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mentia care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45초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기획 (Application Design Planning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이윤희;조성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74-284
    • /
    • 2017
  • 우리 사회는 고령화에 따라 치매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장기 요양 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조건이 안되는 치매 노인은 기본적인 요양서비스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는 환경 하에서 현재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분석과 대상자 설문조사를 토대로 초기(경증) 치매 노인에게 질병 관리 및 가족 간의 소통에 도움을 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연구주제와 관련된 이론 연구를 배경으로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해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을 통해 치매 노인을 위한 앱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기본연구를 바탕으로 경도 치매 노인에게 필요한 약물 복용 관리, 신체 활동 관리, 두뇌 활동 관리, 치매 정보, 메모 등의 기능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기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라에서 시행하는 제도적 지원에 이와 같은 서비스가 확대된다면,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증 치매의 제도적 관리 선진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Analysis of behavioral management for dent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dementia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 Kim, Taeksu;Chi, Seong In;Kim, Hyuk;Seo, Kwang-Su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5호
    • /
    • pp.461-469
    • /
    • 2021
  • Background: The global population is aging rapidly,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is increasing every year. Although the need for dental treatment increases for various reas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they cannot cooperate during dental treatment. Therefore, behavioral management, including sedation (SED) or general anesthesia (GA), is required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effects of SED or GA in patients with dementia undergoing dental treatment in South Korea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Methods: This study utilized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data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mong patients with records of using sedative drugs during dental treatment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19, patients with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 code for dementia (F00, F01, F02, F03, and G30) were selected. We then analyzed the full insurance claims data for dental care. Age, sex, sedative use, and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ere analyzed yearly. In addition, the number of cases of GA or SED per year was analyzed, and changes in behavioral management methods with increasing age were investigated. Results: Between January 2007 and September 2019, a total of 4,383 (male, 1,454; female, 2,929) patients with dementia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SED or GA. The total number of SED and GA cases were 1,515 (male, 528 ; female, 987 ) and 3,396 (male, 1,119 ; female, 2,277) cases,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cases of dental treatment for 4,383 patients with dementia was 153,051 cases, of which 2.22% were under GA and 0.98% were under SED. Midazolam was the most commonly used drug for SED. Conclusion: Although gingivitis and pulpitis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patients with dementia to visit the dentist, GA or SED for patients with dementia was frequently used in oral and maxillofacial or periodontal surgery.

일부 지역 노인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in the elderly in some areas)

  • 김유린;허성은;장경애;강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KDSQ-C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s-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normal and suspected dementia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Results: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assessed by the KDSQ-C, the higher the current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exercise status, the lower was the dementia level (p<0.05). During the assessment of oral health conditions in KDSQ-C subjects, dementia was more suspected in subjects with dental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than in those without dental decay (p<0.05). Conclusions: Dementia has been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general and oral health conditions. Therefore, oral health-related programs are essential f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ince dental hygienists are best suited for providing oral care to older adults with dementia,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reflect their occupation in future national policies.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한 한국어판 PACSLAC의 신뢰도, 타당도 및 유용성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 김은경;김세영;엄미란;김현숙;이은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8-40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K) in assessing pain of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PACSLAC-K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technique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5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Spearman's rho, paired t-test,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PACSLAC-K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90), interrater reliability (.86), intrarater reliability (.93), and high concurrent validity (.74) in paired t-test with PAINAD. Discriminant valid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no pain. The PACSLAC-K showed a sensitivity of .93, specificity of .88, and Area Under the Curve of .95 in the ROC curv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CSLAC-K is useful in assessing pain for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치매노인의 다감각(Multisensory)과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을 병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Outcomes of a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 정해인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53-62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게 다감각과 신체활동을 병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5명의 중증 이상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4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였고, 12가지 이상행동빈도와 이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고통정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증상 빈도의 평균이 70점에서 48점으로 감소하였고, 보호자의 고통정도는 평균이 47점에서 29점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원 거주인의 다감각과 신체활동을 적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 이상의 치매 노인에게 이상행동과 요양보호사 고통정도가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융합 연구 (Converged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al Scale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 강문희;이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7-333
    • /
    • 2020
  • 본 연구는 집단비교법을 활용하여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D시, U시 및 Y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67명)와 D시와 U시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70명)이다. 본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가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t=2.49, p=.014)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한 급내상관관계는 .813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는 다양한 논리적 분석을 통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수준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평가도구임이 확인되어 치매대상자 간호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Family Friendship on the Elderly's Consciousness: A Study on the Effects of Mediation on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 and the Attitude to Dementia)

  • 최윤지;오광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723-739
    • /
    • 2019
  • 본 연구는 개인주의화, 만혼현상, 이혼율 증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족구조와 기능이 빠른 속도로 변화되는 추세에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의 영향관계에서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 상관관계, 요인분석, 구조모형검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밀감, 노인인식, 노인부양의식은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연령'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또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는 청소년의 가족친밀감이 종교가 없는 청소년 보다 더 높았다(p<.001). 둘째, 가족친밀감은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인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치매에 대한 태도는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친밀감(부모-자녀)은 노인인식에 7.8%,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20.2%, 치매에 대한 태도와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에 34.1%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가족친밀감과 노인부양 의식 간의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절대 값이 1.96보다 높게 나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초기에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가 올바른 지식을 전달과 긍정적인 부양의식 해결과 함께 세대 간의 갈등 해소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복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운영, 인력, 서비스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Adult Day Care in Korea - Operation, Staffing, and Service -)

  • 박연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13-62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operation, staffing, and services provided at adult day care centers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The subjects were 209 centers among 280 centers registered in Korea (response rate 74.6%).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6. Results: 48.8% of centers were located in a city area. The centers were based on the Social Model 65.5% of the centers were open Monday to Friday, an average of $7{\sim}8$ hours per day Dementia, stroke or frail elderly could use the center, and 57.4% of centers were used for dementia and stroke elderly together. The enrollment of elderly was 13.5. The number of total staff was 8.27, the number of RN's and social workers was 0.67, and 2.54 respectively. The social services(Meal preparation 98.6%, Special event 98.1%, Transportation, 97.1%) were provided more than the health services(Physical therapy 98.1%, ADL training 95.2%, Counseling 84 7%, Vaccination 82.8%, Health monitoring 78.9%, Health education 78.5%, Bathing 66.1%, and Speech therapy 28.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we have to develop a health-focused adult day health care model based on the needs of elderly and their families. Nurses will have an important role in adult day health care.

시설이용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emented Elderly in Health Facilities)

  • 진주연;강지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9-348
    • /
    • 2009
  • Purpose: We aimed to describe and compare the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emented elderly in day care centers or nursing homes. Methods: We selected 44 subjects from day care centers and 63 subjects from nursing homes by performing convenience sampl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was used for measuring cognitive status; Rating Anxiety in Dementia, for assessing anxiety;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8 and analyzed by SPSS/WIN 14.0. Results: 1)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in the day care cent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jects in the nursing home. Anxiety in the subjects in the nursing home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ubjects in the day care center. 2) The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in the day care cen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3) The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in the nursing ho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Nursing intervention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emented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and anxiety.

  • PDF

운동이 치매 환자의 수면 관련 인자,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and Dementia-related Factors of Dementia Patients)

  • 윤병곤;김종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0-746
    • /
    • 2019
  • 운동은 치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 관련 연구에서는 치매의 증상 완화, 치매에 관한 다양한 치료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 기능과 치매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치매와 뇌 기능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수면 관련 인자(melatonin, serotonin), 치매 관련 인자(BDNF, beta-amyloid, IGF-1, Irisin, GLU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yokine (Irisin, IGF-1), GLUT 및 Melatonin이 지구성 운동을 통한 BDNF 활성화를 통해 치매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유형, 형태, 기간 및 운동 강도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운동과 치매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