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Terminology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Based on Big Data Analysis on International Documents and Research Papers of Gardens, Parks and Landscape -

전통조경 관련 국제통용 용어 고찰 - 정원·공원·도시경관에 관한 국제 문서와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

  • Seo, Ja-Yo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Jung, Hae-Jo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 서자유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정해준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Received : 2021.10.14
  • Accepted : 2021.12.1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nd the appropriate English notation. To confirm the appropriate concept, the charter's relevant terminology was synthesised an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used in international studies was examined. ICOMOS The Charter on Historic Gardens(The Florebce Charter, 1981),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arks(New Delhi, 2017), and UNESCO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Paris, 2011) were analys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the words describing definitions, space, objects, value, and activity were arranged. Big data was used to analyse th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overseas traditional landscap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d and examined the appropriate name for express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in research literature, which included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 landscape-related gardens, parks, and landscape words related to historic culture. Consequently, the International Charter declared the suitability of 'historic' gardens and parks, as well as traditional landscape for expressing unique designs, composition technique, and ecological meaning of Korea, while historic landscape was deemed suitable for explaining gardens and parks in landscape history.

이 연구는 전통 조경의 개념 정의와 적절한 영문표기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적절한 개념의 확인을 위해 국제 문서에서 쓰인 관련 용어를 종합하고, 국제권 연구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ICOMOS의 '역사적 정원에 관한 헌장(플로렌스 헌장, 1981), ICOMOS와 IFLA의 '역사적 도시공원에 관한 문서(뉴델리, 2017)', '역사도시경관에 관한 유네스코 권고(파리, 2011)'를 분석하여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 공간과 대상, 가치와 활동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전통조경 관련 국제권 연구는 ScienceDirect에서 역사 문화와 관련된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와 조경 관련 garden, park, landscape를 포함하는 연구 논문을 취합하여 각 용어가 어떤 성격으로 사용되는지를 살피고, 조경의 역사문화성을 표현하기 위한 적합한 명칭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제 문헌에서는 '역사적(historic)' 정원·공원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전통(traditional) 조경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조성기법, 생태적 의미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역사(historic) 조경은 조경사적인 의미의 정원·공원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NRF-2021R1G1A1012405)&(NRF-2021R1A6A3A01086481)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viewDescClassContents.do
  2. 김민선(2021). 전통조경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 1차 공청회 자료집. 한국전통조경학회. 문화재청.
  3. 안대회, 신상섭, 조운연, 김세호(2020). 전통조경 정책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문화재청.
  4. 김충식, 이재용, 오준영, 하태일, 정다정(2019). 궁능 전통조경 용어조사 및 해설 연구. 문화재청.
  5. 하태일, 권오영, 김미희, 김주범, 안영태, 진상철(2014). 전통조경분야의 정원 명칭 사용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문화연구. 14(-): 83-110.
  6. 우성백(2017).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명칭과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우경숙, 서주환(2016).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4(5): 1-11. https://doi.org/10.9715/KILA.2016.44.5.001
  8. 박미옥(2018).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6(5): 1-9.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01
  9. Min Li, Xichen Zhang, Jitai Li(2019). Research on the Academic Definition of the Public Garden & Park City. World Journal of Forestry. 8(1): 17-32. https://doi.org/10.12677/WJF.2019.81003
  10. Dianne Harris(1999). The Postmodernization of Landscape: A Critical Historiography.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tectural Historians. 58(3): 434-443. https://doi.org/10.2307/991537
  11. 문화재관리국(1979). 한.영문화재용어집.
  12. 한국학중앙연구원(2004).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번역 지침.
  13. 한국학중앙연구원(2008). 향토문화대전 번역 지침.
  14. 한국관광공사(2008). 외국어 관광안내표기 용례집.
  1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 https://www.data.go.kr/data/3039423/fileData.do#tab-layer-openapi
  16. 팬트랜스넷(2010). 문화재명 외국어 표기 기준 마련 연구. 문화재청.
  17. 이명화, 조윤정, 박현주, 나종남, 강창국(2012). 근현대사 주요용어 영문표기 표준화 연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8. 김원회(2011). 문화간 의사소통 전략과 언어의 역사성. 언어와 언어학. 50(-): 53-79.
  19. 역사적 정원에 관한 헌장(플로렌스, 1981). https://www.icomos.org/en/newsletters-archives/179-articles-en-francais/ressources/charters-and-standards/158-the-florence-charter
  20. 역사적 도시공원에 관한 문서(뉴델리, 2017). https://www.icomos.org/images/DOCUMENTS/General_Assemblies/19th_Delhi_2017/Working_Documents-First_Batch-August_2017/GA2017_6-3-2_HistoricUrbanPublicParks_EN_final20170730.pdf
  21. 역사적 도시경관에 관한 유네스코 권고(파리, 2011). https://landscapes.icomos.org/documents/
  22. https://www.sciencedirect.com/
  23. http://www.exteriores.gob.es/Portal/es/SalaDePrensa/ElMinisterioInforma/Paginas/Noticias/20210725_MINISTERIO1.aspx