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a newspaper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공영방송 사장의 해임 뉴스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연구 (A Study on the News Frames Represented in Dismissal Procedure of the Director General of the PSB)

  • 최선욱;유홍식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2권
    • /
    • pp.69-89
    • /
    • 2010
  • 이 연구는 프레임 연구시각을 적용해 공영방송 KBS 사장의 해임과정에 대한 국내 일간지의 뉴스보도를 분석하였다. 4개 일간지의 총 470개 기사를 대상으로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해임과정과 관련된 기사는 진보성향의 일간지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보수성향의 일간지는 정연주 사장에 대한 부정적 기사, 진보성향의 일간지에서는 긍정적 기사가 훨씬 많았다. 프레임 분석결과, 분석 대상 일간지들 모두에서 일화적 프레임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보수성향의 일간지에서는 해임의 원인.절차 프레임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보성향 일간지는 언론독립 프레임을 많이 사용하였다. 9개 세부적인 뉴스 프레임 중에서 보수성향의 언론은 해임원인 프레임에서 경영책임, 해임절차, 집단갈등을 강조한 반면 진보성향 언론의 경우, 언론독립과 해임절차 프레임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신문이 해임과 관련된 인용집단중에서 자사의 이념적 성향과 유사한 전문가.단체 등을 선택적으로 더 많이 인용하였다. 법원의 판결내용과 이를 보도한 뉴스보도를 비교한 결과, 법원의 판결내용과 해임의 실질적인 원인으로 보도되었던 내용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방사업 인지도 확산을 위한 정보전달 매체 선정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Media to Communicate Information for Raising Awareness of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 유윤진;조동길;윤호중;이창우;이지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
    • /
    • 2018
  •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mountain sediment disasters due to localized heavy rain and mountain development are occuring more frequently, thus, increasing social attention to and demand for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However, since 2011 Seoul Wumyeon Mountain landslide, the public is expressing increasing anxiety as well as negative perception regarding defective projec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promotional terms and information media related to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according to the consumer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of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consumers were divided into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conducted a survey related to promotional terms and media for communicating relevant information. In the result, the experts chose landslide prevention and recovery projects (41.8%) as an appropriate promotional term for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The general public, however, chose mountain sediment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32.5%) as the appropriate promotional term. However, the analysis show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 promotional term that can encompass the concept of 'disaster prevention' including forest and soil disaster as the word 'landslide' can suggest soil erosion control is limited to landslides only. In the survey regarding the media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according to the consumer type, the experts preferred radio and TV as media to communicate the relevant information, while,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youths preferred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22.22%) and adults radio and TV (34.07%), As for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the experts chose traditional promotinal media such as newspaper, radio, and TV (0.172) whereas the adults and youths preferred the internet and Facebook (0.089). It appears that using the preferred media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according to the consumer type will be effective way to promote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앵커 멘트의 선정성이 시청자에 미치는 영향: 앵커 매력성과 시청자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News Lasciviousness, News Anchor's Mention and Attractiveness on Viewers)

  • 박동민;윤성욱
    • 서비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59-76
    • /
    • 2020
  • 본 연구는 뉴스를 전달하는 데 있어 선정적인 앵커 멘트가 부정적 감정과 뉴스 신뢰도, 방송사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앵커 매력성과 시청자 성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뉴스 보도에서 앵커 멘트가 선정적일수록 시청자들의 부정적인 감정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 보도에서 앵커 멘트의 선정적인 표현이 강할수록 뉴스 신뢰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앵커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 집단의 경우 앵커 멘트가 선정적이든 아니든 부정적 감정과 뉴스 신뢰도, 방송사 태도에 대한 차이가 없었지만, 앵커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은 집단은 앵커가 선정적인 멘트를 사용하면 부정적 감정이 커지고 뉴스 신뢰도는 떨어지며 방송사 태도가 안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앵커 멘트가 선정적이지 않은 경우 여성과 남성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과 방송사 태도에 대한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앵커 멘트가 선정적인 경우 남성 시청자보다 여성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이 증가하고 방송사 태도가 안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앵커 멘트의 선정성과 앵커 매력성 등의 분야를 분석하면서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뉴스 보도와 앵커 등 언론 관련 분야와 매력성, 신뢰도 등 마케팅 분야의 연구를 접목해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언론과 마케팅 분야 모두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신문 빅데이터와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홈트레이닝 트렌드 분석 (Home training trend analysis using newspaper big data and keyword analysis)

  • 지동철;김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3-239
    • /
    • 2021
  • 최근 코로나19(COVID-19)라는 신종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은 외출을 자제하고 집안에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그로 인해 활동량이 급감하고 체중이 증가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홈트레이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홈트레이닝의 트렌드를 알아보기 위해 뉴스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BIG KINDS)에서 제공하는 뉴스를 활용하여 2019년 12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 가중도에 따른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고, 빅카인즈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홈트레이닝은 인공지능의 기술과 등장이 홈트레이닝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홈트레이닝은 이동통신사의 관련한 컨텐츠와 영상서비스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운동 종목으로는 필라테스의 선호도가 높고, 이와 관련된 운동용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표출원도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을 보완하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향후 시행될 여러 빅데이터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P2P 플랫폼에서의 대출자 신용분석 사례연구: 8퍼센트, 렌딧, 어니스트 펀드 (A Case Study on Credit Analysis System in P2P: 8Percent, Lendit, Honest Fund)

  • 최수만;전동화;오경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229-247
    • /
    • 2020
  • 지식경영 분야의 P2P금융 플랫폼의 성장속에서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을 보유한 회사만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P2P대출 플랫폼 업체들은 투자자와 대출을 신청하는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이며 투자와 관련된 위험은 모두 투자자에게 귀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상품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신문이나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한 P2P대출 플랫폼 업체의 평판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의 P2P대출 플랫폼 업체들이 대출자의 개별 신용분석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연체율 등의 시계열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시간적, 경제적 여건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몇몇 P2P대출 플랫폼 업체들이 업체별 대출자 신용분석에 대한 역량을 가장 중요한 영업자산으로 인식함으로써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새로운 신용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행에 들어가고 있음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용대출 시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활용으로 잘 알려진 상위 3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례분석 방식을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출자 신용분석 절차 및 사용하는 정보 데이터의 종류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현 상황에서 P2P 플랫폼 업체들의 인공지능을 통한 신용분석 기법을 이해하고 현 시점에서 국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용분석 방식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등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일부 농촌지역주민의 보건의식과 일차의료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Health and the Utilization of Primary Health Care in Rural Areas)

  • 위자형;곽정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0권1호
    • /
    • pp.51-60
    • /
    • 1995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health and the utilization of primary health care in rural area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ducted 450 parents of Mi Gum md Su D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Nam yang Ju city, Kyung Gi-Do, Korea, from December 15 to 20 in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causes of disease, 'insufficient health care' was the highest(39.1%), and 'bad environment'(28.9%), 'complexity of life style'(17.8%) in next order. 2) In the priority between 'daily farm work' and 'primary health care', only 45.6%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primary health care is more important than the daily farm work. The 29.8% of respondents answered 'daily farm work', and the 23.1% answered 'the equal of the both'. 3) The 63.6%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correctly, the meaning of primary health care. And the rate of information source in primary health care were 'TV and Radio'(42.2%), 'medical facilities'(23.3%), and 'newspaper and magazine'(11.3%) in order. 4) In the choice rate of medical facilities for primary health care, 'drug store' was the highest(34.9%), and 'local private clinic'(34.7%), 'health (sub)center'(15.8%), 'hospital'(10.2%) in next order. 5) The 53.5%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to visit the health (sub)center more than once. And the disfavorite reasons of health (sub)center were 'insufficient equipment'(36.7%), 'inavailable time to visit'(26.9%), and 'poor treatment'(9.1%). 6) Among the preference of the physicians for primary health care, 'specialist' was the highest rate of the respondents(54.2%), and 'general practitioner'(32.4%), and 'family doctor'(9.8%) in next order. The major obstacles in utilizing the medical facilities for primary health care were 'daily farm work'(41.6%), 'distance'(21.1%) and 'medical cost'(10.4%) in order. 7) The weakened reasons in health (sub)center function were 'insufficient medical equipment'(44.4%), 'the lack of resident's understanding for health (sub)center'(21.8%), and 'short thought of duty in health (sub)center personnel'(16.9%) in order.

  • PDF

주부들의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및 정보요구도 조사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 김규동;이정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2-398
    • /
    • 2010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9일부터 4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에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응답이 4.59로 가장 높았고, '국내산 구입'(4.08), '가격보다 안전을 고려'(3.66)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안전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8.5%에 그쳤는데,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관한 항목별 지식수준에 있어 '환경호르몬' 항목은 정답률이 89.1%로 가장 높았고 '광우병' 항목은 25.8%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지식수준은 총 13점 만점에 평균 8.56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탐색도는 2.61로 낮게 나타났는데,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원천으로는 TV/라디오가 4.04로 가장 높았고 신문/잡지(3.80), 인터넷(3.44), 가족/친지/친구(3.39)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요구도는 3.82로 높게 나타나 평소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제조업자, 가공 및 유통업자 등은 식품안전 및 식품위해요소들에 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또한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유도하고 식품안전관련 지식수준을 향상시켜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안전을 고려한 올바른 식품구매행동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1980년대 민중미술론의 기원과 형성 (The Origin and Formation of Korean Public Art Theories in the 1980s)

  • 최열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7호
    • /
    • pp.37-64
    • /
    • 2009
  • The theories of Korean Public Art originated by the artists who were against dictatorship and they associated with democratic politicians. They criticized the Fine art that were supported by the dictatorship and gave their efforts for restoration of 'resistance paintings(against dictatorship)', 'proletarian painting', 'realism painting'. In addition, they participated new social ideology(democracy) movement and demonstrated for their rights in arts. These became the main kernel the public art theory was initiated. The public artists splitted into several different parts and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social movement as well as the art movement for freedom. They opened various art exhibitions within different genre, diverse space for various art section such as an exhibition hall, a factories, a university, or a congregation square. Furthermore, the public art theorists published their divergent views through newspaper/broadcasting or unauthorized printed materials. Most of the public artist and the theorists kept their relationship strongly until 1985, the time when 'National Arts Association' started. In 1983 and 1984, they were clearly separated into two parts; artists(move only in art museums) and activists(move in public spaces like school, convention square etc). Their ideological separation also took out national problems. The division; professional artists and armatures, became the social issue as a social stratification matter. And in creating method, there are also other conflicts; critical realism, and public realism as well as western painting and traditional one. These kinds of separation and conflicts made different Public artists associations, under divergent names; 'Reality and Speak'(R&S), 'KwangJu Art Association', 'Durung', 'Dang(Land)', and 'Local Youth Students Association'. In addition, their ideology and pursuit toward art movements were very difference. However, the differences and conflicts weakened When the oppression of democratic education from new dictatorship(Pres. Jun, Doo Hwan) came out. In August. 1985 the government opened to the public so called, 'The draft of School stabilization law'(Hankwon Anjung Bup) to control the teachers' rights and that initiated bigger street demonstration and conflicts between police and educators. In November.1985, assembly meeting of National Arts Association in democracy opened as 'ONE' combined organization. In this presentation, I'd like to summarize the stream of art movement until 1984, and clarify the main art theories that lead the Public Art Movements in 1980s. The main theories in 1980s are crucial because they become the origin of public art theories. This presentation started with O,youn's "Hyunsil Dong In the first declaration" and explained the absent of practice in 1970s. In addition, Won, Dong Suk 's theory was mentioned as all over struggles in theories before 1980s. GA and R&S 's founding declarations in 1970s were the start of public art theorists' activities and this article reported the activities after the declarations. First, realism base on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Second, practice art democratization based on the ideology. Third, the subject of public art movement based on understanding people's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Fourth, the matters of national forms and creative ways in arts based on showing reality. Fifth, the strong points in arts that the practitioners accepted. About the public art theories around 1984, I discussed the dividing point of public art theories that were shown in 'generation theory', 'organization theory', and 'popularization theory' by the practitioners. The public realism theory that subjects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and point out the limits of critical realism not only showing the new creative ways but also giv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to the public art activist groups. After that, public art movements expressed 'Dismentlement of Capitalism' and 'Public revolu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ublic art movements were established strongly. There were various opinions and views during the start and formation of the public art theories. The foundation of theorists activities derived from the practitioners who had the concept based on stratification and nationalism. The strong trend of group division spreaded out by practitioners who opened art work together in factories, universities, squares and rural areas. Now many lively active practitioners are gone to the other field not related with arts, and others join into professional art field not public art one with unknown reason. The theorists have the same situation with the practitioners. It means to me that theory always have to be based on the practice.

  • PDF

1910년대 만화의 전개와 내용적 특질: 『매일신보』 게재 만화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Cartoons in the 1910s: focusing on cartoons published in Maeilsinbo)

  • 서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0호
    • /
    • pp.139-168
    • /
    • 2013
  • 본고는 1910년대 "매일신보"에 게재되었던 만화를 수집 발굴하여, 기존 만화사에서 간과되었던 이 시기 만화의 의미와 가치를 해명하고자 했다. "매일신보"에 실렸다는 이유로 외면했던 기존 연구사에 문제를 제기하고, 다소 유연한 태도로 접근하여 1910년대 만화의 다양한 층위를 보여주고자 했다. 1910년대 전체적으로는 신문관 간행 잡지에 게재된 '다음엇지'와 "매일신보"가 모두 아우러져서 서술되어야 하겠지만, 본고에서는 "1910년대 만화사 재고"라는 목표로 "매일신보"만을 우선 대상으로 삼았다. 1910년대는 한국 만화의 시초라 일컬어지는 1909년의 "대한민보"'삽화'의 등장과, 신문 만평이 본격화되고 최초로 코믹스가 실렸던 1920년대를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총독부 기관지라는 "매일신보"의 특수성과 대중문화의 주체가 태동한다는 시기적 특수성이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강점 직후의 특수성 안에서 만화가 "매일신보"지면에 배치되게 된 배경과 전개 상황을 서술했다. 초기에는 근대적 만화양식이 모호한 상태였지만 후기로 갈수록 양식상의 정립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만화는 하나의 란(欄)으로 고착되어 지속되지는 않았지만, 기사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재현해 가장 극적인 부분을 만화로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등 다양한 만화가 시도되었다. 본고에서는 게재된 만화 가운데 대표성을 띠는 것을 분류하여 "매일신보"만화의 성격을 대략 세 가지로 구분했다. 조선의 일상 풍경과 풍속을 통해 '가장 조선적인 것'을 재현하는 동시에 반문명의 조선의 모습을 배치하는 제국의 이중적 시선을 담지한 것, 조선인의 부의 축적을 공익의 관점에서만 타당한 것으로 재현한 것, "경성"이라는 공간에서도 생활고를 겪는 조선인과 호화로운 연말을 보내는 진고개의 일본인을 대별함으로써 공간을 차별적으로 구분하는 시선을 담지한 것으로 분류했다. 이처럼 "매일신보"는 만화를 통해 피식민지인을 규율하고 식민지 권력의 담론을 자연스럽게 노출하기도 했다.

서울지역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 (Purchase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Housewives in Seoul Area)

  • 김규동;이정윤;남궁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67-1673
    • /
    • 2008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또한 그들의 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친환경농산물 수요확산을 위한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입안과 생산자 및 유통업자의 효율적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거주 20세 이상 주부 30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친환경농산물 이용실태, 정보원천, 평가기준, 그리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만족도 등이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친환경농산물 이용실태에 있어 월 1회 정도 구매한다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고, 채소류의 구매비율이 83.3%로 월등히 높았다(과실류(49.0%), 두류(43.1%), 곡류(27.8%) 등의 순). 친환경농산물은 주로 할인점(45.8%)에서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민으로부터 직접 구입한다는 응답은 3.6%에 그쳤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구매금액은 $2{\sim}5$만원 미만이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sim}10$만원 미만(31.7%), $10{\sim}20$만원 미만(13.1%) 등의 순을 보였다. 둘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정보원천은 TV/라디오가 3.42로 가장 높았고(가족/친지/친구(3.33), 신문/잡지(3.31) 등이 순), 반면에 세미나(2.43)의 정보원천으로서의 역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부들은 친환경농산물 선택 시, 특히 위생상태 및 신선도(4.43), 안전성(4.20), 영양가(4.05), 그리고 맛(3.99) 등을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농산물 사용 후 만족도는 영양가가 3.75로 가장 높았고 안전성(3.71), 신선도(3.70), 맛(3.68) 등이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가격수준(2.36)에 대해서는 가장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 이용비율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과 가격적 부담 등이 수요확산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철저한 인증제도 관리, 이력추적시스템의 확대 시행, 그리고 정확하고 충분한 관련 정보의 제공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생산 및 유통 합리화를 통한 비용절감으로 소비자들의 가격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친환경농산물의 수요확대를 위 한 다양한 판로확보 및 촉진활동이 요구되며 소비자욕구를 반영한 마케팅전략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유통 및 판매의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 관리방안 제시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