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town Regener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GIS를 활용한 도심 공간기능분석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 김흥관;신용은;백태경;강기철;정희수;오주헌;여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86
    • /
    • 2007
  • 부산시의 도심(축)에 속하는 15개 동을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두 개 연도를 LQ지수와 군집분석을 통해 도심의 공간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0년도의 LQ지수를 분석한 결과 2차산업은 재래시장과 대규모 상권이 형성된 지역에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3차산업은 금융권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2005년도의 LQ지수는 2000년도의 LQ지수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차산업에 속하는 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구도심에서 급격히 쇠퇴하고 신도심으로 대변되는 서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특화되고 있었다. 이는 과거 구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신도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도심의 도심의 성격을 지닌 주요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LQ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군집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먼저 1군집은 도심 쇠퇴현상이 나타나는 구도심지역이고, 2군집은 주거기능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며, 3군집은 현재, 도심의 공간기능이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구도심의 쇠퇴를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심재생방안 수립과 신도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산업별 특화도에 따라서 도심 공간기능이 배치되므로 이에 지역에 적합한 산업의 도입과 함께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AHP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에 대한 정책적 대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Alternatives to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AHP Analysis)

  • 정삼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6_3호
    • /
    • pp.1303-1313
    • /
    • 2022
  • Modern cities need to revitalize the downtown area, which is declining due to population decline, economic reces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ally, socially, and physically by introducing and creating new functions. In addition, the hollowing out of the existing city center is getting wor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refore, the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s the core task of modern cities. This study analyzed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rough this, the problems of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 pla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analyzed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problems derived to present the policy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problems related to goal achievement, problems related to the business itself, and problems related to project results. It was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s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by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for the probl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AHP analysis results and experts' opinions, fiv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 후카야 시네마(深谷シネマ)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Community Cinema from Japan: Focused on Fukaya Cinema)

  • 박동호
    • 예술경영연구
    • /
    • 제49호
    • /
    • pp.149-176
    • /
    • 2019
  • 멀티플렉스의 보급이 대중들의 영화향유권 확장과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도시 담론적 측면에서 볼 때 신도심을 중심으로 들어선 멀티플렉스는 구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구도심 상권의 침체로 인해 지역민들의 '삶의 기억'이 저장된 상징적인 문화예술 공간인 지역극장마저 사라지고 있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찍이 일본에서는 창조적 도시재생의 주요 수단으로 영화·영상콘텐츠에 주목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커뮤니티 시네마(Community Cinema)'는 지역극장의 부활을 통해 지역사회의 영화상영 환경을 개선하고, 나아가 관련 문화와 산업을 창출하여 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민의 자생적인 NPO(Non-Profit Organization) 단체로 출발하여 지역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와의 협업 속에서 지역의 폐 산업시설을 마을 영화관으로 재활용한 '후카야 시네마(深谷シネマ)'에 주목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형태로 운영되는 후카야 시네마는 지역 커뮤니티의 문화예술 거점시설로서 영화·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준 매우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후카야 시네마의 구체적인 설립과정과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화·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휴공간 재생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의 실천적 연구 -제주시 원도심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Regenerate of Idle Space - Focused on the Idle Space in Old Downtown Jeju -)

  • 정은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3-10
    • /
    • 2021
  • Community-based design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existing design methods of the "conformity" method had the problem of exclud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refore, the "decision-making" method, in which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design themselves, is drawing attention. Development of specific methods is important for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The theory of "Design Games" has long been studied as a method of community-based design in many countries. The old downtown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increasing in number of buildings abandoned due to aging and declining. Abandoned buildings are causing many social problems. A decision-mak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Jeju for the regeneration design of abandoned buildings. This study conducted a design workshop involving residents on abandoned buildings in the old city center of Jeju City. The possibility and task of decision-making method were analyzed. As a result, participating reside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decision-making. It also helped residents understand and learn about the attractions of the neighborhood. Meanwhile,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among some participants. This is a structural problem with this method.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it is important for residents themselves to try to understand the neighborhood.

도시형 상가주택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구시 북성로 근대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 Focu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in Daegu Buksungro -)

  • 도현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5-42
    • /
    • 2015
  • This study is about Urban Commercial Housing among Modern Architectural assets in Buksungro (one of the 4 Roads of Rampart in Junggu, Daegu), the main stronghol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Commercial business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Urban Housing that is accelerat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ertainly caused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and in the downtown of Daegu, with the Urban Hanok and Commercial Hanok, Commercial Housing based on Machiya, Japan has appeared. The study about Commercial Hanok and Machiya, Japan already existed, but there were no Comparative Study about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remaining in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in Buksungro, Daegu, with the Japans' Commercial Housing.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29-142
    • /
    • 2019
  • 도심의 노후 쇠퇴한 산업지구는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새로운 산업의 유치와 도시환경개선 등의 도시재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국외 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의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첨단산업과 문화산업을 유치 도입함으로써 도시재생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 시애틀의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과 포틀랜드의 '펄 디스트릭트'를 사례로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용도는 업무 상업 주거의 복합용도로, 건축물 용도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위락시설 주거시설 등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보행 친화적 가로환경,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대중교통시설, 생활지원시설 등 이용자 중심의 기반시설이 확충되었다. 셋째, 기존 도시구조 및 조직 유지, 건축물 리노베이션, 산업유산의 보전 등을 통한 장소정체성 제고가 이루어졌다.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가치체계 관리 방안 (The Method of Value System Management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 강현구;유정호;김창덕;손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39-150
    • /
    • 2009
  •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은 재개발사업과 같은 물리적 개발 정비가 아닌 중심상업 업무기능을 포함한 행정 관리기능, 광역적인 문화 관광기능, 국제적 기능, 적정수준의 주거 기능이 균형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바뀌어 가고 있다. 도시재생 사업은 물리 환경, 생활 문화, 산업 경제적 재생을 통해 도시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도시재생사업에는 다수의 프로젝트들이 포함되어 있어 기존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사업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프로젝트들이 추구하는 가치 간의 관리를 통해 전체 사업을 관리해야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 내에 존재하는 여러 목적으로 인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치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치체계를 수립함으로써 사업간 목적의 충돌을 방지하고 변화에 유연한 목표 및 가치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각 가치간의 상관관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가치체계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 고가도로 하부 공간 재생디자인 연구 (Regeneration Design for the Under-space of Overpass in the City)

  • 남동현;윤지영
    • KIEAE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31-42
    • /
    • 2011
  •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cultural ways to develope the under-space of overpass in the downtown area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dead, unhealthy place. The study process consists of 4 methodological stages.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of under-space of overpass,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specific study on regional contex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space and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visitors. The final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are the natural rest settings including pocket parks with trees and fountain as well as cultural settings with small sized outdoor gallery and open performance stage which can be managed by the community memb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help the dead space in the center of the city regenerate the community in terms of physical,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Also, this study will show the importance and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dden potential space of the city.

제주시 원도심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총괄계획가 운영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sterplanner Operating Model for Residents' Participation Regeneration Project in Old Settlements of Downtown Jeju)

  • 양건;이상호;백승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7-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ortant factors for establishment of masterplanner operating model in residents' participation regeneration project suitable for small provincial city compared with Seoul city's which were already operated these day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Conditions required for masterplanners are professional, regionality, sustainability, balance, independence. 2) Regionality and professionality can be guaranteed by expert-recommendation and perform manual suitable for character of project and regional conditions. 3) Conditions required for masterplanners are applied flexibly depending on the size and duration of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