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ealth Behaviors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2초

일부 성인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 연관성에 대한 인식조사 (Survey of Adults' Percep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 김철신;최용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9
    • /
    • 2017
  •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만성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만성 질환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는 구강건강과 당뇨와의 연관성이 3.29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2.82로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특히 '항고혈압제 약의 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 잇몸출혈, 치유지연, 잇몸비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라는 항목은 전체 항목에서 1.52로 가장 낮은 인식도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만성질환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에 따른 인식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공무원, 전문직 집단에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p=0.015).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만성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치과진료실에서는 구강보건교육시 단순한 구강건강관리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건강관리의 방향으로 만성질환을 포함한 전신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수행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대생의 측두하악장애에 따른 T-scan I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및 구강행동유형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cclusion analysis using the T-scan III system and oral behavior checklist according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선미;김창희;전미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7-327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cclusion patterns using the T-scan $III^{(R)}$ system and oral parafunctional behaviors 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assessed TMD symptoms and oral behavioral checklist (OBC) scores in 120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twenties. Occlusion was evaluated using the T-scan $III^{(R)}$ syste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lusion and OBC scores based on patients' symptoms of TMD and to determine whether OBC scores were a predictor of TMD. Results: A total of 101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age of 22 (${\pm}2.17$) ye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ported symptoms of TMD were categorized as moderate (28.8%), slight (27.7%), severe (25.7%), and asymptomatic (17.8%). Occlusion was analyzed using the T-scan $III^{(R)}$ system, and the mean occlusion time was 0.42(${\pm}0.5$) seconds.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that would 'clench or grind teeth' during sleep showed an odds ratio for TMD that was 8.9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without this behavior. The group that would 'hold, tighten, or tense muscles without clenching' while awake showed an odds ratio for TMD that was 21.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without this behavior.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oral parafunctional behavior affects TMD. Therefore, we would like to continue study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MD by evaluating occlusion patterns and related OBC scores.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경남지역 자료이용) (Oral health care behavior according to dental screening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2014))

  • 윤현서;채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65-272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상남도 지역주민 17810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여부와 건강관리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 23.0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남자, 30-49세, 시 지역 거주, 대졸 이상, 가구소득 월 600 이상,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높았다. 구강건강관리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스켈링을 하고, 점심 식 후 칫솔질, 취침 전 칫솔질, 4회 이상 칫솔질을 하는 경우 높았다. 생활습관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음주를 하는 경우, 만성질환 유무에서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및 협심증의 만성질환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 구강검진 경험이 높았다. 주관적 건강인식(3.28점)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2.87점)은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p<0.001). 따라서 구강검진 여부가 주관적 건강인식수준과 생활습관이나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어 현재 구강검진 수진율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구강검진에 대한 인식도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초등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안권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59-368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학교구강보건예방사업에 관한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호자와 학생의 구강보건행태와 학교구강보건실 운영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하는 전라남도 무안군 소재의 1개 초등학교와 학교구강보건실을 비운영하는 목포시 소재의 1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178명과 동일 학생의 보호자 17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5월 2일부터 5월 26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구강보건실의 비운영은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예방사업에 관한 지식과 음의 관계를 가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예방사업에 관한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호자의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을수록, 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주관적인 구강건강수준이 건강할수록 지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32.6%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의 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영향 요인으로 학생의 구강보건행위, 보호자의 구강보건행위가 관련되어 있고,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이 학생과 보호자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구강보건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컴퓨터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문원숙;황태윤;이경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7-424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12 to February, 2013. Methods : The subjects were 1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in Buk-gu, Busan. The education was provided as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nd conventional classroom education. Three trained dental hygienists recorded three times of knowledge of oral health, oral health attitude,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 plaque control index(O'Leary index). Results : CAI group showed high score of oral health knowledge of 6.74 points, 8.62 points and 8.38 points(p<0.01). In oral health attitude, the scores were 7.40 points, 8.01 points, and 7.99 points(p<0.05). In oral health behavior, the scores were 5.47 points, 6.14 points, and 5.61 points(p<0.05). The plaque control index was 22.59 points, 19.69 points, and 21.44 points(p<0.01). Conclusions : CAI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he CAI education program can be useful and disseminated to the community project.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행태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 김정영;이은주;서순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5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It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 Data on 3,171 employee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L company, G City from March to December 2014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besity and over-weight are the health behaviors that influenc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 manufacturing employees. Conclusions :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projects to improv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can enhance their health,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positively by changing the health behaviors.

치과 교정 환자의 구강보건 지식 및 행태와 치료 만족도 관련성 (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orthodontic patients)

  • 고은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86-1492
    • /
    • 2021
  • Purpose: By investigat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orthodontic patients, we inte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use them as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orthodontic patients. Methods: Busan from February 1st to March 31st, 2021. Dental disease in Gyeongsangnam-do. A self-contained surve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clinic. A total of 185 copies were analyzed. Using the l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as independent variable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remedial treatment satisfaction. Results: The satisfaction level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1.53 points higher than 'understanding the cos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smooth relationship with related staff while receiving orthodontic treatment' was low at 1.23. The average calibration satisfaction was 1.34. Factors affecting remedial treatment satisfaction were shown in the order of oral health behavior (p<0.000), educational experience (p<0.010), gender (p<0.015) and oral health knowledge (p<0.020).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oral health knowledge through customized individual oral health education by enhancing individual oral health behaviors of individuals.

일개 치과내원 환자의 전신질환과 구강건강 간 연관성 및 관련 교육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Awareness and Education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 and Oral Health among Dental Patients)

  • 신보미;최용금;배수명;이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607-61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A치과에 내원하는 환자 중 20-60세에 해당하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전신질환과 구강건강 간 연관성에 관한 인식 수준과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92명의 응답을 포함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두 건강상태의 연관성을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48.9%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 중 39.1%는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68.5%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과 교육 필요성 인식 수준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기적으로 치과를 내원하는 경우 두 질환의 연관성을 인식할 가능성이 3.94배 높았고,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나쁜 경우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할 가능성이 5.20배 높았으며, 과거 교육경험 여부는 두 질환의 연관성 인식 및 교육 필요성 인식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과의료전문가는 교육주체자로서 보다 체계적인 교육방식을 통하여 전신질환과 구강건강 간 연관성에 관한 교육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치과의료전문가는 진료실 구강보건교육 매뉴얼 및 다양한 매체를 개발해야 하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보건교육 융합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ers)

  • 김지화;김기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31-137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K지역 유치원 2곳의 6-7세 아동 214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 주 1회 4주간 구강보건교육과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관리 실태 중 정기검진을 받는 아동(p<0.05), 불소도포경험이 있는 아동(p<0.05), 치아우식증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아동(p<0.001), 어머니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p<0.05)의 구강보건행위 점수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보건교육 후 구강보건지식은 6점 만점에 교육 전 4.96점에서 교육 후 5.54점으로 향상되었고, 구강보건행위도 11점 만점에 교육 전 7.18점에서 교육 후 7.75점으로 향상되었다(p<0.001). 따라서 아동의 올바른 구강보건행위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주기를 짧게 하여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실천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 소비자의 사회경제학적 특성,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치석제거보험급여화의 융합 연구-의료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scaling insurance coverage in socioeconomic, oral health behaviors -Medical consumer)

  • 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5-136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치과건강보험급여화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미래 치석제거 국민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 치과건강보험급여가 확대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 1회 치석제거급여 연령에 대한 적절성 여부는 나이와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연 1회 치석제거 급여횟수에 대한 적절성 여부는 결혼여부, 지역(구), 자가구강건강인지에서 유의하였으며(p<0.05), 연 1회 치석제거 급여수가에 대한 적절성 여부에서는 하루잇솔질총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국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치주질환의 증가로 국가 차원에서의 건강보험급여 항목이 추가되어야 하며, 본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치석제거 건강보험급여화는 연령, 횟수, 수가부분에서 더욱 확대 되어야하며, 향후 치과건강보험 급여정책 향상을 위한 노력은 국민의 구강건강을 위해 계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