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2Q9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45초

廢 페인트 活性炭의 吸着特性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Waste-Paint Activated Carbon)

  • 박정호;박승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6호
    • /
    • pp.9-14
    • /
    • 2000
  • CSAC와 WPAC의 흡착특성을 보면 H공장 2차 처리수와 D공장 배출수에 함유된 ABS흡착에서 얻어진 Freundlich흡착등온식은 WPAC인 경우 q=23.12 $C^{ 0.42}$, q=18.32 $C^{0.38}$ 이고 CSAC인 경우 각각 $q=36.76C^{1.37}$ , q=26.67 $C^{0.42}$ 이었다. H공장 방류수의 파과점은 CSAC인 경우 680분이었고 WPAC는 610분이었다. 한편 D공장 배출수의 파과점은 CSAC인 경우 720분이었고 WPAC은 640분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SAC 대체물로서 WPAC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 Code의 Spectral Efficiency (Spectral Efficiency 0f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 Codes)

  • 지윤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117-123
    • /
    • 2013
  • 본 논문은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BIBD) code의 BER=$10^{-9}$을 만족하는 spectral efficiency를 구하였다. 이 계산 결과 effective power가 큰 경우 ($P_{sr}=-10$ dBm)는 m=2로 고정시키고 q값을 변화시키는 ideal BIBD code구성이 효율적이었다. 이와 반대로 effective power가 작은 경우 ($P_{sr}=-25$ dBm)는 ideal BIBD code 구성 보다는 q > 2인 값을 취하고 m값을 변화시키는 설계가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NUMERICAL METHODS FOR SOME NONLINEAR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 El-Borai, Mahmoud M.;El-Nadi, Khairia El-Said;Mostafa, Osama L.;Ahmed, Hamdy 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9권1호
    • /
    • pp.79-90
    • /
    • 2005
  • In this paper we study the numerical solutions of the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of the form $$du(x,\;t)=f(x,\;t,\;u)dt\;+\;g(x,\;t,\;u)dW(t)\;+\;\sum\limits_{|q|\leq2m}\;A_q(x,\;t)D^qu(x,\;t)dt$$ where $0\;{\leq}\;t\;{\leq}\;T,\;x\;{\in}\;R^{\nu}$, ($R^{nu}$ is the $\nu$-dimensional Euclidean space). Here $u\;{\in}\;R^n$, W(t) is an n-dimensional Brownian motion, $$f\;:\;R^{n+\nu+1}\;{\rightarrow}\;R^n,\;g\;:\;R^{n+\nu+1}\;{\rightarrow}\;R^{n{\times}n},$$, and $$A_q\;:\;R^{\nu}\;{\times}\;[0,\;T]\;{\rightarrow}\;R^{n{\times}n}$$ where ($A_q,\;|\;q\;|{\leq}\;2m$) is a family of square matrices whose elements are sufficiently smooth functions on $R^{\nu}\;{\times}\;[0,\;T]\;and\;D^q\;=\;D^{q_1}_1_{\ldots}_{\ldots}D^{q_{\nu}}_{\nu},\;D_i\;=\;{\frac{\partial}{\partial_{x_i}}}$.

  • PDF

REMARK ON THE MEAN VALUE OF L(½, χ) IN THE HYPERELLIPTIC ENSEMBLE

  • Jung, Hwanyup
    • 충청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6
    • /
    • 2014
  • Let $\mathbb{A}=\mathbb{F}_q[T]$ be a polynomial ring over $\mathbb{F}_q$. In this paper we determine an asymptotic mean value of quadratic Dirich-let L-functions L(s, ${\chi}_{{\gamma}D}$) at the central point s=$\frac{1}{2}$, where D runs over all monic square-free polynomials of even degree in $\mathbb{A}$ and ${\gamma}$ is a generator of $\mathbb{F}_q^*$.

LOCAL PERMUTATION POLYNOMIALS OVER FINITE FIELDS

  • Lee, Jung-Bok;Ko, Hyoung-June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39-545
    • /
    • 1994
  • Let $q = p^r$, where p is a prime. A polynomial $f(x) \in GF(q)[x]$ is called a permutation polynomial (PP) over GF(q) if the numbers f(a) where $a \in GF(Q)$ are a permutation of the a's. In other words, the equation f(x) = a has a unique solution in GF(q) for each $a \in GF(q)$. More generally, $f(x_1, \cdots, x_n)$ is a PP in n variables if $f(x_1,\cdots,x_n) = \alpha$ has exactly $q^{n-1}$ solutions in $GF(q)^n$ for each $\alpha \in GF(q)$. Mullen ([3], [4], [5]) has studied the concepts of local permutation polynomials (LPP's) over finite fields. A polynomial $f(x_i, x_2, \cdots, x_n) \in GF(q)[x_i, \codts,x_n]$ is called a LPP if for each i = 1,\cdots, n, f(a_i,\cdots,x_n]$ is a PP in $x_i$ for all $a_j \in GF(q), j \neq 1$.Mullen ([3],[4]) found a set of necessary and three variables over GF(q) in order that f be a LPP. As examples, there are 12 LPP's over GF(3) in two indeterminates ; $f(x_1, x_2) = a_{10}x_1 + a_{10}x_2 + a_{00}$ where $a_{10} = 1$ or 2, $a_{01} = 1$ or x, $a_{00} = 0,1$, or 2. There are 24 LPP's over GF(3) of three indeterminates ; $F(x_1, x_2, x_3) = ax_1 + bx_2 +cx_3 +d$ where a,b and c = 1 or 2, d = 0,1, or 2.

  • PDF

I/Q 불균형이 고려된 DVB-S2 시스템의 심벌 오류 확률 (Symbol Error Probability of DVB-S2 System with I/Q Unbalances)

  • 임인철;원승찬;윤동원;박상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9C호
    • /
    • pp.810-819
    • /
    • 2007
  • 90도 위상 천이기나 필터와 같은 불완전한 시스템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I(inphase)축과 Q(quadrature)축 간의 불균형은 피할 수 없는 물리적 현상으로 동기 변/복조 시스템(coherent modulation/demodulation system) 구현에 있어서 성능 열화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 환경에서 수신기의 I/Q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S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에 대한 정확하고 일반화된 심벌 오류 확률을 2차원 결합 가우시안 Q-함수(two-dimensional joint Gaussian Q-function)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의 형태로 유도한다.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天然林) 생태계(生態系)의 현존량(現存量) 및 물질(物質) 생산성(生産性)에 관한 연구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in Natural Forest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 송칠영;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43-452
    • /
    • 1996
  • 충청북도 충주지역에서 평균수령 67, 62년생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고 각 표준지에서 각각 10본의 표본목을 선정, 벌채하여 지상부의 현존량과 물질 생산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충주지역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의 추정에 상대생장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추정 방정식 모형으로는 $Wt=aD^bH^c$$Wt=a(D^2H)^b$, $Wt=aD^b$ 보다 적합하였고, 두 수종 모두 성분별 단목 현존량의 표본값과 추정치를 T-검정하여 본 결과 유의차는 없었다. 임분의 현존량은 신갈나무 임분의 지상부 총량이 130.6 t/ha였고, 굴참나무 임분이 137.4 t/ha였다. 부위별로는 신갈나무 임분의 경우, 엽 5.1 t/ha(3.9%), 죽은가지 3.5 t/ha(2.7%), 생지부 29.7 t/ha(23.0%), 수피 16.2 t/ha(l2.5%), 그리고 수간목부 74.9 t/ha(58.0%)였다. 굴참나무 임분은 엽 3.8 t/ha(2.9%), 죽은가지 2.9 t/ha(2.2%), 생지부 24.3 t/ha(l8.4), 수피 20.4 t/ha(15.5%), 그리고 수간목부 80.4 t/ha(61.0%)였다. 두 임분의 1년간 생산할 수 있는 지상부 총량은 각각 신갈나무 임분이 10.0 t/ha/yr, 굴참나무 임분이 8.6 t/ha/yr였다. 본 참나무 천연림은 장령림이지만 온대 활엽수림의 순생산량(5~10 t/ha/yr)과 거의 유사한 양을 보였다.

  • PDF

퍼지논리를 이용한 달천의 물리서식처 모의 (Physical Habitat Modeling in Dalcheon Stream Using Fuzzy Logic)

  • 정상화;장지연;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229-2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괴산댐 하류 달천에서 성어기 피라미에 대한 물리 서식처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퍼지논리에 의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는 CASiMiR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모의결과를 서식처 선호도 곡선을 이용하여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수리모형인 River2D 모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CASiMiR 모형의 수위 자료는River2D 모형을 통한 수위계산결과를 활용하였으며 현장측정자료와 비교한 결과 잘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상구간의 만곡부 상류 직선구간에 있는 여울에서 성어기 피라미의 서식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ASiMiR 모형의 경우$7.23m^3/s$의유량조건에서가중가용면적이최대값을보였고, River2D 모형은$9m^3/s$의 유량에서 최대 가중가용면적을 예측하였다. 또한 갈수량(Q355), 저수량(Q275), 평수량(Q185), 풍수량(Q95) 유량조건에서CASiMiR 모형은River2D 모형에 비해 가중가용면적을 0.3~25.3% 정도 과대 추정하는 결과를 보였다.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天然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 및 현존량추정식(現存量推定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Net Production and Biomass Estimation Equations in Some Natural Quercus Forests)

  • 박인협;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46-253
    • /
    • 1994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물질생산(物質生産)및 현존량추정식(現存量推定式)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순천대학교 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임관층(林冠層) 평균수령 26-29년생 상수리나무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과 36년생 신갈나무림 등 4개 수종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독립변수로 하는 3개 유형의 현존량(現存量) 대수회귀식(對數回歸式)을 임분별, 부위별 유도 검정한 결과 적합도(適合度)와 실용성(實用性)을 고려할 때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대수회귀식(logWt=A+BlogD)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4개 수종별 현존량 대수회귀식의 기울기와 절편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으로써, 참나무류의 현존량(現存量) 일괄추정식(一括推定式)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림 164.0t/ha, 굴참나무림 158.9t/ha, 졸참나무림 115.3t/ha, 신갈나무림 118.8t/ha로써 상수리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이 졸참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 비하여 40-50t/ha/yr. 정도 많았다 임분(林分)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상수리나무림 25.0t/ha/yr., 굴참나무림 23.2t/ha/yr., 졸참나무림 14.5t/ha/yr., 신갈나무림 12.6t/ha의 순으로 많았다. 임관층 평균수령과 순생산량을 고려할 때, 동일 임령의 경우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 신갈나무림의 순으로 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갈나무림의 경우 뿌리의 현존량(現存量)과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졸참나무림 3.20, 신갈나무림 2.95, 상수리나무림 2.87, 굴참나무림 2.80의 순으로 높았다. 졸참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은 상수리나무림과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은 높은 반면 현존량(現存量)이 적기 때문에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과 순생산량(純生産量)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밀리미터파 응용을 위한 MMIC 저잡음 증폭기 설계 (MMIC Low Noise Amplifier Design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

  • 장병준;염인복;이성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191-119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밀리미터파용 MMIC 저잡음 증폭기를 0.15$\mu$m pHEMT TRW 파운드리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증폭기 설계시 능동소자모델링과 EM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설계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모델의 단점을 기술하고 스케일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소자 모델을 사용하여 소신호 파라미터와 잡음 파리 미터를 정확히 예측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사용하며 2-단 단일 종지형 저잡음 증폭기 2종이 각각 Q-band(40~44 GHz)와 V-band(58~65GHz) 주파수 대역에서 설계되었다. Q-band 저잡음 증폭기의 경우 2.2 dB의 평균잡음지수와 18.3 dB의 평균이득이 측정되었으며 V-band 저잡음 증폭기의 경우는 65 GHz에서 14.7 dB의 평균이득과 2.9 dB의 평균잡음지수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하며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설계기법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도 정확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문헌과 비교하여 볼 때 잡음지수와 이득면에서 state-of-the-art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