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haped larva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담륜자와 초기 D상 유생의 냉동보존을 위한 동해방지제의 선택 (Selection of Cryoprotectant for the Cryopreservation of Trochophores and Early D-shaped Larvae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 김영신;최윤희;이정용;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7-599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ryoprotectants for cryopreservation of trochophores and early D-shaped larvae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1,2-propanediol and methanol were used as cryoprotectant Each cryoprotectant was made to 1.0 M, 2.0 M, 3.0 M with dilution of 0.2 M fructose and 0.2 M sucrose. The trochophoers and early D-shaped larvae were immersed in each preparation for 10 minutes to reach equilibration and cryopreserved in liquid nitrogen. Survival rates of post-thawed trochophores and early D-shaped larvae in 2.0 M DMSO with 0.2 M sucrose were the highest as $91.4{\%}\;and\;78.9{\%}$, respectively.

  • PDF

Limnoperna fortunei 유생(幼生)의 성장(成長) 및 변태(變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etamorphosis and the Growth of Larva in Limnoperna fortunei)

  • 최신석;김정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18
    • /
    • 1985
  • The metamorphosis and the growth of larva in Limnoperna fortunei were studied from October, 1981 to December, 1983. 1) The larva of this species is observed in the three different stages in the form of D-shaped. The shell length of the larva in the early stage is $130.44{\mu}m$ to $143.60{\mu}m$ and in the middle stage $161.67{\mu}m$ to $184.11{\mu}m$. In the late stage the length size of the larva increases up to $194.55{\mu}m$ to $208.45{\mu}m$. The shell height is $103.19{\mu}m$, to $119.47{\mu}m$, $126.51{\mu}m$ to $157.63{\mu}m$ and $136.87{\mu}m$ to $176.35{\mu}m$ in the three stages respectively. Thus the growth ratio of shell length to shell height is 1:0.75. 2) The metamorphosing stage begins when the shell height becomes larger than $210{\mu}m$ and the shell length exceedes $260{\mu}m$.

  • PDF

4종 조개류 유생의 발생과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of Larvae of Four Bivalve Species)

  • 허영백;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8
    • /
    • 2000
  • 진주담치(Mytilus edulis), 홍합(Mytilus coruscus), 참굴(Crassostrea gigas) 및 진주조개(Pinctata fucata martensii)를 인위적인 방란 방정을 유도하여 이들의 수정란과 부유유생을 사육하여 난 발생, 유생의 성장 및 형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정란의 크기는 진주담치와 홍합이 각각 65.1 ${\mu}m$, 70.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각각 52.3 ${\mu}m$, 45.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다. 수정란에서 D형 유생으로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진주담치와 참담치는 자연수온(17.0$\pm$1$^{\circ}C$)에서 각각 47시간55분, 45시간 55분이 소요되었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수온 21.$0^{\circ}C$와 26.$0^{\circ}C$에서 각각 23시간 55분과 22시간이 소요되었다. 진주담치, 홍합, 참굴, 진주조개가 초기 D형 유생에서 부착기 유생으로 성장하는 데는 각각의 수온에서 각각 20일, 27일, 22일, 및 21일이 소요되었고 이때의 평균 각장의 크기는 각각 194.1 ${\mu}m$, 233.6 ${\mu}m$, 274.9 ${\mu}m$, 190.9 ${\mu}m$ 였다. 초기 D형 유생에서 초기 부착기 유생까지 각장(L)과 각고(H)의 상관관계는 높으며, 각장에 따른 각고/각장의 비율(H/L)은 진주담치: H/L : 0.002L+0.5334 (($R^2$ = 0.957), 홍합: H/L : 0.001L+0.603 ($R^2$ : 0.944), 참굴: H/L =0.001L+0.871 (($R^2$=0.550) 및 진주조개: H/L =0.001L+0.791 (($R^2$ = 0.700)로 나타났다

  • PDF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난 발생과 유생의 성장 (Egg Development and Lana Growth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박영제;이정용;김완기;이채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4
    • /
    • 2001
  • 동해안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난 발생, 수온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은 난경 77.3$\pm$2.7 $\mu\textrm{m}$의 분리침성란으로서 산란 6시간 후에 4세포기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60 시간 후에 각장 117$\pm$3 $\mu\textrm{m}$의 D형 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수온 10-2$0^{\circ}C$, 염분 28-34 ppt에서 정상 발생이 가능하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난 발생 속도가 빨라졌다. D형 유생은 수정 10일 후에 각장 160 $\mu\textrm{m}$ 전후의 각정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25일 후에 각장 250 $\mu\textrm{m}$로 성장하여 안점이 관찰되는 성숙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유생기 동안 각장 (SL)에 대한 각고 (SH)의 상대 성장식은 SH=1.0425SL - 27.731 ($r^2$= 0.9749)였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8$^{\circ}C$와 12$^{\circ}C$에서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2$0^{\circ}C$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16$^{\circ}C$에서 성장과 생존을 모두 양호하였다.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ba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수용밀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on the Egg Development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 민병희;김태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7-302
    • /
    • 2010
  • 개량조개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수용밀도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수온에 따른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W, $^{\circ}C$)에 따른 발생속도 (h, 시간)는 $18^{\circ}C$, $23^{\circ}C$, $28^{\circ}C$$33^{\circ}C$에서 D형 유생까지 각각 33시간 30분, 20시간 40분, 18시간 15분 및 15시간이 소요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2세포기 : 1/h = 0.1051WT - 1.4782 ($r^2=0.9926$) 8세포기 : 1/h = 0.037WT - 0.3686 ($r^2=0.9648$) 낭배기 : 1/h = 0.008WT - 0.0521 ($r^2=0.9134$) 담륜자 : 1/h = 0.0041WT - 0.0235 ($r^2=0.9072$) D형유생 : 1/h = 0.0024WT - 0.0102 ($r^2=0.9611$) 개량조개의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8.0^{\circ}C$였으며, 개량조개 수정란은 D형 유생까지의 발생률을 고려할 때 발생 가능한 수온은 $18-28^{\circ}C$, 적정 수온은 $23^{\circ}C$였다. 개량조개의 수정란이 D형 유생으로 발생 가능한 염분은 20-35 psu로 나타났고, 염분에 따른 수정란의 D형 유생까지 발생률을 고려할 때 최소 25 psu 이상이며 적정 염분은 30-35 psu였다. 수정란으로부터 D형 유생까지의 발생률을 높일 수 있는 수정란의 수용밀도는 사육수 1 ml 당 40개 이하로 나타났다.

흔한가리비, Chlamys nobilis의 자극방법별 산란유발 효과와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Various Stimulants on Spawning Induction and Early Development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in the Noble Scallop)

  • 원승환;한석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7-102
    • /
    • 2004
  • 흔한가리비, Chiamys nobilis의 산란유발 및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극방법별 효과와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산란유발방법으로는 햇빛노출자극방법이 자극 후 40분 이내 100%의 반응을 보여 반응시간이 가장 빨랐고, 그 외 자외선 조가 해수 자극방법에서도 70분 이내 100%의 반응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발생 가능수온은 15∼3$0^{\circ}C$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D상 유생에 도달하는 시간은 15,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63.5, 31.5, 18.5및 17.0시간이 소요되었다. 수온(WT: $^{\circ}C$)과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t: time)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2세포기: 1/t=0.0606WT-0.6194 ($r^2$=0.9791) 8세포기: 1/t=0.0304WT-0.3453 ($r^2$=0.9941) 상실기: 1/t=(1.0100WT-0.1049 ($r^2$=0.9663) 담륜자기: 1/t=0.0058WT-0.0618 ($r^2$=0.9848) D상유생: 1/t=0.0030WT-0.0282 ($r^2$=0.9731) 이들 관계식을 기초로 한 흔한가리비의 초기발생에 있어서 난 발생이 정지하는 생물학적 영도(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는 평균 10.44$^{\circ}C$였고, 수온별 발생 시 D상까지의 생존율은 $2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sisr 유생의 발생단계별 냉동-해동후 생존율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Larvae in Five Developmental Stages)

  • 김영신;최윤희;이정용;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5-38
    • /
    • 2001
  • 동해안산 북방대합의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유생단계를 선택하기 위해, 담륜자, 초기 D상 유생, 후기 B상 유생, 초기 각정기, 후기 각정기 유생에 대한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로는 dimethyl sulfoxide와 ethylene g1yco1를 사용하였다. 동해방지제에 각 단계의 유생을 10분간 두어 평형상태에 달하게 한 다음, 냉동하여 액체질소에 보존하였다. 해동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유생은 담륜자로서 동해방지제 2.0 M BMSO와 2.0 M ethylene glycol에서 생존율은 각각 97.4%와 85.0%였다. 발생이 진행된 유생일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의 산란유발 및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wning Induction and Larvae Breed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조필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0
  • 본 연구는 말백합 산업화를 위하여 어미성숙 관리한 인위성숙개체군과 시기별로 어미를 수송 채란한 자연성숙개체군을 산란유발 방법 별로 산란을 유도하여, 수정율, 부화율, D형 유생 발생률을 조사하였고, 유생사육 방법별로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인위성숙개체군의 간출시간별로 산란 유도한 결과 간출 4시간 및 8시간이 반응률이 23% 및 32%로 비교적 높았고, 수온 상승별로는 $28^{\circ}C$ 이상 되어야 반응이 시작되었다. 간출 및 수온상승 병행 시험구에서는 간출 4시간 및 $28^{\circ}C$에서 반응률이 45% 이상으로 나타났고, 29, 30, $31^{\circ}C$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말백합 어미는 간출시간보다는 수온상승에 반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미수송개체군의 시기별 산란유발 결과는 2009년 8월 6일이 반응률 67.6%, D형 유생 발생률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사육 시험 중 수온별로는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고려할 때 유생사육 적정수온은 $27-31^{\circ}C$, 최적수온은 $29^{\circ}C$로 나타났고, 염분은 25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수용밀도별로는 5 inds./mL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먹이생물에 따른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유생의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Larvae to Food Organisms)

  • 김태익;고창순;허영백;양문호;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0
    • /
    • 2011
  • 본 연구는 말백합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해 먹이생물의 종류 및 공급량을 조사하였고, 일정기간 절식 후 먹이생물의 재공급에 따른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생의 먹이생물은 I. galbana, C. calcitrans, N. oculata를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공급할 경우 C. calcitrans를 D형 유생 1개체당 3,000-5,000 세포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D형 유생을 일정기간 절식 후 먹이생물을 공급한 경우 먹이생물을 공급한 시점부터 4일째에 평균각장 $192.5{\mu}m$ 이상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다. 생존율은 절식기간이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상북도 재첩자원 분포 및 생태 조사 1.경상북도산 재첩선(Corbicula) 이매패류 (Distribution and Ecology of Genus Corbicula in the North Kyungsang Province I.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Genus Corbicula in the North Kyungsang Province)

  • 주문규;변경숙;장명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81-592
    • /
    • 1998
  • 경상북도에서 채집된 재첩은 일본재첩 C. japonica, 참재첩 C. leana, 엷은 재첩 C. papyracea 등 3종으로 동정되었다. 채집된 일본재첩 C. japonica 의 최대크기는 각장 42.6mm, 각고 35.4mm, 각폭 22.3mm로, 자웅이체 난생종이었다. 성숙하면 난소는 회흑색, 정소는 유백색으로 육안으로 쉽게 암수 구별이 가능하며, 주산란기는 7~8월로,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모포전, 포항시 연일읍 생지리 현산강, 포항시 흥해읍 곡강동 곡강천,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송천강,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 반변천 등 5개 장소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재첩 C. leana 의 최대크기는 각장 35.2mm, 각고 30.4mm, 각폭18.5mm로 전체 모양은 정삼각형에 가깝다. 자웅동체로 난소와 정소의 색 모두 유백색이어서 육안적으로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주 산란기는 7~8월로 일반적으로 웅성선숙 경향을 보이며 유패는 모체 아가미에서 D상 자패(D-shaped larva)까지 보육되다가 모체에서 떨어져나와 바로 저서생활로 들어가는 난태생종이다.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모포천, 울진군 온정면 평해리 남대천, 영주시 단상면 옥대리 죽계천,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하고천, 영천시 화남면 삼창리 선원천 등 5개소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엷은 재첩 C. papyracea 의 최대크기는 각장 15.2mm 각고 12.0mm 각폭 7.4mm의 소형종으로 옅은 황갈색에 녹색이 강한 편이다. 타 종에 비하여 각폭이 작고 성장맥은 가늘고 폭이 좁으며 매우 치밀하다. 안동에서만 10개체 채집되었을 정도로 분포가 제한되어 있는 종으로, 유패는 모체 아가미에서 D상 자패기(D-shaped larva)까지 보육되다가 모체에서 떨어져 나와 바로 저서생활로 들어가는 난태생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