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결과 1,174건 처리시간 0.034초

물과 주정을 이용한 삼채 뿌리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Water and Ethanolic Extract from Roots and Leaves of Allium hookeri)

  • 이관욱;김연숙;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08-1816
    • /
    • 2014
  • 본 연구는 삼채의 뿌리와 잎을 물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삼채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및 ORAC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삼채뿌리 추출물보다는 삼채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이는 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 추출의 경우가 뿌리와 잎 모두 수율이 높았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ORAC value와 alkyl 라디칼 소거 활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DPPH와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 실험 수행 결과, 0.25 mg/mL의 농도까지는 삼채의 뿌리와 잎의 물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0.2 mg/mL 이하에서 항염증 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삼채뿌리 및 삼채잎의 물과 주정 추출물은 모두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삼채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삼채뿌리 물 추출물은 가장 높은 IL-6와 TNF-${\alpha}$의 생성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삼채 추출물이 LPS로 유도한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위의 결과로 삼채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삼채뿌리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채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관련된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AW 264.7 세포에서 Desmodium heterocarpon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esmodium heterocarpon Extract in RAW 264.7 Cells)

  • 이수현;진경숙;손유리;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6-222
    • /
    • 2018
  • Desmodium heterocarpon은 콩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주로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 존재하는 신규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Desmodium heterocarpon 에탄올 추출물(DHEE)의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ROS 소거능, NO 생성 억제능 및 관련 단백질 발현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DHEE의 항산화능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분석한 결과 높은 소거활성을 보여 DHEE가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에서 H2O2에 의해 유도된 ROS에 대한 DHEE의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강한 ROS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 중 하나로 항산화능 보유 천연물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DHEE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한편 DH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DHEE의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잠재적인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d Ginseng Prepared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 정경희;홍희도;조장원;이민영;최웅규;김영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7-8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처리를 통한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총 페놀 함량은 14.76 mg/g으로 기존의 수삼 3.59 mg/g과 홍삼 3.93 mg/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 $1{\sim}100mg/m{\ell}$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4.8~78.4%, 수삼 1.0~47.4%, 홍삼 1.8~56.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고온고압 처리 홍삼 8.9~99.8%, 수삼 3.4~96%, 홍삼 1.2~96.5%를 보였다. 신규 홍삼에서는 maltol,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산 성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페놀산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ell}$의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81.5%로 수삼 16.6%와 홍삼 32.9%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리마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ilymarin)

  • 박현빈;경인구;강정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221-230
    • /
    • 2022
  • 본 연구는 실리마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와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5 6-sulfonic acid)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리마린은 1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71%, ABTS 라디칼을 78%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리마린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사람 혈청 단백질과 Cu,Zn-SOD의 산화적 변형을 억제하였다. 또한 실리마린은 H2O2와 LPS에 의한 세포사멸, ROS 생성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을 통해 실리마린은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흰씀바귀 (고채(苦菜),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뿌리의 성분 분석과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The Composition of the Root of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Nakai. and Cell Viabil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its Extract)

  • 홍슬기;정동명;김기영;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05-113
    • /
    • 2010
  •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흰씀바귀 뿌리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성분분석, 세포 생존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검색하였다. 흰씀바귀 뿌리의 수분은 79.14%이었고 냉동건조시료 100g 당 조회분 2.49 g, 조지방 2.56 g, 조단백 8.28 g, 칼륨 216.95 mg, 인 89.15 mg이었고,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및 fructose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59.82 mg/100 g이었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41.24%로 가장 많았고, 흰씀바귀 뿌리에서 확인된 아미노산은 총 17종으로 28.12 mg/g을 함유하였으며, 주요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5.54 mg/g, 5.03 mg/g, 2.96 mg/g이었다. 신장세포주인 Vero cell에서 메탄올 추출물과 각 분획별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로 독성이 거의 없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신장 세포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 신장 세포의 성장과 증식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 세포주인 chang cell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계통분획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흰씀바귀 뿌리 메탄올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00{\sim}0.12\;{\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50% 소거능 (${\mu}g/mL$)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 부탄올 < 클로로포름 < 헥산 분획물 < 메탄올 < 물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흰씀바귀 뿌리의 성분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생존율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검토하였고 흰씀바귀에 대한 여러 다른 연구물들을 바탕으로 흰씀바귀가 건강기능성 식품의 신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증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

  • 유선희;이은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0-5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항염증 활성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와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멜라닌 세포인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통한 미백 활성 효과, 대식 세포인 RAW 264.7 세포에 대한 NO 생성 억제능을 통한 항염증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쥐참외뿌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슷한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확인되었다. 100 nM 𝛼-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과 LPS 1 ㎍/mL로 유도된 NO 생성 억제능을 유의하게 억제 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쥐참외뿌리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항염증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이 사료되어 진다.

감태나무(Lindera glauca Blum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Lindera glauca Blume o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김예언;윤정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35-64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감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환원력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HT-29와 HCT116 암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물 중 감태나무 뿌리와 감태나무 줄기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 활성, 환원력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평가에서도 감태나무 줄기와 뿌리는 대장암세포 HT-29, HCT116 세포주의 증식 억제에 대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감태나무의 기능성 소재로써의 기초적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욱 더 감태나무의 질병에 대한 효능 및 기전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고압 처리한 홍삼의 ginsenoside 함량 및 항산화 활성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Red Ginseng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 신창식;이도현;김성한;신민호;정창호;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33-140
    • /
    • 2010
  • 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21.93 및 27.29 mg/g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초고압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Rb1으로 각각 14.10 mg/g과 17.71 mg/g 이었으며, 초고압 처리에 의하여 25.60% Rb1이 증가하였다. 또한 홍삼의 특징적인 유효 성분인 Rg3는 일반 홍삼에 비하여 초고압 처리한 홍삼에서 10.46% 증가하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고압 처리 홍삼이 일반 홍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과 FRAP 활성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과 FRAP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 열수 추출물의 FRAP 활성은 농도 10 mg/mL일 때 각각 0.30 및 0.36의 흡광도를 보였다. 따라서 초고압 처리 홍삼 열수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일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Baegilju)

  • 조영호;변태강;이종화;이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25-1531
    • /
    • 2013
  • 백일주는 찹쌀, 백미, 누룩, 재래종 국화꽃, 오미자, 진달래, 솔잎 및 물을 넣고 100일간 발효 숙성시킨 전통주이다. 본 연구에서 백일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아질산염 소거활성), 혈전용해활성, angiotensisn 전환효소 저해활성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살균 처리되지 않은 백일주와 살균 처리된 백일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91.59와 401.33 ${\mu}g$ tannic acid equivalents/ml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84.75와 308.35 ${\mu}g$ quercetin equivalents/ml이었다. 백일주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청주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일주의 혈전용해활성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도 청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살균 처리되지 않은 백일주는 23.62%, 살균 처리된 백일주는 19.99%, 청주는 38.91%로 청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백일주가 항산화 효과와 혈전용해 활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Rosa rugosa)

  • 서영완;이희정;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해당화의 항산화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해당화의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의 조추출물을 합하여 n-hexane, 15% aq. MeOH, n-BuOH, $H_2O$로써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PPH 라디칼, peroxynitrite의 소거 활성과 지질 과산화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해당화의 유의적인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4개의 분획물들 중 n-BuOH 획분이 가장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큰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해당화의 많은 생물학적인 활성들 중 peroxynitrite 소거 효과와 마우스 간 균질물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 관한 보고는 이것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