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도심 공간기능분석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 Kim, Heung-Kwa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Shin, Yong-Eu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Baek, Tae-Kyung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Kang, Gi-Cheol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Jeng, Hee-Su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Oh, Ju-Heon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 Yeo, Sung-Ju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김흥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신용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백태경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강기철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정희수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오주헌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여성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7.09.08
  • Accepted : 2007.12.07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subjects were fifteen dong at downtown of Busan. LQ index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research space functions of downtown in both years, that is to say, 2000 and 2005. At the analysis of LQ index in 2000, the secondary industries were specialized at traditional markets as well as large-scaled commercial districts, while the tertiary industries were done at financial business districts. LQ index in 2005 did not make change mostly comparing with the one in 2000: But, main businesses at downtown that belonged to the tertiary industries rapidly dwindled at old downtown to make appearance at Seomyeon of new downtown. Main businesses at old downtown in the past moved to new downtown to dwindle main functions at old downtown. The cluster analysis was done by using LQ index to classify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was old downtown that functions of downtown dwindle, and the second cluster was residence area, and the third cluster was the area where space function at downtown was very much active.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various kinds of urban regeneration plans should be made to control dwindling of old downtown and to establish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s on new downtown. Secondly, downtown space functions could be placed depending upon specialization of each industry so that industries being suitable to the area should be introduced to construct development base.

부산시의 도심(축)에 속하는 15개 동을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두 개 연도를 LQ지수와 군집분석을 통해 도심의 공간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0년도의 LQ지수를 분석한 결과 2차산업은 재래시장과 대규모 상권이 형성된 지역에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3차산업은 금융권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2005년도의 LQ지수는 2000년도의 LQ지수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차산업에 속하는 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구도심에서 급격히 쇠퇴하고 신도심으로 대변되는 서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특화되고 있었다. 이는 과거 구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신도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도심의 도심의 성격을 지닌 주요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LQ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군집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먼저 1군집은 도심 쇠퇴현상이 나타나는 구도심지역이고, 2군집은 주거기능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며, 3군집은 현재, 도심의 공간기능이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구도심의 쇠퇴를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심재생방안 수립과 신도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산업별 특화도에 따라서 도심 공간기능이 배치되므로 이에 지역에 적합한 산업의 도입과 함께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