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B-24

Search Result 2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Dietary Fiber Intak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식이섬유 D/B 구축과 2001 국민건강 영양조사 식이섬유 섭취량 재평가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 Yu, Kyung-Hye;Chung, Chin-Eun;Ly, Sun-Y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1 no.1
    • /
    • pp.100-110
    • /
    • 2008
  • The present study estimates intake levels of dietary fiber (DF) in Korean adults aged 20 and over, using a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for 3,149 food items, as well as 24-hour recall method data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fiber intake and food groups are analyzed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average dietary fiber intake, per capita of Korea was estimated to be 12.24g/1,000kcal or 23.58g/day. Calorie-based dietary fiber intake for 20-49 year-old-Korean males, 20-29 year-old females, and the adults who resided in metropolitan areas was under the Adequate Intake for DF, 12 g/1,000 kcal. Further, the dietary fiber intake after adjusting energy intake in people over 75 year-old was estimated to be 75% of AI. Vegetables, cereals and fruits were three major sources of DF for Korean, making up approximately 75% of DF. Regar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major sources of dietary fiber were Kimchi and well-polished rice, which supplied 13.98% and 9.16% of total dietary fiber intake,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RIs for dietary fiber, after adjusting energy intake for Korean aged 75 years and over. The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DF and the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is area should be continuously emphasized concerning 20-29 year-old people and metropolitan adult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 in Korean adults: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국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 : 2013~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Lee, Jung-Sug;Park, Hyoung-Seop;Han, Sanghoon;Tana, Gegen;Chang, Moon-Jeo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2 no.2
    • /
    • pp.227-24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using the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NHANES). Methods: The caffeine database (DB) developed by Food and Drug Safety Assessment Agency in 2014 was used to estimate the caffeine consumption. The food and beverage consumption of the 24 hr recall data of 2013 ~ 2016 KNHANES were matched to items in the caffeine DB and the daily caffeine intakes of the individuals were calculated. The sample was limited to non-pregnant healthy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ho were not taking any medication for disease treatment. Results: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 was 41.97 mg, and the daily intake of caffeine of 97% of the participants was from coffee, teas, soft drinks, and other beverage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caffeine intake did not affect metabolic syndrome, hypertension, low HDL-cholesterol, and abdominal obesity.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however, were 0.76 (95% CI: 0.63 ~ 0.93), and 0.87 (95% CI: 0.77 ~ 0.98) in third quintile (Q3), and 0.66 (95% CI: 0.53 ~ 0.82) and 0.83 (95% CI: 0.73 ~ 0.94) in fourth quintile (Q4) compared to Q1, respectively. Therefore, caffeine intake of 3.66 ~ 45.81 mg per day is related to a lower risk of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dequate caffeine intake (approximately 45 mg) was associated with a lower prevalence of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adequate level of caffeine intake for maintaining health.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한국인의 총 당류 섭취실태 평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Lee, Haeng-Shin;Kwon, Sung-Ok;Yon, Miyong;Kim, Dohee;Lee, Jee-Yeon;Nam, Jiwoon;Park, Seung-Joo;Yeon, Jee-Young;Lee, Soon-Kyu;Lee, Hye-Young;Kwon, Oh-Sang;Kim, Cho-Il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7 no.4
    • /
    • pp.268-276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otal sugar intake and identify major food sources of total sugar intake in the diet of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Dietary intake data of 33,745 subjects aged one year and over from the KNHANES 2008-2011 were us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on dietary intake was obtained by one day 24-hour recall method in KNHANES. A database for total sugar content of foods reported in the KNHANES was established using Release 25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a total sugar database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ing of processed foods. With this database, total sugar intake of each subject was estimated from dietary intake data using SAS. Results: Mean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was 61.4 g/person/day, corresponding to 12.8% of total daily energy intake. More than half of this amount (35.0 g/day, 7.1% of daily energy intake) was from processed foods. The top five processed food sources of total sugar intake for Koreans were granulated sugar, carbonated beverages, coffee, breads, and fruit and vegetable drink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otal sugar intake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as much higher (12 to 18 yrs, 69.6 g/day and 19 to 29 yrs, 68.4 g/day) with higher beverage intake that beverage-driven sugar amounted up to 25% of total sugar intak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ore elaborated and customized measures are needed for control of sugar intake of different subpopulation groups, even though current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was within the range (10-20% of daily energy intake) recommended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In addition, development of a more reliable database on total sugar and added sugar content of foods commonly consumed by Koreans is warranted.

Development of Integrated Hydraulic/Hydrologic Model with HyGIS (HyGIS와 연계한 수리/수문통합 모형의 개발)

  • Han, Kun-Yeun;Ahn, Ki-Hong;Kim, Kyung-Rock;Park, H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40-845
    • /
    • 2006
  • 본 연구는 수리.수문 모형화에서의 시공간 자료 분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국내 GIS엔진인 GeoMania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HyGIS와 수리.수문 연계모형을 확립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로, 현재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과 HEC-RAS 모형을 선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모형의 입 출력 구조, GIS와의 연계방안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HyGIS-HMS 모형과 HEC-RAS 모형의 개발은 국내 GIS엔진인 GeoMania-Pro와 Add-ON 방식으로 연계되어 구동되며, 입력자료는 GeoMania-Pro 프로그램 상에서 GUI에 의한 대화식으로 구성되었다.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DEM의 구축과 종합적인 유역분석 및 체계적인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자료구축과정을 제시하였고, 국내 하천유역 및 하도망의 Geo DB와 연계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Thiessen 계수 계산 결과에 신뢰성을 제고하였고, CN값 구성과정은 국내 유역상황과 자료구축과정에 적합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GRID를 이용한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자료구축 과정에 있어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고, HyGIS-HMS 모형 및 HyGIS-RAS 모형에 대한 입력자료의 구성이 편리하도록 GUI를 이용한 입력자료 구성 모듈이 적용되었고, 이러한 입력자료가 파일로 구성이 되어 각 모형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HEC-HMS 및 HEC-RAS를 이용한 HyGIS-HMS 모형과 HyGIS-RAS 모형을 개발함로써 국내유역에 대한 수리 수문 모델링시 사용자들이 하나의 GIS 엔진상에서 필요한 제반사항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엔지니어링 회사, 수자원기술자, 수자원관련 연구자들에 의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이 보다 향상될 것이다.>에서 $0.0190m^3/s$로, 갈수량$(Q_{355})$$0.0176m^3/s$에서 $0.0189m^3/s$로 약 7%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로부터 침투 트렌치는 저수량 및 갈수량을 증가시키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다.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 PDF

Development of Web Based Flood Inundation System - Basic research - (Web기반의 개발 - 기초연구 -)

  • Jun, Ji-Young;Seo, Young-Min;Yeo, Woon-Ki;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21-1125
    • /
    • 2006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이상기후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기후가 불안정해져서 예전보다 많은 집중호우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홍수의 규모와 발생빈도가 증가하면서 홍수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른 홍수피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홍수방지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홍수범람구역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서는 홍수범람도 작성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통신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터넷 사용의 증가로 많은 사용자들이 웹(Web)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고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면서 수자원 분야에도 정보의 공유와 자료의 통합을 위하여 Open GIS(The 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eb기반으로 홍수범람모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홍수 발생시 침수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실시간 3차원 홍수범람모의해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안지역 피해주민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시스템 상에서 정적인 지도로서 표현만 가능하던 것을 시공간적으로 유동성 있는 자료의 분석을 시각화하는 GIS 공간정보기술과 접목시켜 Web상에 동적인 지도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피해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둘째, Web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 홍수재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홍수범람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는 GIS DB를 구축하는 단계에 있으며, 향후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범람모의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석결과를 피해지역주민 및 관련기관 실무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재해관리와 신속한 재해 상황 대처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는 또 다른 형태의 주제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 PDF

A Study on the Digital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Kimchi Culture (한국 김치문화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e-Joo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1 s.59
    • /
    • pp.105-114
    • /
    • 2005
  • With the upcoming Digital age, it is time to develop digitalized contents based on cultural basis. in this respect, Kimchi is one of the most primal cultural content signifying Korean culture. It's no doubt the time to initiate the movement to digitalize the contents concerning Kimchi by gathering materials on the origin of Kimchi culturally and a great value to revive digital contents regarding Kimchi. Therefore, in this research, it is regarded that Kimchi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ultural value that is possible to inherit from generations and should be stratified on the database. A method explaning Korean Kimchi culture is sought in this paper. And It is focused on the culture of Korean Kimchi profoundly and focus on detailed context and varied styles of he digital contents. It is organized on the basis of various aged volumes regarding Kimchi classified by seasons, ingredients, Jonga Kimchi (Kimchi inherited from the oldest family by generations),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and 8 regional divisions of the nation. It is planned to set up digitally-focused library regarding cultural origin of contents and to present solidity and a feeling of being dynamic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 tourism, education, Kimchi and building basic infrastructure in entertainment industry. It is also applied to specialized industry by providing cultural contents and it could contribute to activation of Kimchi industry with e-Market and portal site regarding Kimchi. Moreover, it may re-establish the cultural value of Kimchi and provide the infrastructure in Kimchi-related industry such as Kimchi cyber museum, Kimchi Expo, Kimchi town by using educational materials in Education industry fields (regular curriculum and experience tour).

  • PDF

The effectiveness of genomic selection for milk production traits of Holstein dairy cattle

  • Lee, Yun-Mi;Dang, Chang-Gwon;Alam, Mohammad Z.;Kim, You-Sam;Cho, Kwang-Hyeon;Park, Kyung-Do;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v.33 no.3
    • /
    • pp.382-38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iciency of genomic selection for milk production traits in a Korean Holstein cattle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506,481 milk production records from 293,855 animals (2,090 heads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formation) were used to estimate breeding value by single step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Results: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milk, fat, and protein yields in the first parity were 0.28, 0.26, and 0.23, respectively. As the parity increased, the heritability decreased for all milk production traits. The estimated generation intervals of sire for the production of bulls (LSB) and that for the production of cows (LSC) were 7.9 and 8.1 years, respectively, and the estimated generation intervals of dams for the production of bulls (LDB) and cows (LDC) were 4.9 and 4.2 years, respectively. In the overall data set, the reliability of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GEBV) increased by 9% on average over that of estimated breeding value (EBV), and increased by 7% in cows with test records, about 4% in bulls with progeny records, and 13% in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The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between GEBV and EBV was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data from young bulls, i.e. 17% on average for milk (39% vs 22%), fat (39% vs 22%), and protein (37% vs 22%) yields, respectively. When selected for the milk yield using GEBV, the genetic gain increased about 7.1% over the gain with the EBV in the cows with test records, and by 2.9% in bulls with progeny records, while the genetic gain increased by about 24.2% in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and by 35% in young bulls without progeny records. Conclusion: More genetic gain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use of GEBV than EBV, and genomic selec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selection of young bulls and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An iodine database establishment and iodine intake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1998~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요오드 DB 구축 및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 추이 분석 : 1998~2014 국민건강영양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 Ko, Yu Mi;Kwon, Yong Seok;Park, Yoo Kyo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6
    • /
    • pp.624-64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iodine intake by establishing an iodine database of general Korean foods eaten by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1998 ~ 2014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Data on 56,818 subjec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obtained from health behavior interviews and a 24-hour dietary recall survey. Iodine intake of subjects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lifestyle, food groups, and cooking method. Results: An iodine database was established for 312 food items. The mean iodine intake of Korean adults decreased from $641.6{\mu}g$ in 1998 to $236.2{\mu}g$ in 2014 per day. Iodine intake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For age distribution, those aged 30 ~ 49 years constituted more than 39 ~ 46% of subjects by survey year. Regarding iodine intake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the highest iodine intake was 29.4 ~ 34.4% for lunch while that of breakfast decreased. The highest iodine contribution by food group was seaweed such as kelp, sea mustard, and lav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odine intake of Korean adults has been decreasing, and iodine intake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yroid diseas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estimation of iodine intake in Korean adults.

Development of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based on Frequency Response of Both Ends-Fixed Beam for Application to Continuous Bridges (연속교 적용을 위한 양단고정지지 보의 진동수 기반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 개발)

  • Roh, Hwasung;Lee, Huseok;Park, Ky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301-306
    • /
    • 2016
  • In bridge performance assessments, a new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model of simple bridges was proposed, which is based on the developed simple support impact factor spectrum. In this paper, a conservative assumption that the inner span with the both ends fixed boundary condition is ideal for applying the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for continuous bridges. The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response spectrum by comparing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and actual measurement data verified the applicability. The analysis was loading the moving load of DB-24 in a six-span continuous bridge, which was the same as the actual measurement data, the dynamic response was measured in the fourth span. The frequency of the bridge was obtained by FFT on the acceleration response and the span-frequency of sample bridge was calculated by the frequency. The impact factor of the sample bridge was determined by applying the span-frequency of the bridge to the proposed response spectrum; it was similar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ctual measured impact factor. Therefore, the method using the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based on the frequency response of both ends-fixed beam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an actual continuous bridge.

A study on the realtime renewal and update of digital map using general survey (일반측량 성과도를 활용한수치지도의 실시간 수정갱신 체계화 연구)

  • Lee Sang-Gil;Kwon Jay-Hyoun;Yang Hyo-Jin;Cho Seo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6-151
    • /
    • 2006
  • 현재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수치지도(Digital map)는 대부분 항공 측량사진(Air survey Photographs)이나 위성영상(Satellite images)을 통해 취득된 토지 피복의 형상을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들이다. 정사사진으로부터 취득된 지형정보를 기호화, 단순화한 수치지도는 실제 사물의 형태와 많은 차이가 있어 지형과 시설물의 변이를 사실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최근 들어 지하시설물이나 건축기술의 발달로 층별 구조가 다양해진 건축물의 형태 등은 정사사진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고 건물의 경우 지붕의 형태로 묘사되는 등 표현에 한계가 있다.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제작된 1/1,000수치지형도나 일부 지자체나 공공기관 등에서 제작된 $1/500{\sim}1/2,500$ 수치지형도는 상세한 지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높은 정밀도의 수치지도이지만, 도시지역의 변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자료 신뢰성과 최신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지조사나 측량에 의존하고 있는 정사사진으로부터 취득이 불가능한 지형자료의 취득이나 수년단위인 갱신주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으로 수치지도를 수정갱신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일반측량성과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측량업에서 생산되는 일반측량성과도는 임시 도근점에 의해 측량을 실시하고 지적경계점과 현황기지점을 도해법에 의해 지적도와 중첩시켜 제작한 측량도로서, 일반측량 성과도에 절대좌표체계를 부여하고 수치지도와 매칭 기법을 제시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신속한 실시간 수치지도 수정갱신체계를 확립할 수 있고, 자료의 공유함으로써 중복측량을 방지할 수 있다.보 등)를 활용, 구축된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구축시점에 따라 현재 및 장래 네트워크로 구분되며 장래 네트워크는 기준년도부터 2031년까지 5년 단위로 계획된 장래도로를 반영하여 구축된다. 교통주제도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국가교통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자료로서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4에 따라 공공기관이 교통정책 및 계획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승인절차를 거쳐 제공하며 활용 후에는 갱신자료 및 활용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