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entia Care Center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9초

보건소 방문간호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방문간호 요구 (Health Care Needs and Health Problems of the Subjects in a Health Center)

  • 김순례;이경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3-108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data for the visiting nursing care plan of Health Center in Korea, the questionnaire survey in regard to health care needs and health problems of the subjects with visiting nursing care was carried out on 131 subjects with visiting nursing c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bjects consisted of 38.2% in male and 61.8% in female. 77.1% of the subjects had no job. 2. In the health problem, the subjects symptoms were 31.2% of hypertension, 20.6% of arthritis, and 19.1% of diabetes and other chronical illness.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were 61.8% of private clinics or general hospitals and 29.0% of Health Center. 3. 10 areas of health care needs that subjects wanted were disease management(19.5%), demand for welfare concerns(15.7%),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14.2%), information for medical institution(12.3%), health management for the aged(10.8%), hospice care(8.0%), prevention of dementia(8.0%), care for mental hygiene(6.7%), management for drinking, smoking and drug abuse(3.3%), home care nursing and rehabilitation nursing(1.2%).

  • PDF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옹호행동,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Human Rights Behavior,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 김근홍;송지원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747-762
    • /
    • 2017
  • 본 연구는 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치매관련(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인권옹호행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방문요양센터 등에 근무하는 치매관련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210부를 회수하였고 부실응답 설문지 13개를 제외한 후 197명의 응답자료를 AMOS와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276)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사회적 지지도 역시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315)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옹호에서도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175)을 미치고 간접적인 영향(.102)을 미치므로 .277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 지지가 인권옹호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217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095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122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치매관련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인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인권옹호행동을 증대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치매예방을 위한 헬스케어 알리미 앱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 a Healthcare Alert App to Prevent Dementia)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59-67
    • /
    • 2018
  • 고령자들에 국한된 M-Health 관련 서비스는 많지 않다. 치매발병 위험성이 있는 고령자의 다수가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므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고 터치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한 사용자 맞춤형 앱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음성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음성알리미 통합앱을 설계, 구현하여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질병을 예방하고자 한다. 경북 H지역의 평생교육원 수강생들에게 앱을 배포 후 개별 인터뷰와 설문검사를 실시 후 분석한 결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음성 헬스케어 알리미 앱을 통해 치매예방을 할 수 있어서 고령자들의 M-Health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웹 DB에 저장된 자료를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고령자들의 생활패턴과 치매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자 한다.

농촌지역 노인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ealth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 Focus on Rural Community -)

  • 현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7-72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 1) To understand self-care ability, living habits, utilization patterns of medical facililties for the elderly in Puk-Cheju county which has the highest percent age of senior citizens among Cheju rural community: 2)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living quality and long life for the eldely 3) To develop health care service with a view to guaranteering living quality The eldely population of Puk-Cheju county was $10.8\%$ in 1995. It will be increasing and is projeted $23.0\%$ by 2030. The result indicated that utilizations rate by out-patient were 5.89 claims and utilizations rate by in-patient were 0.17 claims per person. The highest disease among respondents were disease of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A total of 310 elderlys were responded to analyze self-care ability and health behavior.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long life were to have peaceful mind$(50.0\%)$. The common disease of acute and chronic disease was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 $66.8\%$ of respondents went to hospital and local clinic when they got sick. The most needed health care service was home visiting service among public health center, representing $31.4\%$. The repondent's self-care ability and self-efficacy were relatively superiority. A total of 92 elderlys were conducted the intelligence test for the rate of dementia and their average age was 74.3. The result of Minimental State Scale indicated that 25% of respondents were suspected to be dementia. The followings ar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 1) Concidering every conditions of self-care ability and health status for elderly. It is important to embody appopriate health care service. 2) Considering concrete metho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ealth service, which match health status and self-care ability, and various planning for sepec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3) It is desiable to make actual programs for the elderly in each community level. 4) It must be develop the better use of volunteers and programs for prevention of dementia. Finally, Concerning the orgarn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community health center need to be reorganized for health service for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operat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an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foundation for the support of facilities equipments. This contribute to promote health status for the rural elderly.

  • PDF

립 모션(leap motion) 센서를 이용한 노령 환자 치매 케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ased on Leap Motion Sensor)

  • 신지우;김지수;홍광수;김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9-325
    • /
    • 2018
  •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치매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늘어나는 치매환자수에 따라 치매 재활센터, 노인 복지관에서는 여러 치매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손가락 및 동작 스캔이 가능한 립 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설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매 예방 및 인지 재활 프로그램과 접목시킨다.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재활 치료사들의 치료 및 재활 내용을 재미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손가락 추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지 증강 콘텐츠를 설계하고, 재활 교육의 기록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구성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조사 (A Study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 김민호;박성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9-228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at adult day care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is therapy at these centers. Methods : Data on 1,527 adult day care centers in South Korea were retrieved from a long-term care insurance site for the elderly an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 Of these centers, 1,331 (87.2 %) were cognitive activity-oriented, 37 (2.4 %) were exclusively for dementia treatment, and 159 were nonspecialized centers (10.4 %). A second finding was that 294 (19.3 %) of the centers operat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Third, only 40 occupational therapists (2.6 %) were working at one of these 1,527 care centers nationwide. Fourth,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mprised 4.91 ± 3.93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per center, 2.58 ± 2.26 training assistance programs per center, and other programs 2.56 ± 2.58 per center. Fifth, a regional comparison of the op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at these cent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ograms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 Conclusion : Although most adult day care centers currently deliver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they show a low employment rate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nvolving workers at adult day care centers is required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운영, 인력, 서비스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Adult Day Care in Korea - Operation, Staffing, and Service -)

  • 박연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13-62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operation, staffing, and services provided at adult day care centers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The subjects were 209 centers among 280 centers registered in Korea (response rate 74.6%).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6. Results: 48.8% of centers were located in a city area. The centers were based on the Social Model 65.5% of the centers were open Monday to Friday, an average of $7{\sim}8$ hours per day Dementia, stroke or frail elderly could use the center, and 57.4% of centers were used for dementia and stroke elderly together. The enrollment of elderly was 13.5. The number of total staff was 8.27, the number of RN's and social workers was 0.67, and 2.54 respectively. The social services(Meal preparation 98.6%, Special event 98.1%, Transportation, 97.1%) were provided more than the health services(Physical therapy 98.1%, ADL training 95.2%, Counseling 84 7%, Vaccination 82.8%, Health monitoring 78.9%, Health education 78.5%, Bathing 66.1%, and Speech therapy 28.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we have to develop a health-focused adult day health care model based on the needs of elderly and their families. Nurses will have an important role in adult day health care.

치매안심센터 이용 보호자의 미충족 치매정보와 종사자의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met Dementia Information of Dementia Caregiver Using Dementia Relief Center and Program Effect Recognition of Workers)

  • 김인옥;고명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의 치매환자 보호자에게 미충족 치매정보를, 종사자에게는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S시 25개 자치구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보호자 114명, 종사자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간은 2019년 11월 1일부터 2020월 1월 30일까지이다. 연구도구 중 미충족 치매정보는 7문항의 Likert 5점 척도, 위기관리수준은 6항목, 10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울한 보호자가 그렇지 않은 보호자에 비해 미충족 치매정보를 경험할 비율이 1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기관리수준이 미흡하다고 인식한 종사자일수록 프로그램 효과성이 8.98배 높게인식하였으며(p=.004), 사회복지사가 간호사에 비해 2.81배나 높게인식하였다(p=.091). 결론적으로,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수준을 단기간에 최고로 만들기 위한 일방적 정책보다 지역사회 주민들과 다양한 의견교환을 통해 그들의 필요를 충족해 나가는 쌍방향 운영이 필요하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작업치료: 2007-2018년 (Occupational Therapy i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Using Text Mining)

  • 조민석;백순형;박엄지;박수희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를 활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신문기사 분석을 위해 2007~208년까지 기간 설정 후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를 주제어로 수집하였다. Textom이라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활용해 국내 검색엔진 네이버에서 <네이버뉴스>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수집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 검색에서 510편의 뉴스 데이터의 기사제목과 원문을 수집한 후 연도별 기사 빈도, 핵심어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기사 발행 빈도를 살펴보면 2015년과 2017년 발행한 기사 수가 70편(13.7%)으로 가장 많았고, 핵심어 분석 상위 10개의 용어는 '치매'(344)가 가장 많았으며, 작업과 핵심어의 관례를 알아보면, 치매, 치료, 병원, 건강, 서비스, 재활, 시설, 제도, 등급, 어르신, 전문, 급여, 공단, 국민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11년간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언론 보도 동향을 토대로 관련 핵심 키워드에서 치매와 재활에 대해 사회적 요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연도에 따른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치매노인과 주부양자의 성별 관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피로 및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ison in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Caregiver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Demented Elders)

  • 이영휘;조인숙;김화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6-20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respect to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a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center providing daycare services. One hundred ninety four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are burden, fatigue, and general contentment scales. Caregiv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middle-aged and elderly. More than twice as many were female rather than male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caregivers expressed more fatigue than men overall (p < .05). In the gender relationships, a different combination of man-woman appeared to have more burdens than that of a woman-woman group (p < .05). For fatigue, the man caregiver-woman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fatigue score than a woman-man group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ontentment among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gender and gender relationship with elders could be considerable factors when the nurses make a plan in the community for dementia nursing management ser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