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upportive State for Disabled Studen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서울.경기 소재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d disabled students' actual status of applying for university libraries. This thesis investigated how many times the university disabled students utilized the libraries, if facilities, apparatuses, materials, and regular employees were operated properly, and if they were established actually on the target at thirty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 regions in operation of specially screening the objectiv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in 2008. The investigation found that the general operation level of university libraries for disabled students were less than "medium"(average 2.38). As for utilization ratio, the most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didn't utilize libraries so many times(60%)". As for the response ratio of university library facilities and services, the most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very insufficient", 99 items(32.27%), and the least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very excellent", 28 items(7.0%).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analysis of each field, building facilities, in all of the items, were established more than "medium"(average 3.26), but material preparation level(average 1.8 point), employee education for softly supporting disabled students, and library utilization education on the target at disabled students(average 1.87) were less than "insufficient". Especially, the field of service was "insufficient level"(average 2.48), and standard deviation was more than 1.4. Manpower stationing and material delivery services have the biggest standard deviation between universities. So, this investigation found that university libraries reformed access to facilities a lot, but that its level of fundamental policy for library, such as materials, manpower, and the education on utilization, were in insufficient level.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사립대학들 중에서 2008년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시행한 30개 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대학의 장애학생들은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 자료, 그리고 전담 직원이 현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도서관에 장애 학생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수준은 "보통" 이하(평균2.38)로 조사되었으며, 이용률은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60.0%)로 응답한 대학이 가장 많았다. 대학도서관의 시설 및 서비스 등의 응답률에서는 "매우 미흡"을 응답한 대학이 99건(32.27%)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우수"를 응답한 대학이 28건(7.0%)으로 가장 적은 응답수를 나타냈다. 한편, 부문별로 분석했을 때, 건물의 시설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평균3.26)의 수준을 갖추고 있으나, 자료구비수준(평균1.8점)과 장애 학생에 대한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직원교육과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평균1.87)은 "미흡" 이하의 수준이었다. 특히, 서비스 부문은 "미흡"(평균2.48)의 수준으로, 표준편차는 1.4이상으로 인력배치와 자료배달 서비스는 대학 간의 편차가 가장 큰 부문이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시설 등의 접근성은 상당 수준 개선되었으나, 자료, 인력 및 이용교육과 같은 도서관 고유의 정책은 일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6. 2005년도 대학 장애학생 교육복지지원 우수사례집.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권선진, 2004. 장애인 차별실태와 인권의식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8: 59-75.
  3. 남태우, 박현영, 2005.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
  4. 노명수, 2006. 대한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5. 박현영, 2005. 우리나라 대학생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
  6. 박희서, 2002.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7.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73-290.
  8. 변성헌, 2006. 통합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9. 보건복지부 [인용 2007.12.15]. .
  10. 양영주, 2006.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전자도서관 설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11. 이명주, 2004. 장애유형별 사립대학복지시설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1(6): 22-32.
  12. 이상희, 2005. 장애학생 지원조작 구성과 실체, 인문과학논총, 15: 103-118.
  13.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74-75.
  14. 전재봉, 2002. 장애인에 대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58-173.
  15. 전재봉, 1993.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구성 요소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4: 139-169.
  16. 정정진, 2003. 대학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교육복지지원 실태조사 및 학습권 보장방안 연구.
  17. 조현숙, 2007. 장애인복지정책에 관하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정책학과.
  18. 조홍중, 강수균, 2005. 대학의 장애학생 편의시설 실태 및 향후 방향에 관한 연구,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28(1): 3-20.
  1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인용 2007.12.15]. .
  20.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인용 2007.12.15]. .
  21. 황완주, 2004.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22. 황혜선. 정보격차의 요양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원칙,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79-297.
  23. 장애인도서관현지실태조사 결과보고, 장애인도서관 운영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 모색. 2006.
  24. Beck, Susan Gilbert. 1995. "Technology for the Deaf: Remembering to Accommodate an Invisible Disability." Library Hi Tech, 13: 109-122. https://doi.org/10.1108/eb047949
  25. Mates, Barbara T. 1990. "Accessible Technology for the '90s: Library Technologies for the Handicapped, " Computers in Libraries, 13(4): 77-88.
  26. Deveaux, Patricia Ann, 1982. Academic Library Service to Handicapped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PH.D. diss"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27. Chelin, Jacqueline, 1999. "Facilitating access to one and all: report of a project carried out at UWE, Bristol to facilitate access to learning resources for students and staff with disabilities," Library Review, 48(6): 283-289. https://doi.org/10.1108/00242539910283778
  28. ISO/IEC, 2001. GUIDE 71: Guidelines for standards developments to address the needs of older perso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재인용: 전재봉, p.163.
  29. Pinder, Chris. 2005. "Customers with disabilities: the academic library response," Library Review, 54(8): 464-471. https://doi.org/10.1108/00242530510619165
  30.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0. A National Online: How Americans Are Expanding Their Use of the Internet.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재인용: 전재봉, p.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