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Net Production and Biomass Estimation Equations in Some Natural Quercus Forests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天然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 및 현존량추정식(現存量推定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In Hyeop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Moon, Gwang S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박인협 (순천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문광선 (순천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4.02.07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Four Quercus forests in Mt. Mohu were studied to investigate biomass, net production and effective biomass estimation method. Five $10m{\times}10m$ quadrats were set up, ten sample trees were cut and roots of three sample trees were excavated for dimension analysis in each fores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ccuracy among three allometric biomass regression models of logWt=A+BlogD, $logWt=A+BlogD^2H$ and logWt=A+BlogD+ClogH, where Wt, D and H were dry weight, DBH and height, respectively. Analysis of covaria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lopes and intercepts of allometric biomass regressions, logWt=A+BlogD, of four Quercus species. Biomass of Q. acutissima, Q. n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forests were 164.0, 158.9, 115.3 and 118.9t/ha, respectively. Net production of Q. acutissima,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forests were 25.0, 23.2, 14.5 and 12.6t/ha/yr.,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roots to total biomass and total net production of Q. mongolica forest was higher than that of three other species forests. Net assimilation ratio of Q. acutissima,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forests were 2.87, 2.80, 3.20 and 2.95, respectively. Relatively less leaf biomass of Q. serrata and Q. mongolica forests were the reason why total biomass and total net production of Q. serrata and Q. mongolica forests were less than those of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물질생산(物質生産)및 현존량추정식(現存量推定式)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순천대학교 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임관층(林冠層) 평균수령 26-29년생 상수리나무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과 36년생 신갈나무림 등 4개 수종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독립변수로 하는 3개 유형의 현존량(現存量) 대수회귀식(對數回歸式)을 임분별, 부위별 유도 검정한 결과 적합도(適合度)와 실용성(實用性)을 고려할 때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대수회귀식(logWt=A+BlogD)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4개 수종별 현존량 대수회귀식의 기울기와 절편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으로써, 참나무류의 현존량(現存量) 일괄추정식(一括推定式)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림 164.0t/ha, 굴참나무림 158.9t/ha, 졸참나무림 115.3t/ha, 신갈나무림 118.8t/ha로써 상수리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이 졸참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 비하여 40-50t/ha/yr. 정도 많았다 임분(林分)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상수리나무림 25.0t/ha/yr., 굴참나무림 23.2t/ha/yr., 졸참나무림 14.5t/ha/yr., 신갈나무림 12.6t/ha의 순으로 많았다. 임관층 평균수령과 순생산량을 고려할 때, 동일 임령의 경우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 신갈나무림의 순으로 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갈나무림의 경우 뿌리의 현존량(現存量)과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졸참나무림 3.20, 신갈나무림 2.95, 상수리나무림 2.87, 굴참나무림 2.80의 순으로 높았다. 졸참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은 상수리나무림과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은 높은 반면 현존량(現存量)이 적기 때문에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과 순생산량(純生産量)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