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University Studen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장애인치과학 수업 전후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STUDENT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 이효주;방재범;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14
  • Patients with disabilities are a significant segment of Korea population. However, they encounter more challenges when seeking dental care. So, dentists and students who are future dental providers should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oral care services for them. In this study, we hypothesize that the education of special care dentistry may influence positive attitudes of the disabled. The attitudes are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religion,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72 students enrolled at the Kyung Hee University were surveyed. All participants attended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n the third grade.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just before class and after class. The attitudes of students were assessed using the well-documented ATDP (Attitude Toward Disabled Person)-O(Original) scale and MAS (Multidimensional Attitudes Scal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scale through the methodology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ir ATDP and MAS score. In religious affiliation, on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attitud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t means that habitual religious activity may offer stronger effects on student's attitude than short-term education. Therefore, long-term and specific educational experiences are needed to promote positive attitud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화상과 이러닝 시스템의 융합 개발 (Convergence Development of Video and E-learning System for Education Disabled Students)

  • 손엽명;정병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13-119
    • /
    • 2015
  • 현재 정상적인 학생의 교육 규칙으로만 되어있는 학교체제에 대한 장애 학생에 대한 교육적인 환경의 대안을 제시한다. 신체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연구로, 특히 손사용이 어려운 신체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장애자학습 화상 e-러닝 시스템의 개발 목적은 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닝 시스템의 구성은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화상회의시스템과 음성을 글자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을 이용해 청각장애 학생이 채팅 시스템을 통해서 1:1통신함으로써 교사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장애자학습 이러닝 시스템은 교사와 장애학생 사이의 1:1양방향 통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육이 진행된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전미영;이한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3
    • /
    • 2017
  •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선천적 장애보다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지속되어 후천적 장애로 인한 발생률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특히, 대학생은 생애주기별 발달에 따라 성인기 초기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대인관계와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대학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과 이념을 정립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입하기 바로 전 시기인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정적인 편견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긍정적인 태도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지역 13곳의 대학교를 방문하여 무작위로 설문을 조사하여 총 250명의 설문 중 235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시적이고 이벤트적인 교육이 아닌 올바른 정보 및 지식, 인권, 장애, 다양성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서울.경기 소재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A Study on Supportive State for Disabled Studen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 박현영;남태우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83-10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사립대학들 중에서 2008년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시행한 30개 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대학의 장애학생들은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 자료, 그리고 전담 직원이 현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도서관에 장애 학생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수준은 "보통" 이하(평균2.38)로 조사되었으며, 이용률은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60.0%)로 응답한 대학이 가장 많았다. 대학도서관의 시설 및 서비스 등의 응답률에서는 "매우 미흡"을 응답한 대학이 99건(32.27%)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우수"를 응답한 대학이 28건(7.0%)으로 가장 적은 응답수를 나타냈다. 한편, 부문별로 분석했을 때, 건물의 시설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평균3.26)의 수준을 갖추고 있으나, 자료구비수준(평균1.8점)과 장애 학생에 대한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직원교육과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평균1.87)은 "미흡" 이하의 수준이었다. 특히, 서비스 부문은 "미흡"(평균2.48)의 수준으로, 표준편차는 1.4이상으로 인력배치와 자료배달 서비스는 대학 간의 편차가 가장 큰 부문이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시설 등의 접근성은 상당 수준 개선되었으나, 자료, 인력 및 이용교육과 같은 도서관 고유의 정책은 일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장애인의 치료만족도에 따른 지역사회중심재활에 관한 연구 (The status of care satisfactions of the disabled persons with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lan)

  • 이인학;박래준;김미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13-32
    • /
    • 1998
  • A questionaire was conducted to obtain ran satisfactions in information of the 325 disabled persons among the total 9,314 handicapped people in Taejon area, and was surveyed during the period of June 1 to August 31, 199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studied disabled persons, $54.5\%$ of male, and $45.5\%$ of female. 2. Before disabled in occupation, $32.0\%$ of out of work group were high, $6.5\%$ of farm, student group were low. Before disabled in occupation by gender, male group is $29.9\%$ of out of work group were high, $0.6\%$ of housework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34.5\%$ of out of work group were high, $4.7\%$ of student group were low(P<0.001). 3. After disabled in occupation, $75.1\%$ of out of work group wert high, $10.8\%$ of in working group were low. After disabled in occupation by gender, male group is $87.6\%$ of out of work group were high, $1.7\%$ of housework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60.1\%$ of out of work group were hgh, $10.8\%$ of in working group were low(P<0.001). 4. Medical security status, $64.9\%$ of medical aid group wore high, $35.1\%$ of medical insurance group were low. Medical security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71.2\%$ of medical aid group were high, $28.8\%$ of medical insurance group were Iew. female group is $57.4\%$ of medical aid group wan high, $42.6\%$ of medical insurance were low(P<0.01). 5. Disabled record status, $68.6\%$ of record group were high, $31.4\%$ of non group were low. Disabled record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78.5\%$ of record group were high, $21.5\%$ of non record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56.6\%$ of record group were high, $43.4%$ of non record group were low(P<0.001). 6. Disabled duration status, $42.2\%$ of loss than 9 year group were high, $10.2\%\;of\;20-29,\;30-39$ year group were low. Disabled duration status by gender,'male group is $44.6\%$ of less than 9 year group were high, $6.2\%$ of 20-29 year group wert low. female group is $39.2\%$ of less than 9 year were high, $39.2\%$ of 30-39 year group were low (P<0.05). 7. Cause of disabled status, $26.5\%$ of other group, $23.7\%$ of congenital group were high. $9.2\%$ of unknown group, $6.8\%$ of industry accident, $2.5\%$ of drug poisoning group were low. Cause of disabled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27.7\%$ of other group, $23.7\%$ of congenital group were high, $2.3\%$ drug poisoning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25.0\%$ of other group, $20.9\%$ of congenital group were high, $2.5\%$ of drug poisoning group were low (P<0.001). 8. Disabled type status, $19.4\%$ of double disabled group were high, $2.2\%$ of muscle paralysis group were low. Disabled type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22.0\%$ of double disabled group were high, $2.3\%$ of muscle paralysis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23.3\%$ of rheumatism group were high, $0.7\%$ of amputation group were low(P<0.001). 9. Smoking status, $73.2\%$ of non smoking group were high, $26.8\%$ of smoking group were low. Smoking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59.9\%$ of double non smoking group were high, $40.1\%$ of Smoking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89.2\%$ of non smoking group were high, $10.8\%$ of smoking group were low(P<0.001). 10. Drinking status, $80.0\%$ of non drinking group were high, $20.0\%$ of drinking group were low. Drinking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72.3\%$ of non drinking group were high, $27.7\%$ of drinking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89.2\%$ of non drinking group were high, $10.8\%$ of drinking group were low(P<0.001). 11. Stress level status, $52.9\%$ of high stress group were high, $1.8\%$ of very severe stress group were low. Stress level status by gender, male group is $50.8\%$ of high stress group were high, $2.3\%$ of very severe stress 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 $55.4\%$of high stress group were high, $1.4\%$ of very severe stress group were low. 12. Heed status, $28.0\%$ of economic support were high, $4.6\%$ of speech therapy, brace group were low. Need status by Sender, male group is $2i2\%$ of economic support group were high, $4.5\%$ of bracegroup were low. female group is$27.7\%$ of economic support group were high, $3.4\%$ of speech therapy group were low. 13. Care satisfaction comparision, 3.09, 0.55 point of IBR, 4.01, 0.45 point of CHR(P<0.001). 14. The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IBR were gender(r=0.1406, P<0.01), age(r=0.1872, p<0.001), economic level(r=0.1246, P<0.05), disabled record(r=0.1137, P<0.05), education level(r=-0.1122. p<0.05). 15. The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 correlation with CBR were gender(r=0.1613, P<0.01), age(r=0.2255, P<0.001). list of family(r=0.12i3, P<0.01), disabled record(r=0.1273, P<0.05). education level(r=-0.1294, P<0.01).

  • PDF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고혈압 환자 대상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hypertension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박혜정;장인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9-67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 중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복지관 간호사와 간호학생 자원봉사자를 통해 제공된 8주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 연구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사전, 사후 조사를 완료한 대조군 28명, 실험군 29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관련 지식, 건강신념 중 심각성과 민감성, 삶의 질 EQ-VA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수적인 장애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관련 지식, 건강신념 및 삶의 질 등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다중체험형 AR 보드게임 'ZOOCUS' 개발 (Development of Multi-Experience AR Board Game 'ZOOCUS' For Intellectual Disabled Students)

  • 정효원;박민지;최명선;권호종;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21-132
    • /
    • 2020
  • 본 논문은 지적장애학생들의 사회성, 집중력, 그리고 작업기억력 향상을 위해 보드게임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결합한 다중체험형 AR 보드게임 "ZOOCUS"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2019년도 넷마블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 게임은 보드게임의 여러 특성에 의해 지적장애학생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하는 능력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게임을 디자인하고 AR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드게임을 진행함으로써 개인의 지적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선택하여 게임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경험 공유가 가능하며 플레이 데이터를 축적해 지적장애학생들의 개선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장애인 유사 프로그램 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Experience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김인경;왕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97-404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 유사 프로그램체험이 간호대학생의 환자에 대한 관심도, 태도, 일상생활 만족도, 공감, 간호의 의미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직전 학기까지 임상 실습 경험을 가지고 있는 간호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개 대학교 4년제 간호대학생을 편의추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7일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지체부자유 장애인 체험과 시각장애 체험이었다. 자료 수집은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첫날 오리엔테이션을 주고 2명의 연구보조원이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관심도, 태도, 일상생활 만족도, 공감, 간호의 의미를 측정하였다. 실험 프로그램 참여 후 참가자들에게 같은 설문지로 프로그램 직후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장애인에 대한 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t=-6.191, p<.001)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변화의 7가지 항목도 모두 유의하였다(p<.001). 프로그램 후 일상생활 만족도도 유의하게 높아졌으며(t=-5.465, p<.001) 장애인에 대한 공감의 변화도 유의하게 높아졌다(t=-6.125, p<.001). 프로그램 후 장애인에 대한 간호의 의미도 유의하게 높아졌다(t=-6.125, p<.001). 본 연구로 장애인 유사체험의 교육효과를 보았다.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치아우식증과 식생활실천지침 이행정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performance of the dietary action guides among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of disability)

  • 문희정;김설악;박희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93-1202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such as dental caries and the performance of dietary action guides with six items. Methods : Oral examinatio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on 87 disabled students, aged 6-19 who were attending special school in the area of the metropolitan Seoul.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the performance of dietary action guides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 The proportion of study subjects with caries were 37.9%, 26.9%(male) and 54.3%(female), respectively(p<0.05).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subjects with caries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1). Among the dietary action guides items, skipping breakfast and not avoiding waste fo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oportion of subjects' caries(p<0.05, p<0.01, respectively). The avoiding waste food groups had more possibility of having caries significantly(p<0.05), even after controlling gender,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ral health promotion policy with dietary action guid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support of disabled student's dental health.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xperiences of Using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by the Deaf College Students)

  • 김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73-282
    • /
    • 2018
  •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으로 핵심사례(key case) 2사례와 특이사례(outliner) 1사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한 후 사례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교수학습영역(4개 주제), 시설 설비영역(3개 주제), 대학생활영역(4개 주제)에서 총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임상적 정책적 학문적 제언을 한다. 첫째, 교육복지현장에서 장애학생지원센터 직원의 장애민감성 향상과 처우개선, 그리고 원격지원 가능한 대학과 MOU체결로 교수학습환경을 보완하고 제한된 예산에 대한 문제를 해소한다. 둘째, 대학내 장애학생에게 행해지는 관습적 차별 해소를 위한 학교문화조성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정된 예산과 변화하는 학습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ICT와 IoT기술을 접목하는 교수학습법 개발연구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