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landscape

검색결과 1,096건 처리시간 0.027초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함의(含意)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Suwon Palkyong and the Im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s)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0-102
    • /
    • 2008
  • This paper has aimed to determine how the Suwon Palkyong(水原八景: eight scenic wonders) were formed and the implicature of landscape, such as implicit intention and symbolic significance. For this, the significance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uwon Palkyong from the time of the 'Hwaseong Chunchu Palgyeong(華城春 秋入景)'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litical and social arguments in Suwon Palkyong that surrounded the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contains a variety of significant elements and factors of Pungmul(Korean drum & dance) as well as formative elements such as a castle. Plantings for beautiful scenery and water use for flood control have also been major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Hwaseong. Therefore, it seems that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catchphrase for the future image of the urban landscape. Most Suwon Palkyong sites such as Paldalsan, Namje, Yungneung, Manseokgeo, Chukmanje, Hwahongmun, and Yongji(a pond in Banghwa Suryujeong) are related t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Gwanggyo Jeokseol(光敎積雪: the landmark mountain, Mt. Gwanggyo with snow)' and 'Paldal Cheongnam(八達晴嵐: Mt. Paldal with shimmering air)' have also been added to Suwon Palkyong. Suwon Palkyong i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with water including the origin of Suwoncheon(水原川), an artificial reservoir for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and Bibopungsu in Yungneung(隆陵), as well as the source of water for rituals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正祖大王). Based on Suwon Palkyo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ater is a decisive medium in connecting old Suwon with Hwaseong New Town and essential element in the na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while Hwaseong is a 'Designed Landscape' that was created with a specific inten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Desired Landscape' that envisioned a future landscape while Suwon Palkyong is an 'Evolved Landscape' related to the business affairs of the citizens. To completely restore Hwaseong, whose value and importance have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erefore, the fundamental restoration of a cultural landscape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Hwaseong landscape including Suwon Palkyong is essential.

전통조경 관련 국제통용 용어 고찰 - 정원·공원·도시경관에 관한 국제 문서와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Terminology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Based on Big Data Analysis on International Documents and Research Papers of Gardens, Parks and Landscape -)

  • 서자유;정해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
    • /
    • 2021
  • 이 연구는 전통 조경의 개념 정의와 적절한 영문표기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적절한 개념의 확인을 위해 국제 문서에서 쓰인 관련 용어를 종합하고, 국제권 연구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ICOMOS의 '역사적 정원에 관한 헌장(플로렌스 헌장, 1981), ICOMOS와 IFLA의 '역사적 도시공원에 관한 문서(뉴델리, 2017)', '역사도시경관에 관한 유네스코 권고(파리, 2011)'를 분석하여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 공간과 대상, 가치와 활동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전통조경 관련 국제권 연구는 ScienceDirect에서 역사 문화와 관련된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와 조경 관련 garden, park, landscape를 포함하는 연구 논문을 취합하여 각 용어가 어떤 성격으로 사용되는지를 살피고, 조경의 역사문화성을 표현하기 위한 적합한 명칭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제 문헌에서는 '역사적(historic)' 정원·공원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전통(traditional) 조경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조성기법, 생태적 의미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역사(historic) 조경은 조경사적인 의미의 정원·공원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관학협력을 통한 역사도시경관의 보존, 관리 및 활용 사례연구 -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오거스틴 역사지구 -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Historic Urban Landscape through Government-Academy Cooperation - A Case Study on Historic District of St. Augustine, Florida, USA -)

  • 김순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55-1064
    • /
    • 2015
  • A historic urban landscape has to be preserved wholly, not only as a cultural heritage site, but also as an environment and a neighborhood. However, cultural heritage sites have their own unique social-commercial environments, and these are not easy to integrate during the preservation process even though they are located in the same area. To examine ways of overcoming the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 preservation of heritag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preservation of St. Augustine, Florida in the United States. The preservation of St. Augustine's historic urban landscape can be identified by its unique system of government-academy cooperation. For integrated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landscape of St. Augustine, Florida's state government owns the properties, which are not designated but have a heritage value, and are located next to the nationally designated heritage sites. The properties receive trust administration by the University of Florida. This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university can benefit both stakeholders. To the government, the relationship gives the benefit for professional, long-term management for the properties and their environments. To the university, the cooperation provides a place for practical education, funding,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and management. The government-academy cooperation model argued for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many Korean historic cities' urban landscape preservation planning.

어계(漁溪) 조려(趙旅)의 은둔과 문화경관 (The Eyogye Cho Lyeo and His Secluded Cultural Landscapes)

  • 이행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3-90
    • /
    • 2011
  • 본 연구는 어계 조려 선생의 시작품과 그의 세거지 및 후대에 조성된 문화경관 요소들을 통하여 조선전기 은둔자로서, 선비로서 지켜 나갔던 은둔문화 경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지로는 그의 세거지였던 원북재, 채미정, 고마암, 묘소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어계집(漁溪集)" 등과 같은 관련 고문헌의 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세거지에 나타난 경관요소의 파악, 그리고 조려의 은둔문화 경관 특정 분석,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의 분석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조려는 단종의 폐위와 함께 성균관에서 고향으로 은둔하여 세상과 결별하면서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2) 그의 출처관에 영향을 주었던 인물로는 성균관 동학이었던 류계분, 배중후 등과 생육신으로 교분을 나누었던 원호, 김시습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과 은둔관을 같이 했다. 3) 조려의 은둔이 갖는 의미는 호 '어계'에서처럼 어부로서의 은둔관을 표명한다. 이러한 은둔문화는 독특한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데, 행동의 집중화 현상, 절대 은둔의 기행, 산천유람과 풍수지리학의 조예, 은둔의 고집스런 지속성, 실천효행의 유가적 자세 등이 있다.4) 은둔문화의 경관영역을 네 곳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 바, 조려 당대의 은둔문화 경관과 후손과 사람들에 의해 전승되어진 경관전승으로 파악할 수 있다. 5)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을 분석한 결과, 경물로는 식물,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등이 있었으며, 표현되어진 주제의식으로는 '유가적 은둔', '아취있는 은둔', '충절의 은둔' 등으로 나타났다.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 (The Invasive Alien Plants and Management Plans of Traditional Temples in Gyeongju - Focused on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

  • 유주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4-58
    • /
    • 2022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는 유명한 문화재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경주국립공원과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해 환경적, 문화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화재의 고유환경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전체 식물상은 73과 136속 154종 3아종 11변종 4품종 5잡종 12재배품종의 188분류군이며, 조경식물은 163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침입외래식물은 13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3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조경식재와 같은 인위적 원인도 있지만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도 있었다. 사찰의 주차장은 간섭과 교란이 많아 침입외래식물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사찰의 조경식재는 한국의 자연환경 및 전통경관에 맞는 자생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재 중심의 식재지침 개발이 요구된다. 두 번째, 전통사찰은 환경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침입외래식물의 식재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해 주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전통사찰의 경관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입지환경,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을풍수의 문화생태 - 지리산권역의 마을을 사례로 - (Cultural Ecology on the Village Fengshui)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9-269
    • /
    • 2011
  • 전근대사회의 풍수는 마을주민들에게 있어서 오늘날의 문화생태적 환경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마을사람들은 마을의 국지환경에 대해 풍수형국이라는 상징체계로 관계를 맺고 대응하였다. 마을 풍수를 통한 문화생태적 기능은 마을의 공간적 입지 규정, 인구 유입, 마을공동체의 생산 건축 활동 및 토지이용규제, 마을의 환경수용능력 규준, 환경관리, 주민공동체의 집단적 환경 의식 및 태도 형성 등으로 나타났다. 마을 풍수는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문화적 적응전략으로서, 마을의 지속가능한 환경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문화생태적 방식이자 지식체계라고 평가할 수 있다.

  • PDF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A Study on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through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 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과거 전통조경공간의 설계 및 시공과 오늘날 이를 유지 계승하기 위한 문화재수리 및 정비 등의 시공방법을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토대로 서술방식,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 추출, 시공방법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서술방식 및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을 살펴본 결과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생활공간 전반의 시공방법을 집대성한 백과사전서로 구성요소별 시공방법의 사용처, 효과, 장·단점을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전통조경공간 시공의 제도의 보급을 목적으로 삼았다.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의 공정 전반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기초공사,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이 전통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통조경공간 시공방법을 기초공사와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지붕공사 중 기와지붕 조성은 서까래 위에 산자를 설치하고 기와를 쌓았으며, 초가지붕은 볏짚을 여러 다발로 묶어 차례로 지붕을 덮었다. 석판지붕은 기와 대신 얇고 넓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너와지붕은 나무판자를, 굴피지붕은 건조시킨 굴피를 여러 겹으로 깔아 조성하였다. 조경공사는 주로 잡석다짐을 통한 포장기법과 여러 단을 조성하고 상부에 석물이나 화초나 관목 등을 식재하는 화계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담장공사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을 다져 쌓은 토담, 돌과 진흙을 사용한 돌담, 기와로 무늬를 만든 영롱담, 널판을 벽면으로 사용하는 판장 시공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시공방법을 비교해보면,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전통공간의 신규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시공 절차를 제공하여 시공의 범위 설정에 차이가 있다. 또한 과거 전통조경공간은 일상거주공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서 기 구축된 시설의 유지관리 공정이 이루어지며,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이 추가되었다. 전통지식의 계승 차원에서 과거의 시공방식은 오늘날 문화재 수리에도 일정 부분 유사한 방법들이 확인되며, 일부 소재나 배합방식, 후대 추가된 시설의 구분, 효율적인 시공방식의 도입 등 전통기술을 재구성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남대문 및 주변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Visual Preference Study on Namdaemun and its Surroundings Using Visual Simulation Techniques)

  • 조시현;진양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24
    • /
    • 1997
  • On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policy to handle and landscape of cultural and historical property had to do with people's visual preference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people's visual preferences toward the landscape of cultural /historical property, specifically dealing with 'Namdaemun', which is the first class cultural property of Korea. People's visual preference was specifically examined into the four specific concepts : 'visual identity','harmony','beauty of the target property', and 'overall beauty'. Two objective variables, such as, 'distance' between the viewer and the cultural property, and 'height' of background buildings were considered possible predictors of the four visual preference variables. Photos of 'Namdaemun' were taken at three different directions and at three different distances. The photographed images of 'Namdaemun' were transferred ito the digitalized graphic images, where the height of background buildings was artificially changed and simulated. The simulated visual images were taken into the slides again. A total of 59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t Seoul City University were sampled as subjects. A series of 17 slides were shown to the subjects four times.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eck their preference ratings concerning the four concepts on a 7-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results of ANOVA, it was clear that people visually preferred the view where the height of background buildings were lower than 15 floors to the view of more than 15 floors . 2) From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harmony','visual identity' and 'beauty of the target property' were direct predictors of 'the overall beauty'. The 'height ' of background buildings and the viewer's 'distance' were not found to be direct predictors, however, they demonstrated their effects on 'the overall beauty' through the other variable, which were direct predictors of 'the overall beauty'. In sum, the longer the distance and the higher the background buildings, the lower people's preference with the 'overall beauty'. These indirect paths, in turn, also explain why and how the 'height' of background buildings and the viewer's 'distance' negatively influence the 'overall beauty'. An implication from the these results is that when the height of background buildings were not controllable, there would be some other strategies for improving people's visual preference toward the historical /cultural view. To increase 'visual identity' of the cultural property, for example, changing colors of the cultural property or increasing the lighting level, etc., would be one strategy, since the increased 'visual identity' will, in turn, increase 'the overall beauty'.

  • PDF

광양역사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for Kwangyang Station)

  • 김신원;이시영;조광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48
    • /
    • 2003
  • The Office of Korean National Railroads announced a design competition for Kwangyang Station and sought design proposals in October of 2002. The authors collaborated on a landscape design for Kwangyang Station and earned first prize in the competition. The Office decided to construct outdoor public spaces of Kwangyang Station for railroad users, visitors and staff, and local residents. The landscape design covers the following: site inventory and analysis; integration of design program and site analysis; evaluation of design concept; selecting a winning design alternative; schematic design including circulation form and spatial form; and design development including subarea design. In the design process, the authors focused on the integration and interpretation of site conditions as related to the Kwangyang Station building. They also collectivel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major areas in the design of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1) a plaza for waiting, 2) an entry area for passengers, 3) a train cafeteria, 4) a cultural plaza, 5) an image wall, and 6) a symbolic pond. The plaza for waiting is created as a place for users to wait and rest. The entry area for passengers provides an area for pedestrians approaching, passing and strolling. The train cafeteria features trains, lawns, grasses and trees. The cultural plaza is a main area represen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wangyang. This plaza also provides an area for various public events. The image wall is meant to be an exhibition space for displaying the advancements of Korean National Railroads in sculptural image forms. The symbolic pond consists of an area with symbolic water features and several sculptures with artistic value. In the authors' design,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are created as a new type of public realm with function, regional quality, original identity, cultural context, symbolic meaning and images, and beauty. The designed spaces would b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laces of interest and attraction in Kwangyang.

Appleton과 Bourassa의 ′경관미학′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ory in the Aesthetics of Landscape: A criticar neview of J, Appleton and S. Bourassa)

  • 배정한;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22
    • /
    • 1995
  • Philosophers Of aeBthetics have tended to limit their Suhject to include only objects Of art. In contrast to art objects, landscapes include elements of both art and nature, 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 are ordinarty ones. Thus, the theoretical alternatives, that cannot be like the traditional aesthetic dogma of art, must be explored. Jay Appleton's theory is the firsts attempt to develop a comprehensive theory of landscape aesthetics. He concentrates on the question 'what do we like about landscape and why do we like it ' He takes the assumption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is pleasurable or satisfying, and suggests the biologically oriented theory, called 'prospect-refuge theory.'Although his theory is stimulating and highly speculative, it depends on the 'aesthetic attitude' theory of Kantian thought. His theory can be criticized for its biologically deterministic nature and its reductionism To respond to Appleton's shortcomings, that i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biological and cultural explan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Steven Bourassa tries to combine biological, cultural, and personal modes in a comprehensive paradigm for research in landscape aesthetics. This tripartite paradigm seems to promise to be meaningful if helping to pose important questions as well as in. avoiding conceptual errors about aesthetic domain of landscape. However, Bourassa's theory fails to integrate such three separate kinds of moder In the final analysis both Appleton and Bourassa present same succeases in expanding the scope of aesthetics to embrace landscape. Most important for a theory in landscape aesthetics must be its ability to enlarge our awareness of the aesthetic domain and its sound logic and evidence to criticize our problematic beliefs about he aesthetic idea of landsc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