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SC propert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5초

전분 분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tarch)

  • 김정환;현성호;이창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
    • /
    • 2001
  • 전분 분말의 온도에 따른 열적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빛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발열개시 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량에 따른 전분 분말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소개시시간 및 연소시 상승하는 온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육안으로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편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송풍과 무풍 상태에서의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선분 분말의 열분석 결과 승온속도가 증가할 수록 발열개시온도가 저온부로 이동하고 있으며, 발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실험결과 전분의 양이 증가할수록 훈소 개시온도가 낮아지고, 연소형태는 모두 훈소였다.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경우 훈소 개시시간이 다소 빨라지고 있으며, 발열최고온도도 크게 나타났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한 밀가루 발효물이 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Ferment Cultur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s)

  • 차욱진;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25
    • /
    • 2008
  • 밀가루에 정상발효 젖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여 면 제조시 발효물로서 이의 실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실험은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물의 첨가에 따른 면의 호화도를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발효물을 첨가한 면의 엔탈피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면의 노화도는 첨가되는 발효물의 양이 많을수록 엔탈피가 감소되어 면의 노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물성 측정에서는 응집성은 대조구가 높았고, 점착성은 대조구가 낮았다. 탄성은 대조구가 발효물 첨가구보다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초기의 차이가 점차 좁혀져 12일 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탄성을 갖게 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에 대한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조직감은 대조구와 같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발효물이 10% 첨가된 면이 대조구보다도 높게 나타나, 면 제조 시 20%까지의 발효물 첨가는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Lactobacillusacidophilus를 이용한 밀가루 발효물을 제면산업에 이용할 경우에는 유익한 품질개선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젖산 및 글리콜산에서 합성된 PLGA 멤브레인의 특성과 생분해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biodegradable of synthetic PLGA membrane from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 시에위잉;박종순;강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58-2965
    • /
    • 2015
  • 공중합체인 PLGA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의료용 이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은 양호한 생분해 특성 및 지속적 약물 전달체로서 치조골 유도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락티드, 글리콜리드 합성 및 공중합과정을 거쳐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PLGA 멤브레인을 제조하였으며, 멤브레인의 광학적(NMR, IR), 기계적(인장강도), 열적(DSC)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PLGA 멤브레인의 생분해 특성은 PBS (Phosphate Buffered Solution)이 담긴 항온조($60^{\circ}C$) 내에서 분해시간에 따른 표면분해 정도, 멤브레인의 질량변화 및 용액의 pH 변화로 측정하였다.

폴리아스팔트아미드와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상용블렌드 및 Semi-IPN 젤 제조 (Miscible Blend and Semi-IPN Gel of Poly(hydroxyethyl aspartamide) with Poly(N-vinyl pyrrolidone))

  • ;전영실;정동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17-621
    • /
    • 2012
  • 폴리아스팔트아미드[${\alpha}$,${\beta}$-poly(2-hydroxyethyl-DL-aspartamides), PHEAs]는 폴리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잠재적인 의학 및 약학분야에 응용가능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널리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PHEA와 폴리(비닐 피롤리돈)(PNVP)의 블렌드 및 semi-IPN 젤에 관하여 다루었다. 블렌드 필름은 용액 캐스팅법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블렌드는 전 조성에서 투명하였으며 DSC를 통해 조성에 따라 단조롭게 변화하는 단일한 유리전이 온도가 관찰됨으로써 두 개 고분자가 서로 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분자간의 가능한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FTIR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일정 조성의 PHEA/PNVP 블렌드 용액을 핵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젤을 제조하고, 제조된 젤의 팽윤 물성과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PFOEA) 및 m-Isopropenyl-α, α-Dimethylbenzyl Isocyanate (TMI)가 함유된 발수체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 Repellent Materials Containing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and m-Isopropenyl-α, α-Dimethylbenzyl Isocyanate)

  • 강영택;곽은미;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4호
    • /
    • pp.151-160
    • /
    • 2014
  • 이상적인 내발수 특성을 얻기 위해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n-methyol acrylamide (n-MAM)와 stearyl methacrylate (SMA)의 단량체에 기능성 단량체인 PFOEA의 함량(0-8 wt%)에 따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추가적으로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PFOEA) 함량이 4 wt%인 조성에 m-isopropenyl-${\alpha}$,${\alpha}^{\prime}$-dimethylbenzyl isocyanate (TMI)의 함량(1~4 wt%)을 첨가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유화중합을 위해 비이온 유화제인 tridecyl alcohol (TDA-7), 양이온유화제인 alkyl dimethyl amine derivatives(ADAD)를 사용하였고 개시제로는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oride) (AAPDL)을 사용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에 대해서 FT-IR spectra를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하였고 표면특성 분석을 위해 접촉각, 표면에너지, 발수도 그리고 SEM을 측정하였으며, TGA와 DSC를 사용하여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FOEA와 TMI의 특정 함량에서 우수한 발수도와 높은 열적 특성을 보이는 공중합체가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과 재결정화 (Melt and Recrystallization Behavior of Syndiotactic Polypropylene and Isotactic Polypropylene)

  • 이상원;허완수;현욱;이동호;노석균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21-527
    • /
    • 2003
  •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sPP)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은 용융과정에서 결정의 재배열이 나타나며 이와 같은 재결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결정화도와 결정구조의 변화, 동역학적 물성을 고찰하였고 DSC, FT-IR, SAXS, DM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된 조건에서는 sPP의 재결정화 현상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iPP는 용융으로부터 냉각되는 속도가 빠르게 될 수록 재가열시 재결정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iPP의 재결정화가 진행되는 동안 tan $\delta$가 0.119에서 0.101로 감소하여 탄성율이 증가한 결과를 보이나 결정화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더욱이 재결정 현상이 진행되는 동안 SAXS 산란피크의 반가폭이 약 30% 감소하여 라멜라의 질서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Effects of Hardener and Extender Contents on Curing Behavior of Urea-Melamine-Formaldehyde Resin

  • Eom, Young-Geun;XU, Guang-Zhu;Lee, Young-Kyu;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5호
    • /
    • pp.42-4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effects of hardener and extender contents on peak temperature, reaction enthalpy (${\Delta}H$), gelation time, viscosity change, and pH value in three types of UMF (urea-melamine- formaldehyde) resin with the help of perpHecT LogR mete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value of Control A steeply decreased to 5,2 in the early stage but relatively remained constant thereafter as in Synthesis 1 and Synthesis 2, The peak temperature and time decreased as well, whereas ${\Delta}H$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ardener content. On the other hand, ${\Delta}H$ was not changed up to the extender content of 5% and then decreased with its further addition, And the pH value and peak temperature showed no change with the increase of extender content at the hardener content of 5% in three types of UMF resin, The effect of hardener content in this experiment, however, appeared more conspicuous in Control A than in the other two types of Synthesis 1 and Synthesis 2, These results might be caused by higher molecular weight with longer chains of methylene ($-CH_2-$) and methylene ($-CH_2-O-CH_2-$) ether bridges or much more branched chains in Control A.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에 의한 물리적 특성 변화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Isobornyl Methacrylate in Acrylate Copolymers on Physical Properties)

  • 김기상;심상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71-776
    • /
    • 2016
  • 내열, 코팅 및 접착특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설계,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용 모노머로 methyl methacrylate(MMA), isobornyl methacrylate(IBMA) 그리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여 괴상 중합 및 유화 중합으로 반응하여 > 95%이상 고수율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1H$-NMR로 화학구조를 확인하였고 DSC, DMA, TGA분석으로 내열성을 확인한 결과 유리전이온도가 $123^{\circ}C$이상 $140^{\circ}C$까지 높게 나타났다. 또한, IBMA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탄성율, 열분해온도 모두 증가하였다. 인장강도는 IBMA의 함량이 전체 모노머 조성물중 10%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괴상 및 유화 중합체 모두에서 22에서 30 MPa로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IBMA의 소수성 특성으로 접촉각은 70도에서 88도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과 Zn-Al 이중층상 수산화물 복합체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Zn-Al Layered Double Hydroxide Composites)

  • 이종희;고일웅;김기영;임정혁;김경민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33-137
    • /
    • 2011
  •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O)를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OH)수용액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로 분산되어 박리된 그래파이트 옥사이드(Exfoliated Graphite Oxide: EGO)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EGO를 $Zn(NO_3)_2{\cdot}6H_2O$, $Al(NO_3)_3{\cdot}9H_2O$, urea, trisodium citrate의 혼합용액에 넣어 격렬히 교반 후 고압멸균기에서 열수 처리하여 동시에 환원된 그래핀(RGO)과 Zn-Al 이중층상 수산화물(LDH)의 나노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즉, EGO의 표면에 두 개의 금속이온이 흡착된 후 열수처리 환원을 통하여 Zn-Al 이중층상 수산화물이 RGO의 표면에 자유롭게 성장하여 복합화 되었다. 얻어진 그래핀/Zn-Al LDH의 구조 및 형태와 열적 특성은 FE-SEM, EDX, TEM, FT-IR, XRD, TGA와 DSC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Siloxane을 포함한 ETSO-DDM/BPH계 에폭시 시스템의 경화동력학 및 기계적 특성 분석 (Curing Kine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Siloxane Contained ETSO-DDM/BPH Epoxy System)

  • 김효미;김종민;한중근;김주헌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64-3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ETSO-DDM(epoxy terminated siloxane-diaminodiphenylmethane) 복합 경화제상 siloxane 함량 변화에 따른 bisphenol계 레진(BPH)과의 경화 특성 변화와 이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ETSO-DDM/BPH 복합재료의 경화 특성 변화는 DSC를 통해 관찰하였으며, 만능 물성기의 인장 시험과 굴곡 시험을 통해 기계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ETSO-DDM/BPH 시스템의 경화 활성화 에너지는 ETSO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ETSO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합성된 ETSO-DDM 공단량체의 사슬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ETSO-DDM/BPH간의 가교거리 역시 짧아지게 되어 결국 가교밀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ETSO 함량이 감소할수록 인장강도, 인장탄성률,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특성은 증가를 보이는데 이는 짧은 사슬길이의 ETSO-DDM 공단량체가 rigid한 구조를 형성하여 공간상 존재하는 분자구조의 에너지 상태가 최소가 되도록 packing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