납과 카드뮴 함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섭취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후 ICP-MS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의 납 평균 함량은 각각 보리 0.014 mg/kg, 완두콩 0.010 mg/kg, 강낭콩 0.008 mg/kg, 녹두 0.006 mg/kg, 파인애플 0.008 mg/kg, 살구 0.016 mg/kg, 매실 0.015 mg/kg, 자두 0.021 mg/kg, 대추 0.019 mg/kg이었고, 카드뮴 평균함량은 보리 0.017 mg/kg, 완두콩 0.004 mg/kg, 강낭콩 0.007 mg/kg, 녹두 0.005 mg/kg, 파인애플 0.001 mg/kg, 살구 0.002 mg/kg, 매실 0.002 mg/kg, 자두 0.002 mg/kg, 대추 0.003 mg/kg이었다. 모든 시료의 납, 카드뮴 함량은 EU, CODEX 및 국내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조사 대상 농산물에 대한 납, 카드뮴의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납은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mu}g/kg$ b.w./week)의 0.067%, 카드뮴은 월간잠정섭취허용량(PTMI, $25{\mu}g/kg$ b.w./month)의 0.28%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조사 대상 농산물의 납, 카드뮴 오염도와 이들의 섭취에 의한 위해성이 모두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기구·용기·포장 유래 산화방지제 분석 및 안전성평가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of Antioxidants Migra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 최희주;최재천;배인애;박세종;김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4-4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으로부터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0종의 산화방지제(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Cyanox 2246, 425 and 1790, Irgafos 168, 및 Irganox 1010, 1330, 3114 and 1076)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식품유사용매 중 물, 4% 초산, 50% 에탄올의 경우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카트리지로 고체상 추출(SPE, Solid Phase Extraction)을 하였고, n-헵탄의 경우 이소프로필알콜로 희석하여 HPLC-UVD (276 nm)로 산화방지제의 이행량을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으로 위생백, 지퍼백, 우유팩, 주스팩, 가공식품용 포장지, 밀폐용기, 일회용기 등 국내 유통 폴리에틸렌(78건) 및 폴리프로필렌(122건)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200건으로부터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0종의 산화방지제 이행량 조사 결과, 총 78건의 폴리에틸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중 5건에서 Irganox 1010이 ND~1.444 mg/L 검출되었고, 총 122건의 폴리프로필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중 41건에서 Irganox 1010이 ND~3.106 mg/L, 28건에서 Irganox 1076이 ND~4.752 mg/L, 34건에서 Irgafos 168이 ND~3.635 mg/L 검출되어 총 3종의 산화방지제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Irganox 1010, Irganox 1076, Irgafos 168에 대해 일일추정섭취량(EDI)을 계산하고 일일섭취한계량(TDI)과 비교하여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폴리에틸렌 재질 중 Irganox 1010은 TDI 대비 0.0067%,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Irganox 1010, Irganox 1076, Irgafos 168은 TDI 대비 0.0073%, 0.1800%, 0.0200%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중 산화방지제 분석법 및 안전성 평가 결과는 앞으로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잔류동물용의약품의 안전관리 (Management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Food)

  • 오재호;권찬혁;전종섭;최동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0-325
    • /
    • 2009
  • 동물용의약품은 가축의 질병예방 및 치료, 성장 촉진 등 생산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임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하게 과용 또는 남용되면 축 수산물에 잔류하게 되고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한 물질이다. 국내 동물용의약품의 관리는 국립수의과학 검역원에서 국내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의 허가를 담당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해당 동물용의약품의 잔류자료, 일일섭취허용량, 식품섭취량 및 국민평균체중 등을 이용하여 위해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알맞은 잔류허용기준을 고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은 116 개가 고시되어 있으며, 2009년 말까지 총 142종에 대하여 기준이 설정될 예정이다. 또한 2010년 1월 1일부터 축 수산물 (유, 알 포함) 및 벌꿀에서 기준 미설정 항생제 및 합성항균제가 검출될 경우 0.03 mg/kg의 일률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축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하게 된다. 현재 동물용의 약품의 기준관리는 이미 선진국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잔류분석법도 또한 국제적 수준에 맞게 개선할 예정이다.

Two-Week Repeated Dose Toxicity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in F344 Rats

  • Han, Hyoung-Yun;Yang, Young-Su;Kim, Soo Nam;Han, Su-Cheol;Lee, Jong-Hwa;Jeong, Ja Young;Roh, Hang-sik;Seok, Ji Hyeon;Lee, Joo Sang;Kim, Jeong-Ah;Min, Byung-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180-186
    • /
    • 2016
  •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toxicity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ARA) in F344 rats and to find a dose level for the 13 weeks toxicity study. A hot water extract of ARA (ARWE) was administered orally to F344 rats at dose levels of 0 (vehicle control), 500, 1000, 2000, 3500, and 5000 mg/kg/day for 2 weeks. Each group was composed to five male and five female F344 ra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ere no ARWE-related adverse changes in mortality,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 urinalysis, hematology, clinical chemistry, gross finding at necropsy, and organ weight examination. Salivation was observed in 3500 and 5000 mg/kg/day in male and female rats but it could not have found any relationship with ARWE administration. Based on our findings, ARWE may not cause toxicity in rats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refore, dose level of 5000 mg/kg/day as a highest treatment group in 13-week exposure study is recommended for further toxicity assessment.

약물군-약물군 조합으로 도출한 약력학적 기전의 추가 병용금기성분 (Pharmacodynamic Drug-Drug Interactions Considered to be Added in the List of Contraindications with Pharmacological Classification in Korea)

  • 제남경;김동숙;김주연;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0-129
    • /
    • 2015
  • Objectives: Drug utilization review program in Korea has provided 'drug combinations to avoid (DCA)' alerts to physicians and pharmacists to prevent potential adverse drug events or inappropriate drug use. Seven hundred and six DCA pairs have been announced officially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by March, 2015. Some DCA pairs could be grouped based on the drug interaction mechanism and its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rug-drug interaction (DDI) pairs, which may be potential DCAs, generated by the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method. Methods: Eleven additive/synergistic and one antagonistic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groups were identified. By combining drugs of two interacting drug class groups, numerous DDI pairs were made. The status and severity of DDI pairs were examined using Lexicomp and Micromedex. Also, the DCA listing rate was calculated. Results: Among 258 DDI pairs generated by the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method, only 142 pairs were identified as official DCA pairs by the MFDS. One hundred and four pair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DCA pairs to be listed. QT prolonging agents-QT prolonging agents, triptans-ergot alkaloids, tricyclic antidepressants-monoamine oxidase inhibitors, and dopamine agonists-dopamine antagonists were identified as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groups which have less than 50 % DCA listing rate. Conclusion: To improve the clinicians' adaptability to DCA alerts, the list of DCA pairs needs to be continuously updated.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rocessed meat product galbitang)

  • 손나리;김안나;최원석;윤상현;서수환;주인선;김순한;곽효선;조준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4-278
    • /
    • 2017
  • 본 연구는 축산물에 대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는 S. aureus에 대해 축산제품에 속하는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에 대해 식중독 예방과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Baranyi model을 이용하여 성장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DMF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 aureus의 유도기(LPD)와 최대성장률(${\mu}_{max}$, maximum specific growth rate)을 산출하였다. S. aureus의 성장곡선은 4, 10, 20, $37^{\circ}C$의 보관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Baranyi model의 LPD의 값은 4, 10, 20, $37^{\circ}C$의 저장 온도에서 각각 256.04, 152.60, 5.41, 3.78 h으로 온도에 반비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u}_{max}$의 값은 4, 10, 20, $37^{\circ}C$의 저장 온도에서 각각 0.003, 0.007, 0.258, $0.528logCFU/g{\cdot}h$으로 온도에 비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차식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R^2$ 값은 모두 0.9 이상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RMSE 값은 0.39로 비교적 0에 근접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으며 개발된 예측모델의 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할 경우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의 다양한 생산 환경과 온도에 따라 S. aureus의 성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갈비탕을 생산, 보관 및 판매하는 산업체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평가에서 또한 충분히 활용가능 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알로에 베라(Aloe vera) 겔 중 총 다당체 시험법 개선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Total Polysaccharides in Aloe vera Gel)

  • 이영주;김윤제;임동길;윤태형;신지은;윤창용;김정훈;박미선;강태석;정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76
    • /
    • 2012
  • 건강기능식품 중 알로에 베라 겔 제품의 기능성분(지표성분)은 총 다당체로 설정되어 있으며 식품공전 시험법은 페놀황산법에 의하여 총 다당체 함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황산 반응에 의한 총 다당체 분석의 분석편차 발생의 주요인으로 파악된 투석단계에 대하여 세부 분석조건(투석막의 너비, 투석외액의 부피와 교체시간, 투석 후 정용여부, 페놀황산 반응시간)에 대한 최적 조건을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시험법을 마련하여 실험자, 실험실의 주관적 설정에 의한 편차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표준화 된 시험법의 검증을 위해 알로에 베라 겔 원료성 분말 및 제품에 대하여 일내(2.56% 이하), 일간(4.85% 이하) 정밀성과 실험실간(5.50% 이하), 실험자간(6.64% 이하) 정밀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알로에 겔 유통제품에 대한 정밀성에서도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수준(7.08% 이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최적화한 표준 시험법에 따른 총 다당체 분석은 알로에 겔 제품 검사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 이진현;고유경;박기환;류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0-321
    • /
    • 2007
  • Effective and systematic sanitation management programs are necessary to prevent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ements to improve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school food service by evaluating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mplemented under HACCP-based programs. The surve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hygiene practices of school food service by using an inspection checklist of food hygiene and safety. Fifty-four 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considered as poor sanitation practice groups from two year inspections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05. Inspection checklists consisted of seven categories with 50 checkpoints;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personal hygiene, ingredient control, process control, environmental sanitation management, HACCP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Surveyed schools scored $68.0{\pm}12.42$ points out of 100 on average. The average score (% of compliance) of each field was 10.7/20 (53.3%)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7.4/11 (67.2%) for personal hygiene, 7.4/11 (74.1%) for ingredient control, 22.4/32 (69.8%) for process control, 8.9/12 (73.8%) for environmental sanitation management, 4.2/7 (59.7%) for HACCP systems management, and 7.2/8 (89.7%) for safety management, respectively. The field to be improved first was the sanitation control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he elements to improve this category were unprofessional consultation for kitchen layout, improper compartment of the kitchen area, lacks of pest control, inadequate water supply, poor ventilation system, and insufficient hand-washing facilities. To elevate the overall performance level of sanitation management, prerequisite programs prior to HACCP plan implementation should be stressed on the school officials, specifically principals, for the integration of the system.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유해중금속 분석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Medicines used for Food and Drug)

  • 조인순;김수진;박애숙;김진아;장정임;이성득;유인실;신용승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54-364
    • /
    • 2020
  • 서울약령시장과 서울경동시장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29품목 171건에 대하여 ICP-MS와 수은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검출 범위는 각각 ND-4.719 mg/kg, ND-1.019 mg/kg, 0.002-8.696 mg/kg, ND-0.058 mg/kg로 나타났다. 171건의 검체 중 Artemisiae Capillaris Herba(인진호) 1건과 Actinidiae Ramulus et Fulium et Fructus Vermicultus(목천료) 1건에서 각각 카드뮴과 비소 항목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모두 허용기준 이내였다. 위해도를 평가 했을 때 비발암위해도지수(HI)가 1을 초과한 품목은 없었고, 발암위해도가 납은 모든 품목에서 10-6 이하였으며 비소는 10-4-10-6 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PTWI는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모두 100이하로 나타났다. 유통중인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비발암위해도지수(HI), 발암위해도, %PTWI를 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Assessment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 (MQAT)

  • Gharibi, Vahid;Cousins, Rosanna;Mokarami, Hamidreza;Jahangiri, Mehdi;Keshavarz, Mohammad A.;Shirmohammadi-Bahadoran, Mohammad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364-371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masks can provide healthcare workers with protection from biological hazards when they have good performa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specifications of a mask and its efficacy;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ols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Methods: A mixed-methods design was used to develop a qualitative assessment tool for medical face masks (MFM) and particle filtering half masks (PFHM). The development of domains and items was undertaken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opinions of an expert panel, and a review of text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The second phase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ools. Finally, the validated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MQAT) were used to assess six samples from 10 brands of the two types of masks. Results: MQAT-MFM and MQAT-PHFM shared 42 items across seven domains: "cleanliness," "design,"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mask layers," "mask strap," "materials and construction," and "nose clip." MQAT-MFM included one additional item. MQAT-PHFM included another nine items associated with an eighth "Practical Performance" domain, and the valve version had another additional "Exhalation Valve" domain and six items. The evaluation indicated 80% compliance for MFM and 71% compliance for PFHM.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and "Lay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east compliance in both types of masks and should be checked carefully for defining mask quality. Conclusion: MQAT can be used for immediate screening and initial assessment of MFM and PHFM through appearance, simple tools, and visual insp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