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Standards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초

변혁적 역량 함양을 위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교육과정 개발 성과 탐색 (Exploring Development Achievement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to Cultivate Transformative Competency)

  • 곽영순;김종희;김현종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고등학교 지구과학 TF팀에서 수행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분야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의 철학적 배경과 성과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로,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지구과학 분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관련성,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비추어 본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 구성과 선택과목 구성, 지구과학 분야의 탐구 기반 교수학습의 특징 등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지구과학 분야를 포함하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과학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강조하였으며, 지구과학 분야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는 학습 나침반 바늘을 구성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중심으로 핵심 아이디어와 성취기준을 구성하였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선택과목별 특성에 맞추어 과목별 영역과 지식·이해 내용요소를 구성하였다. 또한, 지식 생산 역량을 갖춘 학생 행위주체 육성을 위해 과학과 과정·기능에 부합하는 IB형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가 수준 그리고 총론 수준에서 교육 과정 대강화의 필요성, 가치·태도에 대한 과정중심 평가 방안 개발보급, 및 백워드 설계 형태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과학과 탐구의 과정·기능에 입각한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통한 학생 행위주체의 과학 역량 함양 방안 등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중학교 과학 및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화와 에너지 단원의 내용 중복 및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and Sequ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r and Textbooks in Middle School about 'Digestion' and 'Energy')

  • 심왕섭;이현동;박경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1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내용 중복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 중복성 분석 및 주제 선정을 위하여 과학과 기술 가정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서 각 1종을 선택하여 '소화'와 '에너지'에 단원에서 제시된 개념의 중복성을 분석하였고 개념도를 통해 개념의 수준, 전체적인 구성 및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교과서의 중복성을 분석한 결과 소화와 에너지에 관련된 4개의 성취 기준이 중복되어 있었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소화는 22개 개념이 에너지는 9개의 개념이 중복되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개념을 기술할 때 과학 교과서에서는 그 내용이 상세하게 제시된 반면 기술 가정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예시나 유형이 제시되어 있지만 그 내용의 수준이 다소 낮았다.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표현한 사례도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두 교과의 중복된 내용에 대한 교수에 있어서 학습의 선후 관계나 연계성을 고려한다면 교육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의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1-183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수선과 재활용'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의복선택과 구입'에서 '의복마련계획', '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 '품질표시'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의복 손질과 관리'에서 '세탁물 분류하기', '얼룩빼기', '물세탁하기', '의복수선과 재활용'에서 '의복 수선하기', '옷 고쳐입기', '친환경적의생활'로 구성되었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진로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cluded in Family Life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박예라;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75
    • /
    • 2022
  • 이 연구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21)에서 개발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교과서 분석을 위한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서 진로교육 내용 반영 수준은 생애 설계와 진로 선택 단원이 87개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의 발달 특성 단원이 36개,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양립 단원이 31개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으로는 다양한 직업인의 탐색(24.30%)이 가장 많았고, 미래사회의 변화 탐색(22.74%), 직업세계의 변화 탐색(18.66%) 순으로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가정생활 분야)에 반영된 진로교육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관찰과 측정 기준 분석 (An Analysis of Observation and Measurement Standards in Foreig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 이봉우;김희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과학 교육에 나타난 탐구기준 중 관찰과 측정 기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과학 교육 기준, 미국 캘리포니아주, 메사츄세츠주, 콜로라도주, 텍사스주, 네브라스카주, 버지니아주, 플로리다주, 영국, 싱가포르, 캐나다 앨버타주, 호주 빅토리아주, 뉴질랜드의 과학교육 과정에 나타난 탐구 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외국 교육 과정은 관찰 요소에서 관찰의 정확성, 관찰 과정에서의 신중함과 체계성, 오감의 사용, 관찰 도구의 사용, 관찰에 대한 이해의 5가지 특징적인 세부 기준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측정 요소에서는 측정의 체계성과 정확성을 강조하고, 측정 대상을 명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를 학년별로 제시하였고, 측정에서 적합한 단위의 사용을 강조하는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Context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97-413
    • /
    • 2010
  • 교사가 자기평가를 통해 많은 평가 요소를 일일이 측정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평가기준 요소가 방대하거나 해당 내용이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라면 그 기준의 달성 여부를 판가름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분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 및 의미가 높은 수업평가를 위한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부문에 초점을 두어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PDF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1-263
    • /
    • 2011
  • 학교 교육의 내실화 및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가 수준의 차원에서 좋은 수업 선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그리고 교사 지식에 관한 특징 규명 및 이를 통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등이 교과별로 꾸준히 시행되어 왔다. 이의 궁극적 목적은 교사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의 계발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자 함이다. 이의 실천적 방안의 하나로, 교사 자신 및 동료 교사의 수업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에 관한 평가기준 개발 및 관련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교사 지식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에 초점을 두어 이 에 적합한 수업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성취기준 통합 데이터 모델을 통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an Achievement Evaluation Support System Us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Integrated Data Model)

  • 정현숙;김정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5-125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성취평가제의 적용과 확산으로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 평가에서 있어서 경쟁적인 상대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각각의 평가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학업 성취를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설계와 수행 및 평가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성취수준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료, 수업설계 자료, 학습내용 자료, 평가설계 자료, 평가결과분석 자료 및 피드백 자료들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기반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한 통합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대쉬보드 웹페이지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학생평가지원포털과의 검색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퀄리티를 평가하였다.

한·일 초등학교의 공간구성 실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Space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Japan)

  • 최형주;조진일;박희원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25
    • /
    • 2013
  • This study aims on finding a direction of desirable space organization of future elementary school in Korea by analyzing current status of space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Japan. In this study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facility standards on national level and standards of national subsidy, current status of number of schools and students, transition of changes in facility area of elementary school for last 10 years are included. In Korea and Japan each 7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constructed after 2007 and are good in space organization and school planning are selected.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on physical educational conditions and facilities such as current status of space organization and how to use them are conduct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analyzing space organization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has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