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Background of Suwon Palkyong and the Im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s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함의(含意)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paper has aimed to determine how the Suwon Palkyong(水原八景: eight scenic wonders) were formed and the implicature of landscape, such as implicit intention and symbolic significance. For this, the significance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uwon Palkyong from the time of the 'Hwaseong Chunchu Palgyeong(華城春 秋入景)'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litical and social arguments in Suwon Palkyong that surrounded the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contains a variety of significant elements and factors of Pungmul(Korean drum & dance) as well as formative elements such as a castle. Plantings for beautiful scenery and water use for flood control have also been major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Hwaseong. Therefore, it seems that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catchphrase for the future image of the urban landscape. Most Suwon Palkyong sites such as Paldalsan, Namje, Yungneung, Manseokgeo, Chukmanje, Hwahongmun, and Yongji(a pond in Banghwa Suryujeong) are related t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Gwanggyo Jeokseol(光敎積雪: the landmark mountain, Mt. Gwanggyo with snow)' and 'Paldal Cheongnam(八達晴嵐: Mt. Paldal with shimmering air)' have also been added to Suwon Palkyong. Suwon Palkyong i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with water including the origin of Suwoncheon(水原川), an artificial reservoir for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and Bibopungsu in Yungneung(隆陵), as well as the source of water for rituals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正祖大王). Based on Suwon Palkyo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ater is a decisive medium in connecting old Suwon with Hwaseong New Town and essential element in the na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while Hwaseong is a 'Designed Landscape' that was created with a specific inten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Desired Landscape' that envisioned a future landscape while Suwon Palkyong is an 'Evolved Landscape' related to the business affairs of the citizens. To completely restore Hwaseong, whose value and importance have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erefore, the fundamental restoration of a cultural landscape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Hwaseong landscape including Suwon Palkyong is essential.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욱(2002a) 실학 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 김동욱(2002b) 화성성역의궤의 건축사적 의의. 진단학보 93: 473- 495
  3. 김동훈, 강건희(2002) 역사적 문화유산 수원 화성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10): 35-42
  4. 김영모, 이선, 진상철, 장종수(2004)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39-53
  5. 김현정, 김정태(2004) 성곽의 야간경관조명 실태조사;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9-56
  6. 박동석, 정종수, 이재근, 최종희(2007) 수원 화성의 조망 및 조망 경로를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1-25
  7. 박정혜(2002) 화성성역의궤의 회화사적 고찰. 진단학보 93: 413- 471
  8. 박천우, 김은진(2003) 화성 축성에 관한 연구; 정다산의 성설을 중심으로. 장안대학 장안논총 23: 524
  9. 박춘균, 이재근(2000) 지형, 지세가 성곽축성 높이에 미치는 영향: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1-10
  10. 박현모(2001) 정조의 정치와 수원성; 화성건설의 정치적 의미. 한국과 국제정치 17(1): 65-100
  11. 백종철(2007) 정조시대 화성의 가로, 녹지, 수리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사예연구소(2000) 정조대왕.화성관련자료 전시도록. 58-60
  13. 성동환 (2001) 현륭원 천원과 화성건설을 통해 본 정조의 풍수지리관. 한국사상사학 17: 121-167
  14. 손민호, 최종희, 이우균(2004) 수원성 방화수류정 권역의 입지와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03-111
  15. 손정목(1976) 세계최고의 계획된 신도시-화성; 신도시 화성건설의 이념과 수법. 도시문제 11(9): 51-86
  16. 수원시, 수원시운화원(1994) 국역화성성역의궤
  17. 수원시(1991) 우리고장의 역사와 문화. pp. 130-148
  18. 수원시(2000a) 수원의 옛지도. 현대자문화사. p. 36
  19. 수원시(2000b) 화성기본계획
  20. 수원향교(2002) 수원향교지. pp. 844-850
  21. 심승구(2006) 수원 화성행궁 앞 공간의 문화 복원과 전망: 21세기 한국문화의 위상과 성찰. 인문콘텐츠 8: 197-213
  22. 안경환(2001) 수원 화성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원대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16: 87-94
  23. 안장리(2007) 조선시대 왕의 팔경 향유 양상. 동양학.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42: 43-65
  24. 양성욱(2007) 아름다운 근대역사문화도시의 풍경 보전. 건축. 2007년 5월호. pp. 46-50
  25. 오민근(2007) 역사.문화의 경관관리에 의한 공간문화와 지역문화의 창조적 형성. 문화경관 보존과 형성/전주시 Artpolis 실현을 위한 심포지움자료. 전주시/전북대학교. pp. 69-82
  26. 오정학, 허상현(2006) 외국인 관광객의 문화관광 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1(2): 141-154
  27. 유봉학, 정해득(1999) 수원지명총람 수원시, 수원문화원. pp. 61-75, 249-257
  28. 윤종태(2002) 수원화성(유천성) 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경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효진, 이종호(2007) 한일 양국에 있어 역사적 계획도시의 도시공간구조 형태특성 및 변화과정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화성과 일본 히코네성의 사례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4D): 525-533
  30. 이태식, 김정현, 이동욱(2004) 역사적 토목 구조물 수원 화성. 자연과 문명의 조화 52(9): 97-101
  31. 장미아, 김남기, 배재수, 김진성(2007)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32. 전종한(2006) 지역 문화의 해석에 있어서 경관 연구의 함의. 중원문화논총 10: 65-87
  33. 정기호(1994) 수원 화성축조계획의 분석 개략. 생명자원과학연구 1(1): 33-37
  34. 정민채(2001) 화성에 대한 수원시민의 관광이미지 분석. 관광지리학 15: 221-237
  35. 최영진(1973) 화성성역 당시의 식수조경에 관하여. 기전문화연구 3: 163-17
  36. 최은주(2001) 조선전기 팔경시 창작 경향. 대동한문학 15: 299-331
  37. 허소영(2000) 도시문화유산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수원시 화성의 문화유산 보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靑木陽二, 榊原映子(2007) 八景の分布と最近の硏究動向. 日本國立環境硏究所硏究報告. 第197號: pp 93-105
  39. http://www.suwoncity.net/www2/bbs/board.php?bo_table=city_10&wr_id=54&page=.)
  40. http://www.joongboo.com/html/news_view.asp?articlenum=20499000000000&div=5
  41. http://www.nonghyup.com/addoorae/doorae200407/doorae200407_05_02.jsp
  42. http://www.suwoncity.net/www2/bbs/board.php?&bo_table=culture_06&wr_id=4
  43. http://jbs.pe.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z2_6&wr_id=21&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