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Design Planning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기획

  • 이윤희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창의학과) ;
  • 조성환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창의학과)
  • Received : 2017.02.07
  • Accepted : 2017.03.05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Due to aging society, the prevalence of dementia is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reby, causing a serious issue. Although Long Term Care Insurance is provided on a national level, it is not availabl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As the use of smartphones becomes widespread, this study investigated an application that can help disease management of the elderly with the early-stage (mild) dementia and communic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based on analysis of the functions found in currently-available applications and survey among the relevant subjects. As a research method, based on review of the relevant theoretical studies, the service environment of applications availabl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was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found out that there is no application for the eldery with mild dementi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for design planning of an application included many functions like managements of taking medicine, physical activity, brain activity, information on dementia and notes. for dementia management aimed to help the patients with mild dementia manage the disease on their own. If this type of services are expanded in addition to the systemic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application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management of mild dementia.

우리 사회는 고령화에 따라 치매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장기 요양 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조건이 안되는 치매 노인은 기본적인 요양서비스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는 환경 하에서 현재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분석과 대상자 설문조사를 토대로 초기(경증) 치매 노인에게 질병 관리 및 가족 간의 소통에 도움을 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연구주제와 관련된 이론 연구를 배경으로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해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을 통해 치매 노인을 위한 앱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기본연구를 바탕으로 경도 치매 노인에게 필요한 약물 복용 관리, 신체 활동 관리, 두뇌 활동 관리, 치매 정보, 메모 등의 기능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기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라에서 시행하는 제도적 지원에 이와 같은 서비스가 확대된다면,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증 치매의 제도적 관리 선진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tat.go.kr
  2.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외,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4.
  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2439&cid=40942&categoryId=32749
  4. http://www.mohw.go.kr
  5. 박주홍, 치매박사 박주홍의 영뇌 건강법, 성안북스, 2016.
  6. http://www.edementia.or.kr
  7. http://www.longtermcare.or.kr
  8. 조맹제 외,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부, 2008.
  9. 황성숙,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가족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국제신학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p.24, 2012.
  10. 오강탁, 스마트 혁명시대의 쟁점들,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11. http://www.itstat.go.kr
  12. http://www.kisdi.re.kr
  13.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30616582365951
  14.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21688
  15. 전인규, 실버세대를 고려한 스마트폰 GUI 구성요소 디자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 2015.
  16. 김성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책학박사학위청구논문, p.3, 2016.
  17.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2/16/2013121600122.html
  18. 니이미 마사노리, 치매가 되는 습관 치매를 피하는 습관, 넥서스BOOKS, 2016.
  19. 조유향, 치매노인케어론, 집문당, 2015.
  20.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8/2014120802225.html
  21. 김영란, 회상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학위논문, p.65, 2013.
  22.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50178
  23. 이광훈, 사용자 경험을 창조하는 모바일 UX/UI 가이드북, 주식회사프리렉, 2013.
  24. https://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